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각김치

총각무로 담근 김치

총각김치(總角--)는 총각무로 담근 김치이다. 굵기가 손가락만한 또는 그보다 조금 큰 어린 총각무무청째로 여러 가지 양념을 하여 버무려 담근다.[1] 총각무는 알타리무, 달랑무 등으로도 불리기 때문에 총각김치를 알타리 김치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2]

총각김치
종류김치
코스반찬
원산지한국
관련 나라별 요리한국 요리
주 재료총각무

역사

편집

총각김치의 총각은 우리말이 아닌 한자어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사용한 총통은 빗물이 들어가면 녹이 슬어 총구를 총마개로 막아야 했지만, 전쟁터에서 총마개를 잃어버린 병사들은 밭에 있는 작은 무로 총구를 막았다. 그 무를 총, 총 껍질 각의 한자어로 써 총각무로 불렀다. 또한, 총각무 모양새가 조선시대 미혼 남자가 상투 대신 머리를 땋은 모습과 비슷하기에, 총각김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3]

하지만 '총각김치'란 말은 18세기 '증보산림경제'에 처음으로 나온다. 총각무는 알타리무, 달랑무 등 이름이 여러 가지지만, 1988년 표준어 규정 개정 때 '총각무'를 표준어로 채택했다.[4]

영양

편집

국가표준식품성분표의 총각김치 항목에 의하면, 총각김치는 1회 제공량 40g을 기준으로 열량 14.8Kcal로, 탄수화물 2.24g, 단백질 0.92g, 지방 0.24g, 나트륨 270.4mg의 영양 분포를 보인다. 당류,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등은 함유되어 있지 않다.[5]

1회 제공량 40g 기준
열량 14.8Kcal
탄수화물 2.24g
단백질 0.92g
지방 0.24g
나트륨 270.4mg

만드는법

편집

총각김치의 재료와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6]

  • 재료: 총각무, 고추가루, 소금, 찹쌀, 액젓, 새우젓, 마늘, 양파, 설탕, 쪽파 등
  • 밑간: 총각무를 소금물에 두어시간 절인다.
  • 찹쌀을 쑤어 찹쌀풀을 만든다.
  • 양파와 마늘을 다지고 액젓, 새우젓, 고춧가루와 함께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 절인 총각무에 쪽파 등의 곁들임 채소를 다듬어 넣고 양념장을 바른다.
  • 버무린 총각무를 정리하여 통에 넣고 숙성시킨다.
  • 실온에서 이틀 정도 지나면 익기 시작한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총각김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알타리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재미있는 역사이야기] 총각김치”. 2024년 12월 21일에 확인함. 
  4. 총각김치 역사, 서울신문
  5. “LampCook 식품영양성분표”. 
  6. 총각김치 만개의 레시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