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준(崔宗峻, ? ~ 1246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최유청(崔惟淸)의 손자이자 최선(崔詵)의 차남이며, 『고려사』 「최유청전」에 자신의 열전도 들어 있다.

생애

편집

1201년(신종 4)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1]

1216년(고종 3) 우군지병마사(右軍知兵馬事), 이듬해[2] 후군지병마사(後軍知兵馬事)에 임명되어 거란과 싸웠다.[3]

1222년(고종 9) 좌승선(左承宣)으로 있을 때, 지정된 날짜가 아닌 날에 자기 아들을 국자시(國子試)에 응시시키려고 했으나 국자정록(國子正錄)이 이를 거절했다.

이에 최종준은 당시 무신 집권자였던 최우(崔瑀)에게, “왕에게 자기 아들이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청을 넣어 달라”고 부탁하여 아들은 끝내 시험에 응시했고, 이 일로 사람들의 비웃음을 샀다.[1]

1226년(고종 13) 의방서(醫方書)인 『어의촬요방 御醫撮要方』 2권을 편찬했고,[4] 1227년(고종 14)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이듬해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또 그 이듬해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이부상서(吏部尙書)를 거쳤다가[5], 문하시중(門下侍中)에까지 이르렀다.

1242년(고종 29) 퇴직을 청했으나, 왕이 이를 윤허하지 않고 궤장(几杖)을 내렸으며, 1246년(고종 33) 졸했다.[1]

시호는 선숙(宣肅)이다.[6]

평가

편집

『고려사』는 최종준에 대해 「최유청전」에서 이렇게 평했다.

사람됨이 엄중(嚴重)하고 말수가 적었으나, 음악과 여색을 즐겼으며, 거처(居處)와 음식이 지나치게 사치스러웠다.

가족 관계

편집

출처를 표시하지 않은 부분은 『고려사』가 출처이다.

  • 증조 - 최석(崔奭, 1026년 ~ 1099년) : 검교태부(檢校太傅)·수태보(守太保)·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감수국사(監修國史)·판이예부사(判吏禮部事)·상주국(上柱國)·창원현개국자(昌原縣開國子)·식읍(食邑) 500호, 예숙공(譽肅公)
    • 조부 - 최유청(崔惟淸, 1093년 ~ 1174년) : 검교태위(檢校太尉)·수사공(守司空)·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집현전태학사(集賢殿太學士)·판예부사(判禮部事), 문숙공(文淑公)
      • 아버지 - 최선(崔詵, 1138년 ~ 1209년) : 수태사(守太師)·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수문전태학사(修文殿太學士)·감수국사(監修國史)·판이부사(判吏部事)·상주국, 문의공(文懿公)
      • 어머니 - 미상
        • 형 - 최종원(崔宗源) :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
        • 동생 - 최종재(崔宗梓) : 우복야(右僕射)·한림학사승지
        • 동생 - 최종번(崔宗蕃) : 승선(承宣), 최평(崔坪)의 아버지
          • 장남 - 최광(崔日+兄, 1208년 ~ 1229년)[7] : 내시(內侍)·감문위섭산원(監門衛攝散員)
          • 사위 - 이장용(李藏用, 1201년 ~ 1272년)[8] : 문하시중(門下侍中)·수문전태학사·감수국사·판이부한림원사(判吏部翰林院事)·태자태사(太子太師)·경원군개국백(慶源郡開國伯)·식읍 1000호·식실봉(食實封) 100호, 문진공(文眞公)

각주

편집
  1. 『고려사』 「최유청전」
  2. 이 당시 사재경(司宰卿) 관직에 있었음이 확인된다.
  3. 『고려사』 「김취려전」
  4. 『동국이상국집』
  5. 『고려사』 「고종세가」
  6. 『보한집』
  7. 『최광 묘지명』
  8. 『씨족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