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유강 (정도공왕)

유강의 제후왕 임기(특히 개원 시기)에 관해 편집

유강은 처음에 제양왕에 봉해졌다가 8년째에 산양왕으로 전봉되었고, 다시 8년 후 정도왕으로 봉해졌습니다. 이에 대해 《한서》 권80 선원육왕전에는 단순히 각기 '8년째'라고만 기록되어 있으나, 권14 제후왕표에는 정도왕 책봉 시기가 하평 4년(기원전 25)이라고 설명이 덧붙여져 있습니다(산양왕 8년차임은 동일합니다). 단순히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할 수는 없는 게, 춘추 시대처럼 즉위한 이듬해에 개원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계산하면 연도가 맞아떨어집니다. 이렇게 계산할 경우…

기원전 41년 제양왕 책봉. 제양왕 원년은 기원전 40년

→ 제양왕 8년(기원전 33), 산양왕으로 전봉(이듬해에 개원하므로, 산양왕 원년은 기원전 32년)

→ 산양왕 8년(기원전 25), 정도왕으로 전봉

이렇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본다면 유운의 몰년 오차도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어쩌면 현재 등재되어 있는 모든 제후왕의 임기를 교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威光 (토론) 2015년 7월 1일 (수) 19:39 (KST)답변

보충 설명을 드리자면, 유강의 후임 정도왕인 유흔이 습작한 시기는 제후왕표에 따르면 양삭 3년(기원전 22)입니다. 유강이 양삭 2년(기원전 23)에 죽었음을 생각하면, 이 또한 즉위한 이듬해에 개원한 것으로 계산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威光 (토론) 2015년 7월 1일 (수) 19:51 (KST)답변
전한의 제후왕의 개원을 제가 이해한 바는 '첫 왕은 즉위년을 원년으로 삼고, 그 다음 왕들은 즉위한 이듬해에 개원한다(유년개원)'입니다.
  • 제왕 한신, 고제 4년(기원전 203년) 책봉. 제왕 원년은 고제 4년
  • 초왕 한신, 고제 5년(기원전 202년) 책봉. 초왕 원년은 고제 5년
  • 장사문왕 오예, 고제 5년(기원전 202년) 책봉. 장사문왕 원년은 고제 5년
  • 회남왕 영포, 고제 4년(기원전 203년) 책봉. 회남왕 원년은 고제 4년
  • 조경왕 장이, 고제 4년(기원전 203년) 책봉. 조경왕 원년은 고제 4년
  • 연왕 노관, 고제 5년(기원전 202년) 책봉. 연왕 원년은 고제 5년
  • 양왕 팽월, 고제 5년(기원전 202년) 책봉. 양왕 원년은 고제 5년
  • 초원왕 유교, 고제 6년(기원전 201년) 책봉. 초원왕 원년은 고제 6년
  • 형왕 유고, 고제 6년(기원전 201년) 책봉. 형왕 원년은 고제 6년
  • 제도혜왕 유비, 고제 6년(기원전 201년) 책봉. 제도혜왕 원년은 고제 6년
  • 조은왕 유여의, 고제 9년(기원전 198년) 책봉. 조은왕 원년은 고제 9년
  • 조공왕 유회,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양왕으로 책봉. 조공왕 원년은 고제 11년
  • 조유왕 유우,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회양왕으로 책봉. 조유왕 원년은 고제 11년
  • 회남여왕 유장,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책봉. 회남여왕 원년은 고제 11년
  • 오왕 유비, 고제 12년(기원전 195년) 책봉. 오왕 원년은 고제 12년
책봉년도는 조은왕 유여의는 한서 제후왕표, 나머지는 사기 고제본기, 원년은 모두 사기 한흥이래제후왕표에서 취했습니다.
그런데 고제 때의 제후왕과 여태후 때의 제후왕은 표기가 좀 다릅니다. 고제의 제후왕은 “初王□元年。” 꼴로 왕을 처음 뒀을 때부터 원년으로 센다고 나오는데, 여태후 때의 제후왕은 한 해의 칸에 “初置□國。”이 있고 다음 해의 칸에 “□王■元年。”이 나와 제후국을 둔 다음 해가 원년으로 나옵니다.
  • 노왕 장언, 혜제 7년(기원전 188년) 책봉. 노왕 원년은 고후 원년(기원전 187년)
  • 회양회왕 유강, 혜제 7년(기원전 188년) 책봉. 회양회왕 원년은 고후 원년(기원전 187년)
  • 항산애왕 유불의, 혜제 7년(기원전 188년) 책봉. 항산애왕 원년은 고후 원년(기원전 187년)
  • 여숙왕 여태, 혜제 7년(기원전 188년) 책봉. 여숙왕 원년은 고후 원년(기원전 187년)
  • 연경왕 유택, 고후 7년(기원전 181년) 낭야왕으로 책봉. 연경왕 원년은 고후 7년(기원전 181년)
연경왕 빼면 전부 즉위한 다음 해에 원년입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7월 1일 (수) 21:32 (KST)답변
연경왕 빼면 지금 글 쓰는 시점(2015년 7월 1일 오후 10시 47분) 이전의 판의 재위 기간 시작이 다 틀렸네요. 고쳐야겠습니다. 공교롭게도 맞게 쓸 수 있던 연경왕 항목은 낭야왕 원년이 안 적혀 있어서 아무런 상관도 없게 됐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7월 1일 (수) 22:47 (KST)답변
각 제후국의 초대 왕들과 복국된 왕들은 다 새로 검토해봐야겠습니다. 다른 황제 시절은 면밀히 검토하지 못하고 대충 보긴 했으나, 오히려 고제 때가 특이한 경우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동평양왕의 재위 기간은 확정하기 어렵습니다. 제후왕표의 두 기록(동평양왕 16년과 건평 3년)은 일치하더라도 선원육왕전의 立十七年과는 여전히 충돌하는 것 같습니다. 立二年이 원년이라고 볼 수 있으면 모릅니다만.--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7월 1일 (수) 22:53 (KST)답변
어제 잘못 봤네요. 노왕 ~ 여숙왕 모두 고후 원년(기원전 187년)에 봉해졌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7월 2일 (목) 10:45 (KST)답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전에 하나 짚고넘어가야 할 게 있습니다. 제후왕표의 연도는 각 제후왕 기년일 수도 있고 황제의 기년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조은왕은 12년에 여후에게 죽었다는데 조은왕이 12년이나 왕노릇했을 리는 없으니 이 12년은 고제 12년(기원전 195년)이고, 그 바로 다음 칸의 대왕은 17년이 고후 8년(기원전 180년)이라 했으니 이 17년은 대왕 18년입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7월 2일 (목) 11:42 (KST)답변
유강의 아우인 중산효왕 유흥을 살펴보겠습니다. 건소 2년에 즉위했고 15년 곧 양삭 2년에 중산으로 옮겼습니다. 건소 15년은 없으니 15년은 중산효왕, 아니 신도왕 15년입니다. 건소 2년은 기원전 37년이고 양삭 2년은 기원전 23년이니, 신도왕 원년은 건소 2년 곧 즉위한 바로 그 해입니다.
선원육왕전의 다른 왕은 제후왕표로만 유년칭원과 훙년칭원을 구분할 수 없으니 선원육왕전과 본기를 참고하겠습니다. 중산애왕 유경은 초원 2년에 청하왕으로 즉위해서 5년에 중산왕으로 옮겼고 13년에 죽었습니다. 초원 13년은 없으니 중산애왕 13년입니다. 원제기에 중산애왕은 건소 4년에 죽었다고 합니다. 초원 2년은 기원전 47년이고 건소 4년은 기원전 35년이니, 중산애왕 원년은 초원 2년 곧 즉위한 바로 그 해입니다.
초효왕 유오는 감로 2년에 정도왕으로 즉위해서 4년에 초왕으로 옮겼고 28년에 죽었습니다. 감로 28년은 없으니 초효왕 28년입니다. 성제기에 초효왕은 하평 4년에 죽었다고 합니다. 감로 2년은 기원전 52년이고 하평 4년은 기원전 25년이니, 초효왕 원년은 감로 2년 곧 즉위한 바로 그 해입니다.
동평사왕 유우는 감로 2년에 동평왕으로 즉위해서 32년에 죽었습니다. 감로 32년은 없으니 동평사왕 32년입니다. 성제기에 동평사왕은 양삭 4년에 죽었다고 합니다. 감로 2년은 기원전 52년이고 양삭 4년은 기원전 21년이니, 동평사왕 원년은 감로 2년 곧 즉위한 바로 그 해입니다.
회양헌왕 유흠의 행적은 회양왕 기년 외에 다른 방법으로 연도를 적지 않아서 분석에 실패했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7월 2일 (목) 16:08 (KST)답변
말씀 감사드립니다. 거 참, 이렇게나 기록이 들쭉날쭉할 줄은 몰랐습니다. 특히나 황제의 기년인지, 제후왕의 기년인지조차 통일이 안 되어있다는 사실 자체가... -_-;; 저도 힘 닿는 데까지 조사해 보겠습니다. --威光 (토론) 2015년 7월 4일 (토) 23:03 (KST)답변
"유강 (정도공왕)"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