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타이
롱타이(베트남어: Long Thái / 隆泰 융태 / 1618년 1월 ~ 1625년 6월)는 베트남 막 왕조(莫朝)의 군주 막낀코안(莫敬寬)의 연호이다.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는 1623년 7월에 막낀코안이 칭제하여 롱타이 연호를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와 《대월통사》(大越通史)에는 1618년 1월에 칭제하여 롱타이 연호를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끼엔통 26년(1618년) 1월, 후 레 왕조(後黎朝)와 전쟁에서 패배가 계속되어 기약없는 피난이 지속되었다. 피난 중에 막 왕조 중앙 정부와 경왕(慶王) 막낀코안이 흩어지면서 소식이 두절된다. 그 이후, 경왕(慶王) 막낀코안은 일부 관리와 함께 칭제건원을 하게 되면서, 롱타이 연호를 사용하게 된다.
롱타이 8년(1625년) 5월, 까오방의 황제 막낀꿍이 생포된 후에 탕롱으로 압송되었다. 이후, 막낀꿍이 참수되었다. 6월, 막낀꿍이 참수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막낀코안은 후 레 왕조 군대에 항복하여, 칭제건원을 포기하면서 롱타이 연호도 중지된다. 이후, 탕롱에 레 신종에게 입조한 후, 태위통국공(太尉通國公)에 봉해지고 나서, 후 레 왕조의 제후 신분으로 목숨을 연명한다. 막낀코안 사후에 막낀호안(莫敬完)이 칭제 건원 후 투언득(順德)으로 개원하기 전까지 13년 동안에는 후 레 왕조의 연호를 사용하였다.[1][2][3]
개원 편집
연대 대조표 편집
롱타이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서기(西紀) | 1618년 | 1619년 | 1620년 | 1621년 | 1622년 | 1623년 | 1624년 | 1625년 |
---|---|---|---|---|---|---|---|---|
간지(干支) | 무오(戊午)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辛酉) | 임술(壬戌) | 계해(癸亥) | 갑자(甲子) | 을축(乙丑) |
후 레 왕조 (後黎朝) |
호앙딘 (弘定) 19년 |
20년 빈또 (永祚)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막 왕조 (막낀꿍) |
끼엔통(乾統)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31년 |
32년 |
33년 |
명(明) | 만력(萬曆) 46년 |
47년 |
48년 태창(泰昌) 원년 |
천계(天啓)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동시대 연호 편집
베트남 편집
- 후 레 왕조(後黎朝)
중국 편집
- 명(明)
- 후금(後金)
- 중국(기타)
- 이신(李新) 홍무(洪武) (1619년)
- 이문(李文) 천진혼(天眞混) (1619년)
- 사숭명(奢崇明) 서응(瑞應) (1621년 ~ 1629년)
- 서홍유(徐鴻儒) 대성흥승(大成興勝) (1622년)
- 정진명(鄭振明) 일통(一統) (1622년)
- 후덕(侯德) 현정(玄静) (1622년)
- 양환(楊桓), 양종유(楊從儒) 의덕(懿德) (1624년)
일본 편집
각주 편집
이전 끼엔통(乾統) |
막 왕조의 연호 1618년 ~ 1625년 |
다음 투언득(順德) <후 레 왕조 빈또(永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