KT

대한민국의 국가통신사업자, 민간 통신 기업

KT(주식회사 케이티, 영어: KT Corporation)는 국내 최대 통신사이자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ICT, 금융사업, 위성방송서비스사업, 기타사업(콘텐츠, 부동산, 커머스 등) 등을 영위하고 있다. 무선통신, 초고속인터넷, IPTV 등 핵심사업에서의 지속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IDC, 클라우드, AI/DX 등 B2B 성장사업에서도 성과를 창출하였다.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90 (정자동)에 위치한다.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창립한 뒤 2001년 12월에 상호명을 한국통신에서 (주)KT로 변경하였다.[1] 2009년 6월 1일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 KT의 자회사인 KTF와 인수 합병을 하였고,[2] 2011년 7월에 유·무선 통신 서비스 조직을 통합하였다.[3]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 등에 관한 법률상 독과점 사업자로서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 남용 규제를 받는다. 통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GiGA 인터넷 가입자 100만을 가장 먼저 달성하였다. KT가 보유한 AI, 빅데이터, Cloud, IoT, 로봇 등의 ICT 융합 기술력을 기반으로 미디어콘텐츠, 금융,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신과 이종 산업간의 시너지 창출로 디지털 플랫폼 사업을 추진 중이다.

KT
KT Corporation
형태주식회사
창립1981년 12월 10일
시장 정보한국: 030200 (1998년 12월 23일 상장)
NYSE: KT
런던: KTCD (1999년 5월 26일 상장)
ISINKR7030200000
산업 분야통신 서비스업
서비스유선통신업
무선통신업
분할
KT IT서비스사업부
KT 위성사업부
본사 소재지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90 (정자동)
핵심 인물
김영섭 (대표이사)
매출액23,916,666,520,615원 (2020)
영업이익
1,184,106,980,773원 (2020)
703,391,899,566원 (2020)
자산총액33,662,545,738,616원 (2020.12)
주요 주주국민연금공단: 11.68%
신한은행: 5.46%
Silchester International Investors LLP : 5.20%
종업원 수
22,720명 (2020.12)
자본금1,564,498,835,000원 (2020.12)
슬로건DIGICO KT
웹사이트https://www.kt.com

연혁

편집

민영화 이전

편집
  • 1981년 12월 10일 한국전기통신공사(영문 약칭 KTA)가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분리되어 공사로 설립되었다. 당시 본사는 명동 서울중앙전화국(현 서울 중앙지사)에 있었다.
  • 1982년 전화 회선 450만 개를 돌파하였다.
  • 1982년 3월 29일 한국데이타통신주식회사(데이콤, 현 LG유플러스)을 설립하였다.
  • 1982년 12월 15일 무선호출기 서비스(일명 삐삐)가 1차로 250대가 승낙, 개통되었다.
  • 1984년 1월 세계에서 10번째로 전전자교환기 TDX-1를 개발하였다.
  • 1984년 10월 24일 종로구 세종로 100(세종대로 178)에 사옥 겸 국제전화국 용도인 국제통신종합센터를 완공하였다(1979년 6월 착공, 현 KT 광화문빌딩 West).
  • 1984년 11월 10일 무선통신서비스를 운영할 자회사로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 1986년 무선호출기 서비스 지역이 5대 도시(서울, 부산, 대전, 대구, 광주)로 확대되었다.
  • 1987년 전국전화자동화가 완성되었다.
  • 1991년 1월 1일 대외 명칭을 한국통신(공사)으로 약칭하여 발표하였고, 휘장(마크)를 변경하였다.
  • 1993년 11월 30일 전화 회선이 2000만 개로 확대되었다.

자회사 매각 후

편집

민영화 이후

편집
  • 2002년 5월 24일 울릉도에 기지국이 설치되어 독도에서 휴대폰이 개통되었다.
  • 2002년 5월 25일 2002년 5월 21일에 정부 소유 KT 지분 전량 매각된 후 새 주인에게 주권이 교부되고 교환사채(EB)가 발행되었다.[5]
  • 2002년 7월 이상철 KT 사장이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 2002년 8월 20일 이용경 KTF 사장이 민영화 초대 KT 사장에 공식 취임하면서 민영화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완전 민영화되었다.
  • 2002년 10월 이용경 사장이 2003년 국제전자상거래연합회(GBDe, Global Business Dialogue on Electronic Commerce) 단독 글로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 2003년 1월 KT와 SK텔레콤이 상호 보유 지분을 맞교환하여 지배 관계가 청산되었다.[5]
  • 2004년: 봉사단을 7천 명 수준으로 늘렸으며, 청각 장애아 소리 찾기, 외국인 근로자와의 Host Family 결연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확대하였다. 홈엔 출시
  • 2005년: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KT의 계열사는 12개이며, 자산총액은 29조 3150억 원으로 재계 대기업 순위 8위에 올랐다.
  • 2005년 8월 19일: 남중수 KTF 사장이 민영 KT 2기이자 9대 사장으로 취임하며 "원더경영"을 경영기조로 밝혔다. 이날 주주총회에서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이 사외이사로 선임되었다.[8]
  • 2005년 12월 28일: 개성공단 남북통신 개통 및 개성지사를 개소하였다.
  • 2006년: 홈엔메가TV로 명칭 변경
  • 2007년 3월 30일: 제일FDS를 인수하였다.
  • 2007년 12월: 사장추천위원회가 남중수 사장을 제3기 사장으로 추천하였다.[9]
  • 2008년 2월: 남중수 사장이 2011년까지 임기로 민영 제3기 사장이자 제10대 사장으로 공식 취임하였다.
  • 2008년 11월: 남중수 사장이 인사 청탁 혐의로 매달 1백~2백만원을 받았다는 배임수재 혐의로 2008년 9월에 이미 구속된 조영주 KTF 사장에 연달아 구속되었다.[10]
  • 2009년 1월: 이석채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11] 하였으며 All New KT를 슬로건으로 발표하였다.[12]
  • 2009년 1월: 이석채 사장이 자회사 KTF와의 인수 합병을 선언하였다.
  • 2009년 3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자회사인 KTF(케이티프리텔)와의 인수 합병에 대해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 2009년 4월: 새로운 브랜드 QOOK(쿡)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명칭을 메가패스에서 QOOK 인터넷으로 변경하였으며, 메가TV에서 QOOK TV로 변경하였다.

KT - KTF 인수 합병 이후

편집

역대 로고

편집

주주 및 이사회

편집

1997년 금융 위기에 따라 경제위기 수습을 위한 재원 마련으로 공기업 매각이 추진되어 1998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 1999년 5월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전기통신사업법에 의해 기간통신사업자에서 외국인 주주의 의결권을 다 합쳐도 총 의결권의 49%를 넘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8명 총 11명의 이사로 구성(2013년 3월 기준)되어 있다. 사외이사는 사외이사 전원,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선임하고 있으며, 임기는 3년 이내이다. 이사회 의장은 사외이사 중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1년이다. 이사회 내에는 5개 상설 소위원회와 2개 임시 소위원회가 있다. 이사회는 필요한 경우 별도의 위원회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사내이사(3명)로는 구현모 대표이사, 박종욱 이사, 강국현 이사가 있고 사외이사(8명)로는 이사회 의장인 유희열 이사와 이강철, 김대유, 표현명, 강충구, 박찬희, 성태윤, 여은정 이사가 있다.

경영 체계 및 계열사

편집

유무선 통신 전문 공기업에서 출발한 KT는 민영화 이후 2015년 그룹 매출 40조원 달성을 목표로 렌탈, 부동산, 경비, 교육, 신용카드 등 다양한 비통신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2015년 9월 30일 기준으로 BC카드 등 41개의 자회사[22]를 운영 중이다.

논란 및 사건사고

편집

인터넷 종량제 논란(2003년~2005년)

편집

2003년 진대제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종량제 찬성 인터뷰에서 촉발한 종량제 논의가 EBS 인터넷 수능 동영상 강의 등 트래픽 유발 서비스 확대와 스팸 메일, 인터넷 중독 등의 사회적 논란 등을 겪으면서 2005년까지 계속되었다. 2005년 KT 이용경 사장이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네티즌과의 대화에서 밝힌 인터넷 종량제 정책 추진 등에 부응하여 인터넷 요금의 종량제 필요성을 함께 주장하여 사회적인 논란이 확대되었다.

2G CDMA 서비스 강제 종료

편집

KT는 4G LTE 주파수 재배치의 일환으로,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종 승인으로 2011년 12월 8일 2G CDMA 서비스 종료를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4G LTE 주파수 재배치 문제로, 이 과정에서 기존 01X 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사와 전혀 상관 없이, 강제 종료를 한다는 논란의 소지가 많았다. KT의 2G 서비스는 당초 2011년 12월 8일에 전국적으로 일제히 종료할 예정이었으나, 서울행정법원의 합법적인 절차로 계속 순연되어, 같은해, 12월 26일 서울고등법원의 즉각 중단 가능 결정으로 2012년 1월 3일 오전 10시경, 수도권 및 부산/경남권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2G CDMA 서비스가 종료되고 4G LTE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1996년에 국내에서 최초로 상용화된 CDMA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불렸던 SK텔레콤의 2G CDMA 서비스는 시스템 노후화로, 7년 뒤인 2020년 7월 말에 최종 종료한 바 있다.

낙하산 인사 논란

편집

정관계 인사들의 KT 고위 임원에의 연이은 취임이 2010년 12월 김은혜 전 청와대 대변인의 KT 전무 취임으로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이를 비판한 직원의 발언이 PD 수첩 등에 방영된후 해당 직원에 대한 보복 인사에 대한 논란도 있다.[45][46][47] 이석채 회장은 비통신 전문가인 외부 인사 영입에 대한 논란에 대해 2011년 1월 20일 기자 간담회에서 내부에 인재가 없어 외부 영입을 하는 것이 무엇이 문제냐는 입장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신사업을 할 수 있는 KT 내부 직원은 없다고 단언하며 외부 인사 영입 논란을 일축하였다.[48][49]

4대 종편 투자 정부 개입 의혹

편집

2011년 11월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KT가 100% 지분을 갖고 있는 자회사인 KT캐피탈은 2011년 3월 9일 조선일보 종편에 20억원을 출자했다. 이어 4월 1일에는 중앙일보와 매일경제 종편에 각각 20억원씩 출자했고 엿새 뒤인 4월 7일에는 당시 납입 자본금을 완납하지 못해 종편 승인이 연기된 동아일보 종편에 앞의 종편들보다 많은 23억9천만원을 출자했다.

문제는 KT가 2010년 말까지만 해도 전담팀에서 사업성을 평가한 결과 사업성이 없어 종편에 투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입장을 바꿔 4대 종편 모두에 무더기투자를 한 배경에는 정부의 입김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50]

인력퇴출 프로그램과 노동자 사망에 관한 논란

편집

2012년 4월 25일 노동시민사회단체인 KT노동인권센터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KT에서 인력퇴출프로그램이 시행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6년 동안 KT 재직·퇴직 노동자 가운데 204명이 숨졌다. 이 중 재직중에 숨진 노동자가 110명이며 퇴직자(58세 이하)가 94명, 사내협력업체 12명이다. 사망 원인별로는 백혈병 등 각종 암으로 숨진 노동자가 84명으로 가장 많았고 돌연사(뇌출혈·심장마비)가 62명, 사고 및 기타 질병 44명, 자살 14명이었다. KT노동인권센터는 인력보충 없는 강제명퇴와 무한경쟁 등을 초래한 민영화가 노동자들의 잇따른 사망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2011년 10월 국정감사에서 KT 노동자의 인권침해 문제가 제기된 후 노조의 고소·고발이 이어지자 2012년 2월부터 한 달간 150여개 지사를 대상으로 특별감독을 벌였지만 2012년 4월까지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51]

KT 인터넷 속도 저하 사건

편집

2021년 4월 17일 유튜버 잇섭이 사용하는 10기가 인터넷 요금제가 실제로는 100메가로 서비스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폭로하였다. 잇섭은 영상에서 속도 테스트에 대한 자료를 공개했다. 이후 논란이 기사화되며 KT 사용자들이 반발한 사건이다.[52]

2021년 4월 19일 KT측은 "최근 스튜디오를 이사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로 인해 고객의 정보가 잘못 이관되었다"면서 "이 때문에 100메가밖에 제공되지 않았을 것"이라 해명했다. 이어 6시에 열린 미팅에서 공식적으로 고객에게 불편을 끼쳐드린 점을 인정하고 사과했다.[53]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고객의 실수 등 외부적인 요인 때문에 사건이 발생했는지, 아니면 KT측에서 약관을 위반해 의도적인 잘못을 했는지 사실확인 후 제재를 가할 것이며 필요 시 실태조사 진행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2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이번사건을 통해 실태조사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54]

2021년 KT 인터넷 유무선 통신 마비

편집

2021년 10월 25일 오전 11시 20분부터 최대 12시 45분까지 최대 1시간 25분, 평균 약 40분가량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였다. 오전 첫 번째 입장문에서는 DDoS 공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오후 두 번째 입장문에서는 라우팅 오류가 원인이였다고 밝혔다.[55]

이에 대해 KT는 이 사건에 대해 밝힌 입장문이 담긴 글을 공식 홈페이지에서 팝업을 띄워 공개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안녕하세요. KT 입니다. 통신장애로 고객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금일 장애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ㅇ 장애일시 : 2021년10월 25(월) 11:20~ 최대 12:45 (지역별로 복구시간은 차이가 있음)

ㅇ 대상지역 : 전국

ㅇ 장애관련 영향도 : 인터넷 서비스

장애로 인한 불편이 재발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각주

편집
  1. http://100.naver.com/100.nhn?docid=18606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KTF, 1일 KT와 공식 합병... 역사속으로 사라져”. 아주경제. 2009년 5월 31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신혜선 (2011년 7월 4일). “KT-KTF 합병 2년만에 '유무선망 조직통합'. 머니투데이. 
  4. 황상진. KT로 새출발…전화국명칭 없애기로 . 한국일보. 2001년 12월 11일.
  5. 윤휘종·김현아. ('KT 민영화 3년' 진단 - 1) 민영화는 세계와의 약속이었다. 아이뉴스24. 2005년 5월 22일.
  6. 전혜영. KT 민영화 10년 현주소…뛰는 '공룡' 됐나. 머니투데이. 2012년 5월 21일.
  7. "SKT, 레임덕 틈탄 정책도전이냐"
  8. KT, 남중수 사장 취임 Archived 2015년 2월 14일 - 웨이백 머신 - 조선일보 2005년 8월 19일
  9. - '서두르는 KT'…남중수 사장 연임 논의 시작-노컷 뉴스 2007년 10월 26일
  10. KT 남중수 사장 구속…풀리지 않는 의문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노컷 뉴스 2008년 11월 5일
  11. KT 사장후보 ‘낙하산’ 논란…추천위해 정관도 바꿔 경향신문
  12. “KT, 이석채 사장 선임…오늘 인사 단행”. 디지털타임스. 2009년 1월 14일. 
  13. “KT 유무선 컨버전스 서비스 QOOK & SHOW 출시”. 뉴시스. 2009년 10월 14일. 
  14. “COMPONENTS - DJSI WORLD and DJSI WORLD EX US”.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1일에 확인함. 
  15. “KT, 와이파이 이어 3G데이터도 '무제한서비스’”. 경제투데이. 2010년 9월 9일. 2012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1일에 확인함. 
  16. “kt 원더풀, 코리아원더풀”.  다음 글자 무시됨: ‘ 2010-11-15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문화일보 ’ (도움말)
  17. “[신년기획/2011 경영전략③] KT, 통합효과·고객만족도 향상에 주력”. 2011년 1월 4일.  다음 글자 무시됨: ‘ 디지털데일리’ (도움말)
  18. “[KT,우리·부산銀 등과 본계약 체결···]”. 2011년 2월 18일.  다음 글자 무시됨: ‘ 머니투데이’ (도움말)
  19. “KT, 'DJSI 통신분야' 세계 1위 선정”. 2011년 9월 16일.  다음 글자 무시됨: ‘ 조선비즈’ (도움말)
  20. “Kt-gs건설-롯데쇼핑, ‘지속가능 성장력’ 세계 최고 인정”. 2012년 9월 13일.  다음 글자 무시됨: ‘ 조선비즈’ (도움말)
  21. olleh tv 제외
  22.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1116001665
  23. “보관된 사본”. 2010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일에 확인함. 
  24. http://blog.kt.com/
  25. http://www.ktlinkus.co.kr/
  26. “보관된 사본”. 2013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27. “보관된 사본”. 2013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28. http://www.nasmedia.co.kr/
  29. http://www.genie.co.kr/
  30. http://www.ktds.com/
  31. http://www.ktcs.co.kr/
  32. “보관된 사본”. 2013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33. http://www.skylife.co.kr/ Archived 2003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방송법령에 근거한 위성방송 사업자)
  34.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7일에 확인함. 
  35. “보관된 사본”. 2013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36. “보관된 사본”. 2013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37. “Untitled”. 2013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38. http://www.vp.co.kr/home/index.html
  39. http://www.initech.com/www/html/index.html
  40. http://www.smartro.co.kr
  41. “Untitled”. 2013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42. “보관된 사본”. 2012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43. “보관된 사본”. 2013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44. “보관된 사본”. 2011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0일에 확인함. 
  45. KT, '김은혜 전무 낙하산' 비판한 직원 보복인사 논란 프레시안 뉴스 2011년 2월 21일
  46. 전무 된 39세 김은혜 前청와대 대변인… '낙하산 논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조선일보, 2010년 12월 2일
  47. 민주 "김은혜 前 靑대변인 KT 낙하산 인사" 비판 Archived 2011년 11월 18일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2010년 12월 1일
  48. KT는 MB정권의 낙하산 집합소? KT 이석채 회장의 낙하산 인사 '현재 진행형' 시사코리아 2011년 1월 28일
  49. “낙하산 최소 40명은 될 것” 파문, 올레(olleh)~ KT “실세들 올래?” 주간조선 2010년 12월 6일
  50. KT, 4대 종편에 무더기 출자. 정부 입김 의혹《뷰스앤뉴스》2011년 11월 9일 박태견 기자
  51. KT 6년간 204명 사망…사법조치 없어 뉴시스, 2012년 4월 25일
  52. "KT 10기가 인터넷, 실제 속도는 100메가"…논란 가열 연합뉴스, 2021년 4월 19일
  53. 머니투데이 뉴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21.04.19 작성
  54. 연합뉴스, 방통위 "KT 인터넷 속도저하 이슈 적극 대응할 것, 2021.04.20 작성
  55. “KT "인터넷 먹통, 디도스 공격 아닌 라우팅 오류였다". 《매일경제》. 2021년 10월 25일. 

경쟁사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