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크폰페이어군
추크폰페이어군(영어: Chuukic–Pohnpeic languages, Trukic-Ponapeic)은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이라는 두 방언연속체가 이루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의 하위 어군이다. 추크폰페이어군은 미크로네시아어군에서 서쪽 끝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가장 최근에 분화했다.[2][3]
추크폰페이어군 | |
---|---|
지리적 분포 | 미크로네시아 |
계통적 분류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추크폰페이어군 |
하위 분류 | |
글로톨로그 | pona1247[1] |
분류
편집고유 혁신 사항
편집나머지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언어들과 구별되는 추크폰페이어군만의 고유한 혁신 사항에는 미크로네시아조어로부터의 역사적 음운 변동이 있다.
역사적 음운 변동
편집추크폰페이어군은 오세아니아조어와 미크로네시아조어로부터의 역사적 음운 변동을 공유하기도 하고,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 각각에 고유한 후대의 혁신 사항도 있다.
오세아니아조어 | *mp | *mp,ŋp | *p | *m | *m,ŋm | *k | *ŋk | *ŋ | *y | *w | *t | *s,nj | *ns,j | *j | *nt,nd | *d,R | *l | *n | *ɲ | |
---|---|---|---|---|---|---|---|---|---|---|---|---|---|---|---|---|---|---|---|---|
미크로네시아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x | *ŋ | *y | *w | *t | *T | *s | *S | *Z | *c | *r | *l | *n | *ɲ |
추크폰페이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r1 | *ŋ | *y | *w | *t | *j | *t | *t | ∅ | *c | *r | *l | *n | *ɲ |
1 /a/ 앞.
재구된 어휘
편집추크폰페이조어 | 한국어 해석 | 오늘날의 대응형 |
---|---|---|
*awa | 입 | 캐롤라인어 aaw, 폰페이어 aaw |
*faa | 용감하다, 강하다 | 추크어 fa '용감하다, 용맹하다', 모킬어 pa '재능이 있다' |
*fawo-ni-pei | 폰페이 섬의 이름 | 월레아이어 fóólopei, 폰페이어 Pohnpei |
*kurupʷu | 작은 풋코코넛 | 추크어 kurupʷ, 폰페이어 kurupʷ '덜 익은 코코넛' |
*pirafa | 훔치다 | 모르틀록어 púraf, 핀지랩어 pirap |
*waiya | 여행, 외국에서 왔다 | 캐롤라인어 weey '여행하다', 폰페이어 way '외국에서 왔다, 해외에서' |
*woro- | 목 | 추크어 woro-mi '삼키다', 폰페이어 wɛrɛ '그의 목' |
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Chuukic–Ponapeic〉.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Blust, Robert (2013). 《The Austronesian Languages》. Canberra, Australia: Asia Pacific Linguistics. ISBN 9781922185075.
- ↑ Lynch, John; Malcolm Ross; Terry Crowley (2002). 《The Oceanic languages》. Richmond, Surrey: Curzon. ISBN 978-0-7007-1128-4. OCLC 48929366.
- ↑ Bender, Byron W. (2003).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1”. 《Oceanic Linguistics》 42: 4, 5. doi:10.2307/3623449.
- ↑ Bender, Byron W. (2003).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2”. 《Oceanic Linguistics》 42: 271–281. doi:10.1353/ol.2003.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