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헌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 월북자

조헌영(趙憲泳, 1901년 1월 8일 ~ 1988년 5월 23일)은 대한민국에서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한의학자, 정치인, 대한민국 초대 및 2대 무소속 국회의원 등을 지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였다.
조헌영
| |
---|---|
북괴 인민 정부의 문교성 제3대 차석부상 | |
임기 | 1959년 9월 9일 ~ 1960년 12월 27일 |
주석 | 최용건 |
수상 | 김일성 |
장관 | 리일경 북괴 문교상 |
차관 | 황철 북괴 문교성 수석부상 |
이름 | |
별명 | 자(字)는 응문(應文) 아호(雅號)는 해산(海山)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01년 1월 8일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북도 영양 |
거주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사망일 | 1988년 5월 23일[1] | (87세)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학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의과대학교 한의과대학원 한의학 박사 |
경력 |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한국민주당 당무위원 겸 조직부장 민주국민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 평양 동의학연구소 연구사 겸 연구위원 평양의대 초빙교수 김대 객원교수 |
정당 | 무소속 |
부모 | 조인석(부) |
배우자 | 전주 이씨 부인 |
자녀 | 3남 1녀 장남 조동진(趙東振, 1917년 ~ 1937년) 차남 조지훈(趙芝薰, 1920년 ~ 1968년) |
친인척 | 조승기(친조부) 조태열(손자) |
경상북도 영양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자(字)는 응문(應文)이며 호(號)는 해산(海山)이다. 초대, 제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한국 전쟁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
1937년 사망한 시인 조동진이 조헌영의 장남이고, 1968년 사망한 시인 조지훈이 조헌영의 차남이다.[2]
생애편집
약력편집
- 영양보통학교 촉탁교원임명
- 재일조선인학우회대표
- 신간회 동경지회장
- 한국독립당에 당무위원으로 입당(1945년 11월 8일)
- 한국독립당 탈당(1946년 3월 21일)
- 한국민주당에 당무위원으로 입당(1946년 9월 26일)
- 한국민주당 당무위원 겸 조직부장(1946년 10월 29일)
-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이철승, 윤보선 등과 함께 반탁투쟁회 중앙집행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
- 1947년 11월 26일 한국민주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
-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제헌 국회의원(경북 영양)
- 1949년 3월 20일 민주국민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
- 1949년 5월 20일 민주국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전향.
- 1950년 5월 31일 제2대 무소속 국회의원 재선.
- 1950년: 6.25 전쟁 중 납북
- 1968년: 둘째 아들 조지훈 시인 사망
- 1988년 사망
학력편집
- 경상북도 대구보통학교 수료 - (1946년 8월 22일 대구국민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 경상북도 영양보통학교 졸업
- 경상북도 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
- 일본 와세다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의과대학교 한의과대학원 한의학 석사·한의학 박사
가족 관계편집
인간 관계편집
- 시인 오일도(吳一島)와 교우 관계를 맺었다.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전임 (초대) |
제헌 국회의원(영양군)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 → 무소속 |
후임 조헌영 |
전임 조헌영 |
제2대 국회의원(영양군) 1950년 5월 31일 ~ 1950년 8월 30일 무소속 |
후임 박종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