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놈

(쯔놈문자에서 넘어옴)

쯔놈(베트남어: chữ Nôm / 字喃·𡨸喃·𡦂喃 자남; 한국 한자: 喃字 남자)은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서 만든 한자에 바탕을 둔 문자체계이다. 14세기 이전에 베트남에서 문자는 한자(Hán tự 한뜨[*] 또는 chữ Nho 쯔뇨[*]) 뿐으로 적은 수의 고유명사를 빼면 베트남어가 온전한 글말로 쓰이는 일은 없었고 한문소양을 갖춘 상류층은 글을 쓸 때 한문만을 썼다.


한자
발달과정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서체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 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나라별 사용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14세기에 구어체 베트남어를 글말로 나타낼 필요성이 생기자 한자를 베트남어 음운에 맞게 고쳐 만든 쯔놈을 이용해서 19세기까지 베트남어를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쯔놈은 한국의 이두, 향찰과 비슷하게 음과 훈을 모두 사용하고, 추가로 형성 원리에 따라 기존한자로 나타낼 수 없는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새로운 글자를 만들었다. 다만 쯔놈은 한문, 한자지식에 정통한 지식인이나 문인만이 구사할 수 있는 까다롭고 복잡한 체계였으므로, 일반인에게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고, 나중에 서양에서 간편한 라틴문자가 들어오자 더 쓰이지 못했다.

현재는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 《쯔 꾸옥 응으》(베트남어: chữ Quốc ngữ / 字國語 자국어)라는 라틴문자에 기반한 체계를 쓴다. 이것은 포르투갈프랑스의 선교사들이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 고안해낸 로마자 표기에 기반한 것이다.

역사

편집

한자를 이용하여 베트남어를 표기하려는 시도는 8세기 후반 중국의 지배로부터 일시적으로 국권을 되찾아온 베트남의 영웅인 풍흥(Phùng Hưng)의 시호에 쓰인 한국 한자: 布蓋 포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두 글자는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이 가능한데, 하나는 보까이(bố cái)로 발음되는 부모(자신의 부모처럼 존경스러운 사람의 뜻)이며, 다른 하나는 부아까이(vua cái)로 위대한 왕이라는 뜻이다. 10세기 동안 진조(陳朝 968-979년)의 창업주는 나라이름을 다이꼬비엣(베트남어: Đại Cồ Việt / 大瞿越 대구월)이라고 지었다. 이 국명에서 두 번째 글자인 는 한자가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는데 쓰인 또 다른 예이다.(단, 그 의미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1]

1970년대까지 베트남어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1343년 약 20개 마을의 이름이 쓰여져 있는 금석문(金石文)으로 알려졌다.

쯔놈의 운용

편집

가차

편집
  • 중국어에서 들어온 차용어(한자어)는 그대로 원래 표기로 나타냈다. 한자 하나에 두가지 읽는법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베트남어 소리체계에 동화된 발음인 남음(南音)이고 다른 하나는 비교적 한자어라는 의식이 남아 있는 한월어 발음이다. 예를 들어 本이라는 한자에서 vốn은 남음, bản한월어 발음이다.
  • 중국어에 없는 베트남어 토박이말 가운데 한자의 소리만을 빌려 나타낸 것이 있다. 베트남어 고유수사에서 1은 một이라고 하는데 뜻과 관계없이 발음이 같은 한국 한자: 沒 이라는 한자를 빌려썼다.

조자(造字)

편집

기존한자가 없는 베트남어 토박이말(순월어(純越語))은 대개 새로 한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베트남어는 단음절 성조어이기 때문에 일본과 같은 훈독법보다 새로 한자를 만든다는 발상이 더 쉬웠으리라 생각된다.

  • 회의 원리에 따라 두가지 뜻을 맞추어 하나의 한자를 만들었다. 하늘을 뜻하는 베트남어인 trời는 비슷한 개념의 天과 上을 짜맞추어 𡗶라고 하였다.
  • 형성원리에 따라 하나는 소리, 하나는 뜻을 나타냈다. 3에 해당하는 베트남어 토박이말 ba는 巴로서 소리를 나타내고 三으로 뜻을 나타내어 𠀧라는 글자가 만들어졌다. 한자의 90%가 형성원리로 만들어졌듯이, 쯔놈에서도 형성원리로 짜여진 문자가 큰 수를 차지한다.
  • 적은 수의 쯔놈은 기존 한자의 일부를 따와 만들어졌는데 이런 발상은 구결이나 가타카나와 비슷하다. 그것, 그것들에 해당하는 지시대명사 ấy는 衣에서 윗부분을 없앤 것인데 𧘇 소리가 비슷한 음생략자이고, 하다라는 뜻의 làm은 爲의 윗부분을 딴 것인데 爫 소리와는 관계없이 뜻이 비슷해서 따왔다.

표준화

편집

1867년 개혁파의 완장조(阮長祚, Nguyễn Trường Tộ)은 한문 폐지와 함께 쯔놈의 표준화를 제안했지만, 국음한자(國音漢字, Quốc âm Hán tự)라고 불리는 시스템은 사덕제(嗣德帝)에 의해 거부되었다[2].

2022년 베트남 한놈부활 위원회는 '상용 표준 한놈자 표'(榜𡨸漢喃準常用 Bảng chữ Hán Nôm Chuẩn Thường dùng)를 발표했다[3][4][5]. 표에서 표준화된 5,524자는 현대베트남어의 일상 사용의 약 98%를 커버하고 있다고 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DeFrancis, John (1977). Colonialism and Language Policy in Viet Nam . The Hague: Mouton.
  • Hannas, Wm. C. (1997). Asia's Orthographic Dilemma. Chapter 4, "Vietnamese".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1842-3
  • Schneider, Paul 1992. Dictionnaire Historique Des Idéogrammes Vietnamiens / (licencié en droit Nice, France : Université de Nice-Sophia Antipolis, R.I.A.S.E.M.)
  • 중국어: 周有光, 병음: Zhou Youguang (1998). 중국어 정체자: 《比較文字学初探》, 병음: Bijiao wenzi xue chutan "A Comparative Study of Writing Systems". Beijing: Yuwen chubanshe.
  • Chʻen, Ching-ho (n. d.). A Collection of Chữ Nôm Scripts with Pronunciation in Quốc-Ngữ. Tokyo: Keiô University.
  • Nguyễn, Đình Hoà (2001). Chuyên Khảo Về Chữ Nôm = Monograph on Nôm Characters. Westminster, CA: Institute of Vietnamese Studies, Viet-Hoc Pub. Dept.. ISBN 0-9716296-0-9
  • Nguyễn, N. B. (1984). The State of Chữ Nôm Studies: The Demotic Script of Vietnam. Vietnamese Studies Papers. [Fairfax, VA]: Indochina Institute, George Mason University.
  • O'Harrow, S. (1977). A Short Bibliography of Sources on "Chữ-Nôm". Honolulu: Asia Collection, University of Hawaii.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