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주목(朱木, 영어: spreading yew 또는 Japanese yew)은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 한국, 중국 북동부, 일본이 원산지이다. 여러 명칭이 있었으나, (줄기의 껍질과 속의 색깔이 모두) 붉은 나무라는 의미의 ‘주목’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고 있다. 다양한 재배 품종이 있다.

주목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구과식물문
강: 구과식물강
목: 구과목
과: 주목과
속: 주목속
종: 주목
학명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1842)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명칭 편집

주목 외에도 적백송, 자삼, 수송[1], 적목, 경복, 화솔나무, 노가리나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이찌이(一位)’라고 부른다.

생태 편집

주목은 전국 어디에나 자라지만 주로 자라는 곳은 제주도, 울릉도, 태백산, 덕유산, 지리산같은 해발고도 700m를 넘는 높은 에서 자라고, 암수딴그루 또는 암수한그루이다. 10~18미터 크기로 자라는데, 밑둥의 지름은 60센티미터가 된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얕게 갈라진다. 은 침엽형이며, 평평하고, 짙은 녹색이다. 뒷면은 엷은 황록색이고 2줄의 황색 줄이 있으며 늘 푸르지만 2-3년쯤 자라면 떨어진다. 잎의 길이는 1~3센티미터, 너비는 2~3밀리미터 정도이고, 끝이 약간 뾰족하다. 잎은 가지로부터 나선 모양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깃 모양으로 달린다.

4월이 피며, 수꽃은 1개씩 달리며 6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암꽃은 1-2개씩 달리며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다. 9월~10월에 붉은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지름 약 8밀리미터 정도의 한쪽이 뚫린 공 모양이며 빨간 가종피 안에 종자가 들어 있다. 씨앗은 길이 약 5밀리미터로 달갈꼴이다.

쓰임새 편집

열매의 겉은달고 씨는 맛이 쓰고 이 있으며, 약으로 쓰인다. 줄기에서는 암을 고칠 수 있는 천연물질인 '탁솔(taxol)'을 추출한다. 주목은 수피와 심재가 유달리 붉고 질이 좋기 때문에 고급 가구재나 장식재로 친다. 또 줄기는 가구, 건축물, 조각품, 바둑판 등의 목재로 쓴다. 목재는 단단하면서도 탄력이 있다. 서양에서는 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한 뼘 정도 되게 얇게 다듬어 을 만들기도 했다. 조선에서는 붉은 줄기에서 추출한 액으로 궁녀들의 옷감을 치장하거나 임금의 곤룡포를 염색할 때 물감으로 썼다.[2]

재배 품종과 비슷한 나무 편집

  • 주목 '덴시포미스'(T. cuspidata 'Densiformis')
  • 주목 '나나'(T. cuspidata 'Nana')
  • 주목 '니그라'(T. cuspidata 'Nigra')
  • '설악눈주목'(Taxus caespitosa (Thunb.) Lour.) : 원줄기가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나 눈잣나무처럼 된다.[3] 눈주목이라고도 부른다.

문학 속의 주목 편집

조선 초기의 성리학자 김종직의 시에 주목(朱木)이 등장하였으며,[4] 1980년대 이후로 아주 느리게 자란다는 의미로 ‘천 년 주목’,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인 나무’라는 표현이 많이 쓰이고 있다.[5]

사진 편집

천연기념물 편집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주목은 다음과 같다.

각주 편집

  1. 식물도감내용보기, 대구광역시 수목원관리사무소 홈페이지
  2. 박상진 (2001년 9월 20일). 《궁궐의 우리 나무》. 눌와. 180쪽. 
  3.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57쪽. 
  4. 「聞玄風以下大雪」, 《佔畢齋集》 6권
  5. 茂朱 九千洞 - 봄이 오는 길목, 《동아일보》, 1983.3.8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