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의곡사 한글비석

진주 의곡사 한글비석(晉州 義谷寺 한글碑石)은 경상남도 진주시 봉래동, 의곡사에 있는 비석이다. 2015년 10월 15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596호로 지정되었다.[1]

진주 의곡사 한글비석
(晉州 義谷寺 한글碑石)
대한민국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596호
(2015년 10월 15일 지정)
면적16 m2
수량1기
소유진주 의곡사
관리진주 의곡사
위치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봉래동 260
좌표북위 34° 49′ 6″ 동경 128° 24′ 34″ / 북위 34.81833° 동경 128.40944°  / 34.81833; 128.40944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사암으로 된 비석으로, 앞면 중앙에는 세로쓰기로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고 새겨져 있고, 그 좌우에 각각 한자와 한글로 부모생천목연경(父母生天目連經, 부묘ᄉᆡᆼ쳔목연경)이라고 새겨져 있다. 비석 윗쪽이 벗겨져서 한자 첫글자 南과 父가 사라져 있다.

[父]母生天目連經
[南]無阿彌陀佛
부묘ᄉᆡᆼ쳔목연경
塔 丙辰三月

비석 하단에 새겨진 병진삼월(丙辰三月)은 비를 세운 시기를 뜻하는데, 이는 1916년 병진년으로 추정된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경상남도고시 제2015-436호 Archived 2017년 9월 30일 - 웨이백 머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경남공보 제2198호, 11-13면, 2015-10-15
  2. http://heritage.gyeongnam.go.kr/map/view.jsp?no=11635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