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창 (명)

명나라의 연호

태창(泰昌)은 명나라 광종(光宗) 태창제(泰昌帝)의 연호이다. 1620년에 사용되었다.

중국 명청대에는 황제가 교체되어 연호를 바꿀 경우, 유년개원(踰年改元)이라고 하여 이전 황제가 붕어한 그 다음해 첫날에 연호를 고쳤다. 만력 48년(1620년) 7월 만력제가 붕어하자, 이해 8월에 즉위한 광종도 유년개원의 원칙에 따라 이듬해(1621년)부터 태창 원년으로 개원할 것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광종은 9월에 급사하였고, 그 뒤를 장남 주유교(朱由校)가 잇게 되었으니, 이가 바로 희종(熹宗) 천계제(天啓帝)였다. 이렇게 되면 광종의 치세를 가리키는 '태창' 연호는 쓰이지도 못하고 새 황제의 연호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군신들은 논의 끝에 만력 48년 8월 이후를 '태창 원년'으로 하고, 그 이듬해는 천계 원년으로 하였다.

개원편집

만력(萬曆) 48년 8월 1일[1](1620년 8월 28일)에 개원함.

연대대조표편집

태창 원년
서기
(西紀)
1620년
간지
(干支)
경신(庚申)

삭일(1일)편집

삭일
태창 원년
(1620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경진일
(庚辰日)
기유일
(己酉日)
기묘일
(己卯日)
무신일
(戊申日)
무인일
(戊寅日)
정미일
(丁未日)
병자일
(丙子日)
병오일
(丙午日)
을해일
(乙亥日)
갑진일
(甲辰日)
갑술일
(甲戌日)
갑진일
(甲辰日)
그레고리력 1620년
2월 4일

3월 4일

4월 3일

5월 2일

6월 1일

6월 30일

7월 29일

8월 28일

9월 26일

10월 25일

11월 24일

12월 24일
율리우스력 1월 25일 2월 23일 3월 24일 4월 22일 5월 22일 6월 20일 7월 19일 8월 18일 9월 16일 10월 15일 11월 14일 12월 14일

동시대 연호편집

중국편집

후금(後金)

베트남편집

후 레 왕조(後黎朝)
막 왕조(莫朝)

일본편집

관련항목편집

각주편집

  1. 경신년(庚申年) 8월 병오일(丙午日)
이전 연호
만력(萬曆)
중국의 연호
(明)
다음 연호
천계(天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