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동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진관동(津寬洞)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은평뉴타운이 들어서 있으며, 박석고개 위를 지나는 국도 제1호선 통일로와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지난다.
진관동 津寬洞 | |
---|---|
![]() 진관동주민센터 | |
![]() | |
로마자 표기 | Jingwan-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은평구 |
행정 구역 | 47통, 356반 |
법정동 | 진관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31 |
지리 | |
면적 | 11.52 km2 |
인문 | |
인구 | 54,782명(2023년 4월) |
세대 | 21,413세대 |
인구 밀도 | 4,755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진관동 주민센터 |
역사
편집지명 유래
편집진관동이라는 동명은 진관사에서 유래하였다. 법정동 진관외동과 진관내동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2007년에 진관동으로 합쳐졌다.
구파발동(舊把撥洞)은 벽제관으로 가는 파발이 있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하였다.[1] 독립된 법정동으로 존재하였으나, 2007년에 진관외동·진관내동과 함께 진관동으로 통합되었다. 명승지로 구파발 폭포가 있다.
그 밖에 마고정(馬雇亭), 우물골, 폭포동(瀑布洞), 기자촌(記者村), 제각말(祭閣―), 상림(桑林) 등의 지명이 은평뉴타운 단지 이름으로 남아 있다. 마고정은 중국 사신들이 한양으로 들어갈 때 구파발에서 머무르며 말을 매어두고 기다리던 마을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2][3] 폭포동은 골짜기에 향림폭포가 있어 유래하였다.[4] 기자촌은 1969년부터 1974년까지 기자 전용으로 조성된 주택단지를 부르던 이름으로, 현재 모두 철거되었다.[5] 제각말은 철종이 은언군의 묘를 이말산에 모신 뒤 제각(祭閣)을 세웠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6] 상림은 마을에 수백년 된 향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유래한 지명이다.[7]
연혁
편집교육
편집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교통
편집주요 시설
편집주거
편집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상림마을 푸르지오 | 대우건설 에스케이건설 |
2008년 5월 | |||
상림마을 롯데캐슬 | 롯데건설 삼환기업 |
||||
상림마을 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 태영건설 |
2008년 6월 | |||
박석고개 13단지 | 현대건설 | 2008년 12월 | |||
박석고개 11단지 | 현대건설 태영건설 |
2009년 1월 | |||
박석고개 12단지 | |||||
우물골 | 두산건설 금호산업 |
2009년 12월 | |||
구파발 10단지 | 금호산업 벽산건설 |
2010년 11월 | |||
마고정 | 포스코이앤씨 동부건설 |
2009년 11월 | |||
폭포동 | 현대건설 동부건설 |
2010년 6월 | |||
제각말 | 태영건설 대우건설 |
2010년 9월 | |||
구파발 9단지 | 삼성물산 건설부문 | 2010년 7월 | |||
기자촌 |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 2015년 1월 | |||
은평뉴타운 디에트르 더 퍼스트 | 대방건설 | 2025년 6월 (예정) |
- 오피스텔
- 아이파크 포레스트 게이트 오피스텔
- 한화 꿈에그린 오피스텔 (201동)
- 솔하임 오피스텔 (101동 ~ 103동)
- 은평 헤스티아 오피스텔 (1차, 2차)
- 어드벤스힐 오피스텔
- 메이플카운티 오피스텔
- 은평뉴타운 신한 헤센스 스마트 오피스텔
- 이룸채 오피스텔
- 은평 휴먼프라자 오피스텔
- 한옥마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문화와 역사: 지명 - 구파발동, 은평문화원. 2017년 5월 28일 확인.
- ↑ 문화와 역사: 지명 - 마고정(馬雇亭), 은평문화원. 2017년 5월 28일 확인.
- ↑ 고마청(雇馬廳)이 와전된 이름이라고도 하나, 고마청은 이 일대에 존재하지 않았다.
- ↑ 문화와 역사: 지명 - 폭포동(瀑布洞), 은평문화원. 2017년 5월 28일 확인.
- ↑ 손대선 (2016년 6월 2일). “"아직도 현장서 뛰고파"…은평구 기자촌서 원로기자들 '함박웃음'”. 뉴시스. 2018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문화와 역사: 지명 - 제각말(祭閣里)/잿말, 은평문화원. 2017년 5월 28일 확인.
- ↑ 문화와 역사: 지명 - 상림골(桑林谷), 은평문화원. 2017년 5월 28일 확인.
- ↑ 칙령 제49호 지방구역 정리 건
- ↑ (법정동: 구파발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 ↑ 서울특별시조례 제784호, 서울지명사전, 200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진관동
- ↑ (법정동: 구파발동, 진관내동)
- ↑ 대통령령 제9630호 은평약사
- ↑ 법정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구파발동을 진관동으로 통합하고, 행정동 진관내동, 진관외동도 진관동으로 통합.
- ↑ 서울특별시은평구 동명칭 및 구역획정 조례 (서울특별시은평구 조례 제729호, 2007. 8. 2. 공포)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