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친박(親朴)이란 제18대 대한민국 대통령인 박근혜의 정치적 이미지를 따르는 지지자들이나 그의 측근이었던 정치 세력을 말한다. 이 집단의 여집합은 '비박'이라고 일컬어진다.
역사
편집친박이라는 용어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무리하게 가결되며 악화된 여론 속 한나라당의 구원투수로 박근혜 의원이 한나라당[1] 대표로 선출 및 각종 선거에서 당의 승리를 이끌면서 등장하였다.[2] 2007년부터는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당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 정치인을 가리키는 용어로 친박이 사용되었으며,[3][4] 친박계는 한나라당의 계파로 부상하였다.[2]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한나라당 후보 공천 과정에서 탈락한 서청원, 홍사덕 의원 등이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미래한국당에 입당하였고,[5] 이후 총선에서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당명을 "친박연대"로 변경하였다.[6][7] 총선 이후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는 탈당자의 복당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나,[8] 이후 입장을 선회하여 복당을 허용하였다.[9] 친박연대는 당명을 2010년 미래희망연대로 바꾸었고,[10] 같은 해 한나라당과 합당하였다.[11]
이명박 정부 후반기 친이계의 쇠퇴로 친박계는 분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친박계의 분화는 가속화되었다. 원박(원조 친박), 범박(범친박), 구박(舊朴, 과거에 친박이었음), 신박(신친박), 복박(돌아온 친박), 홀박(홀대받는 친박), 종박(從朴, 박근혜를 추종하는 친박), 월박(越朴, 비박이었다가 친박으로 넘어감), 멀박(멀어진 친박), 짤박(잘린 친박), 찍박(찍힌 친박), 옹박(박근혜 옹위) 부대 등 분화된 친박을 칭하기 위하여 다양한 파생 용어가 등장하였다.[2][4] 원박은 2007년 박근혜 당시 경선 후보를 지지한 정치인을 가리키는 말이며, 복박은 박근혜 후보가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패배한 이후, 박근혜와 정치적으로 멀어졌다가 다시 친박으로 복귀한 자를 말한다. 월박은 당초 친이계(친이명박계)였으나 친박계로 넘어온 자를 뜻한다.[12][2] 구박이란 2007년부터 박근혜를 보좌한 자를 말하며, 이에 대응되는 신박은 2010년 이후부터 친박에 편입한 자를 말한다. 멀박은 원박이었다가 정치적으로 멀어진 자를 말하며, 이후 이들이 새누리당 비박계의 핵심 세력을 형성하였다.[2] 박근혜 대통령이 2015년 11월 10일 국무회의에서 국회를 겨냥하여 “진실한 사람들만이 선택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한 이후에는 진박(진실한 친박)과 가박(가짜 친박)이라는 용어도 등장하였다.[4][13]
최순실 등의 민간인이 국정을 농단했다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이후 비박계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에 찬동하였으며,[14] 2016년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이후 친박계와 비박계의 갈등은 더욱 증폭되었다.[15] 12월 16일 새누리당 의원총회에 정우택 의원이 나경원 의원을 제치고 원내대표로 선출되자 이정현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가 사퇴하였다.[16] 비박계에서는 유승민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17]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 35명은 12월 27일 새누리당을 탈당한다고 21일 발표하였다.[18] 27일 비박계 의원 29명이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개혁보수신당의 창당을 선언하였다.[19] 2017년 1월 2일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불리던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가 당 쇄신 요구에 탈당을 선언하였다.[20] 2월 13일에 새누리당은 자유한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으나, "박근혜 대통령과의 거리두기와 선긋기"는 부정하였다.[21][22]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대통령을 파면하고,[23] 3월 3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구속되면서 정치적 구심점이 사라져, 자유한국당 내에서의 입지가 급속히 위축되었다.[24]
이후 자유한국당을 탈당한 친박들은 새누리당, 대한애국당의 친박 정당들이 등장하면서 친박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무죄석방과 명예 유지, 정권 교체를 요구하여 시위와 집회를 벌이게 되었다.
다만 의원으로는 2-3명에 불과해 여전히 자유한국당 내에 친박 의원은 50명 이상으로 분류된다.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는 당 쇄신 차원에서 2017년 11월 3일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제명하면서 강제로 출당 조치했고, 친박계는 반발했다.
역대 친박 구성원
편집각주
편집- ↑ 김남권; 황철환 (2012년 2월 13일). “새누리, 당명ㆍ정강정책 확정..`박근혜당' 완성”. 《연합뉴스》.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최우민 (2015년 2월 8일). “멀박·짤박·완박 … 대통령만 바라볼 뿐 동지의식 약해”. 《중앙일보》.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국기연 (2016년 8월 28일). “[특파원리포트] 친박·비박과 친트럼프·비트럼프”. 《세계일보》.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정환보 (2015년 11월 12일). “진박·가박·용박·멀박·홀박···‘친박 용어사전 개정판’”. 《경향신문》.
- ↑ 김성동. “[집중취재] ‘친박연대’의 탄생에서 소멸까지”. 《월간조선》.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성연철 (2008년 3월 19일). “[단독] ‘친박’들, ‘친박연대’ 당명으로 신장개업 채비”. 《한겨레》.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남권 (2008년 3월 21일). “선관위, `친박연대' 당명사용 가능 결정”. 연합뉴스.
- ↑ 이새누리 (2008년 3월 26일). “강재섭 "'복당불가' 당규, 朴 대표 때 만들어"”. 《머니투데이》.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심형준 (2008년 6월 2일). “〈종합1보〉한, 친박 복당 허용 가닥...친박계 해석 놓고 촉각”. 《뉴시스》.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황장석 (2010년 2월 13일). “친박연대 새 당명 ‘미래희망연대’ 결정”. 《동아닷컴》.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성곤 (2010년 7월 14일). “한나라당, 미래희망연대와 합당..176석 거대 정당으로”. 《아시아경제》.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임지선; 강병한 (2012년 5월 22일). “‘친박의 재구성’… 원박·중박·근박·초근박에 어박까지”. 《경향신문》.
- ↑ “박근혜 대통령 '진실한 사람' 발언 정치권 공천 전쟁 불붙이나”. 《YTN》. 2015년 11월 11일.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김동현; 강지혜 (2016년 12월 6일). “비박계 "탄핵 준비 끝났다…필요하면 명단 공개"”. 《뉴시스》.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갈등 폭발 새누리... 친박 vs 비박 '막말혈전'”. 《YTN》. 2016년 12월 12일.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이정현 대표 등 새누리 지도부 전격 사퇴…'친박' 정우택 원내대표 당선後”. 2017년 1월 2일에 확인함.
- ↑ 김진우. “[박근혜 탄핵 정국]비박계 ‘유승민 비대위원장’ 추천…분당 불사 최후통첩”. 《경향신문》. 2016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이승우; 류미나 (2016년 12월 21일). “비박 의원 35명 "27일 새누리 탈당"…사상 첫 보수정당 분당(종합)”. 《연합뉴스》.
- ↑ 이승관 (2016년 12월 27일). “비박계 의원 29명 집단탈당…'개혁보수신당' 창당 선언(종합)”. 《연합뉴스》. 2016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안용수 (2017년 1월 2일). “쇄신바람에 탈당한 '元朴' 이정현…대표 내려놓은지 보름만”. 《연합뉴스》. 2017년 1월 2일에 확인함.
- ↑ “새누리당 당명 ‘자유한국당’으로 변경”. 2017년 2월 8일. 2017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새누리당, ‘자유한국당’으로 당명 개정 확정”. 2017년 2월 13일. 2017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헌법재판소 (2016헌나1)
- ↑ 홍정규 (2017년 3월 31일). “폐족위기 몰린 친박계…"이제는 '옛 친박'으로 형해화"”. 《연합뉴스》. 2017년 3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