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송림사 대웅전
칠곡 송림사 대웅전(漆谷 松林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에 있는 신라 시대의 대웅전이다. 2012년 2월 13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3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7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1]
![]() | |
![]() | |
종목 | 보물 (2012년 2월 13일에 유형문화재로, 2021년 7워 22일에 보물로 지정) |
---|---|
수량 | 1동 |
시대 | 신라 |
위치 | |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 |
좌표 | 북위 35° 58′ 56.1″ 동경 128° 34′ 40.2″ / 북위 35.982250° 동경 128.577833°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개요 편집
17세기부터 서서히 회생한 불교건축은 17세기 후반에 맞배지붕의 다포 주불전 건물이 일반화되는데, 송림사의 주불전인 칠곡 송림사 대웅전은 임진왜란의 전란을 겪은 후 1649년에 중수되었으며 이후 1755년, 1850년 두 차례의 중수를 거쳐 현재 모습으로 남아 있는 건물이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옆면 3칸 규모인데 17세기 이후 재건한 불전이 정면 3칸, 옆면 2칸을 채택했던 추세와 달리 이전의 규모를 지키고 있다.[2]
평면 규모뿐 아니라 실내구성에서도 당대 흐름인 중앙에 대형 불단을 설치하고 후불벽을 두어 예불공간을 확장시키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옛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공포의 짜임은 비교적 시기가 올라가는 교두형[주해 1] 공포로 짰는데 이런 유형의 공포는 팔공산 일대 사찰 등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지역 특색이다.[2]
송림사 대웅전은 17세기 중엽 중수된 이후 18세기 말, 19세기 중엽 두 차례의 중수를 거치면서 주칸의 크기를 재조정하고 외관이 달라지는 수준의 큰 변모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팔공산 일대 사찰건축의 특징이 반영된 옛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하여 역사성을 잘 계승하고 있다.[2]
주해 편집
- ↑ 교두형: 흔히 공포의 짜임에서 전면으로 길에 내민 활이나 날개모양의 살미형식이 아니고 끝을 각지게 깍아 낸 모양의 공포 형식
각주 편집
- ↑ 문화재청 (2021년 7월 21일). “『칠곡 송림사 대웅전』‧『대구 동화사 극락전』‧『수마제전』 보물로 지정”.
- ↑ 가 나 다 “『칠곡 송림사 대웅전』『대구 동화사 극락전』『수마제전』3건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 2021년 5월 25일.
참고 자료 편집
- 칠곡 송림사 대웅전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된 자료를 기초로 작성된 글과 사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