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이병도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이병도는 과연 친일사학자일까요? 편집

다음은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실린 '이병도' 항목 중 일부입니다만.

1934년 한국의 언어·문학·역사·민속·미술을 연구하는 한국인 학자들과 함께 진단학회(震檀學會)를 창립하였다. 그리고 ≪진단학보≫를 간행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 때 발기인은 이윤재(李允宰)·조윤제(趙潤濟)·손진태(孫晉泰)·이상백(李相佰) 등이었다.

≪진단학보≫는 국문으로 된 최초의 본격적인 학술지로, 일제에 대한 학문적·문화적 저항의 뜻을 함축하고 있었다. 그 뒤 1943년 일제의 탄압으로 학회활동을 중단하기까지 14집을 간행하였다.

친일 사학자였다면 일제의 탄압으로 학회활동을 중단했다는건 말이 안되죠.. 이병도가 친일논란이 등장한 이유는, 조선사편수회 때문인데, 조선사편수회의 작품 '조선사' 에는 요서경락설 까지 포함될 정도로 역사왜곡을 직접적으로 행하기 위한 단체는 아니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내용이 중립성을 훼손한건 아닌지 고려해볼 문제인듯 합니다.

자료출처 : http://hkh336.egloos.com/519391

덧붙여서, http://mecry.com.ne.kr/introhistory/sagoan.htm 에서는 식민사관과 이병도의 '실증사관' 을 엄격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서구에서 랑케가 시작한 실증주의 사학은 식민지시기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한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일본의 관학 아카데미즘을 도입하여 자신들의 역사연구 방법론으로 삼았다. 이후 일본인 학자들과는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실증적 연구로 식민사학을 극복할 수 있는 학문적 토 대를 마련해 나갔다.해방과 한국전쟁 후에는 남한 학계의 주된 학풍으로 성장하여, 현재 학계의 주류로 성장했다.

이병도가 비판받는 상대는 소위 '재야사학' 이라고 불리우는 환단고기 측 입니다만. 오히려 그들의 주장과 '식민사관' 이 비슷하면 비슷했지, 이병도와는 거리가 먼거 같습니다. 이병도가 위만조선인설을 주장한 것이라던가, http://orumi.egloos.com/1763156 위의 '진단학보' 를 통해 임나일본부설을 부정한것은 깡그리 무시하거나, 이병도가 주장한것이 아닌척 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도 주의해야 할 점일 것입니다.--Nunting 2006년 7월 27일 (목) 01:19 (KST)답변

친일명단에 수록되었다는 것만 언급되어 있지, 개론부터 친일파라 규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스톰대박 %·%
그리고 친일명단에 수록된 기준은 그의 사관이 아닙니다. %%스톰대박 %·% 2008년 7월 27일 (일) 13:45 (KST)답변
진단학회는 자신의 친일 행위가 드러날까 두려워 순수 민간학술단체로 위장한 단체입니다.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12:14 (KST)답변

이종욱 편집

본문에 이종욱을 클릭하면 세계보건기구의 사무총장을 역임한 이종욱 박사가 나온다.

이기백의 제자로 주류사학에 도전적인 비판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학자 이종욱 서강대 교수는 자료가 없다.211.243.209.181 2007년 4월 27일 (토) 16:51 (KST)답변

약력 편집

↑ 김정희(반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식민사관을 계승한 이병도사관. ↑ 박선협 (2005년 3월 15일). ´이병도사관´에 놀아난 한국역사. 데일리안.

이상 두 내용을 바탕으로 쓰여진 약력은 그 년도가 사실과 조금씩 다른데,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겠습니까. 작성자가 계신지는 모르겠으나, 옮겨온다거나 지우면 노하실 분들이 계실까 싶어서 일단 생애와 약력 두 내용을 놓아둡니다.  천어/토론 2007년 7월 21일 (토) 06:29 (KST)답변

반민족문제연구소의 내용은 개인 홈페이지에 링크되어 있어서, 원본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고, '데일리안'의 경우도 개인 투고의 경우이므로, 지금으로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견해를 따르는 것이 옳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7월 25일 (수) 04:49 (KST)답변
정리된 내용이 '이병도'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내용과 매우 비슷합니다. 일단 '저작권 침해 의심' 문구를 붙였습니다만, 내용을 다시 정리해 놓을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9월 2일 (일) 15:51 (KST)답변
맨 앞 부분이 매우 비슷하네요 -_-; 제가 써놓고도 지금 알았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9월 2일 (일) 16:13 (KST)답변
최소한 한 문단마다 각주로 어디서 퍼왔는지 정도는 써줘야 인용이라도 되지, 출처가 붙어있지 않고 그냥 쓰면, 말투 좀 고쳤다고 표절이 아닌게 되는게 아니겠죠. 자세히 각주를 붙이고, 글을 좀 다듬으면 좋겠습니다. -- WonYong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e-Mail) 2007년 9월 2일 (일) 19:13 (KST)답변

링크의 임의 삭제 편집

'엠파스 한국학'에 대한 링크가 임의로 삭제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jtm71 2007년 7월 25일 (수) 04:21 (KST)답변

여러모로 비중립적 서술이 보이는군요. 편집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이병도=친일사학자'라고 결론을 내린듯 한 서술이 보입니다. 게다가 그러한 부분의 출처는 다음 카페 같은 공신력이 떨어지는 것들이고, 가장 신빙성이 있는 출처가 데일리안 정도의 언론이라면 문제가 있습니다.--..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2:25 (KST)답변

+ 논란이 되는 부분을 서술할려면 적어도 사학 관련 책자 또는 논문 정도는 되어야 신빙성이 확보될 듯 싶습니다. 출처 중 2개가 다음 카페, 1개는 티스토리 블로그인데, 그다지 신빙성이 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2:37 (KST)답변

먼저, '이병도=친일사학자'라는 결론은 이미 학계에서 결론이 내려진 상태입니다. 다음 카페에 대한 문제는 수정했습니다. 데일리안을 말씀하셨는데, 데일리안을 신뢰하지지 못하신다면 프레시안도 신뢰하시지 못하신 다는 건가요? 데일리안이나 프레시안도 인터넷 언론으로서는 상당한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블로그는 시사인이라는 주간지에서 직접 운영하는 티스토리 블로그 입니다. 시사인에 대해서는 위키백과에도 그 내용이 있네요.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2:50 (KST)답변
pluskorea의 다른 기사들을 대충 훝어보니 과연 이 사이트를 신뢰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아무리 주간지에서 직접 운영한다고 하여도, 블로그를 출처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시사인 등에 직접 실린 글이라면 몰라도... 다른 출처에 그 내용이 있을 듯 하니 다른 출처를 찾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병도=친일사학자'라면, 언론사 기사 대신 논문이나 단행본 등을 쓰는 것은 어떤지요. 단행본이 힘들다면 인터넷에서 접근이 가능한 논문은 어떨까요? [1]<- 잘 아시리라고 생각합니다만, riss4u 등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논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2:57 (KST)답변
음... 이에 대한 논문이 있을줄 알았는데 별로 없는듯 하군요 ;; 아무튼간에 단정적인 서술도 피하시는게 좋을 것 같고, 논란이 많은 부분이니 좀 더 공신력 있는 출처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02 (KST)답변
이병도의 사관에 대한 결론은 이미 길게는 10년 적어도 5년 전에 내려졌기 때문에 riss4u에서 찾기는 무리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이병도에 대하여 연구논문을 쓴적이 있는데 편집자가 자신의 논문을 인용해도 되겠습니까? 제가 만일 제 논문이 국회도서관에 등재되어 있다해도 제 논문을 인용한다는 것은 도의적으로 옳지 않다고 보는데요-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04 (KST)답변
국회 도서관에 등재 되어 있다고 해서 대단한 것은 아닙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석사나 박사학위를 취득하면 자신의 논문을 국회 도서관에 등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06 (KST)답변
그래서 사실 저도 석박사 논문 인용은 피합니다. 사실 논문 인용은 제가 아직 잘 모르는 것이 많다보니 꺼려지는 것도 사실이고... 제 의견은, 만약 편집자 자신의 논문이라고 하여도 그것이 신뢰할 수 있는 논문집에 실려있다면 (석박사 논문이라면 좀 곤란하겠지만요 ;;) 인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따지고 보니 권위있는 출판사에서 나온 단행본 인용이 가장 좋을듯 싶네요.--..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09 (KST)답변
방금 또 찾아봤는데, 적어도 제가 접할 수 있는 책 중에서는 이병도에 대해 논한 책은 별로 없는 듯 합니다. 이병도가 쓴 책은 많지만요. 음....--..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13 (KST)답변
제 기억으로는 이병도에 대한 내용은 논문으로만 발표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행본이나 논문집보다는... 그리고 최근에 와서 한국사 관련 학회지 발행도 중단되었구요... 제가 당시 인용했던 자료를 찾아보기는 하겠습니다. 이병도가 쓴 책은 제가 많이 갖고 있는데 인용해도 문제가 될까요? 다만, 이 문서를 훼손하려는 사용자가 있는 것 같습니다.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제가 경고를 줬는데도 계속 트집을 잡는 군요) 아무튼 힘내시기 바랍니다. 화이팅!-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13 (KST)답변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본문을 윤문하는 것 밖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16 (KST)답변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이병도가 국사편찬위원회의 편사위원을 지냈었기 때문에 그를 직접 비판하는 단행본도서를 출한할 용기를 가진 학자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한 20년 정도 흐르면 모를까요. 하지만, 학계에서도 우리 역사학도들이 그 진실을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공식적 문서로 정립되지만 않았을 뿐입니다. 이게 인문학의 비애죠... 위키피디어의 까다로운 규정이 진실을 막는 군요...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20 (KST)답변
우선 수고해주신다니 감사합니다. 그리고 제 의도도 이해해 주신 것 같아서 감사합니다. 토론 문서에서 논의중인 내용을 논의 없이 지울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저도 주의를 두어야 하겠습니다. 이병도가 직접 서술한 책이라면 충분히 인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위키백과의 중립성 정책도 염두에 두시어 좋은 편집을 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저 보다 님께서 훨씬 많은 것을 알고 계신듯 하니, 님의 의견을 존중해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문서는 시간을 두고 차차 편집해 가도록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일단 님께서 문서의 내용에서 단정적인 서술이 정리가 되었고, NPOV를 어느정도 충족한다고 생각하신다면, POV틀은 떼셔도 될 듯 싶습니다. 출처 틀은 이후 출처가 보강되면 그때 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님이 생각하시는 문제점은 위키백과가 백과사전이라는 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 수 없다고 봅니다.....--..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23 (KST)답변

곧 개학이라 수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당장은 힘들고 조금씩 윤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32 (KST)답변

바쁘실텐데 관심을 가져주셨으니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TTT.. (토론) 2008년 8월 15일 (금) 23:36 (KST)답변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참조하시고 논란이 예상되는 내용은 각별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jtm71 (토론) 2008년 8월 16일 (토) 08:48 (KST)답변

논란이 되는 내용 관련 편집

생존하고 있는 인물은 아니지만, 내용은 바르게 씌여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진단학회의 설명에서 친일성은 지적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내용이라는 것인데, 출처로 제시된 내용은 다소 자유롭게 씌여져 있고, ('made in Japan') 논란을 사실로 인정할 만한 저자의 전문성이 입증되지 않습니다. 일단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은 주석으로 옮겼습니다. jtm71 (토론) 2008년 8월 16일 (토) 09:00 (KST)답변

지적하신 해당 내용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아직 학계에서 논의중인 부분이므로, 삭제하였으나 이병도가 친일 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은 다시 살렸습니다.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7일 (일) 22:04 (KST)답변

'학계에서 논의 중'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 그리고, 출처는 '직접' 확인한 것입니까 ...? jtm71 (토론) 2008년 8월 18일 (월) 01:03 (KST)답변

그 책은 제가 직접 소장하고 있는도서입니다. '월간 자유'라는 학술지 성격의 월간지 입니다.(TTT님의 토론에서 언급한 단행본 도서와는 다른 서적입니다.) 지금 알아본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람하실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존경하는 고(故) 장준하 선생께서 창간하신 '사상계' 1955년 6월 호에서도 유사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계에서 논의중이라는 것은 이야기가 긴데요, 진단학회가 창설될 당시 조선의 역사사관학계는 민족주의사학, 사회경제사학, 실증주의사학, 식민사학으로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식민사학은 일제가 정립한 것으로서 이를 체계적으로, 학문적으로 이루어나가기 위해 조선사 편수회와 청구학회를 만듭니다. 이곳에서 정체성론과 타율성론에 입각하여 조선사를 왜곡하는데요 이에 대해 조선의 사학자들이 비판을 하게됩니다. 민족주의사학자이신 신채호선생, 박은식선생, 정인보선생등과 사회경제사학자이신 제가 진심으로 존경하는 백남운선생 같은 분들이십니다. 이 분들과 이분들의 사관에 대해서는 학계의 입장 정립이 사실상 완료된 상태입니다. - 일제의 식민사관에 맞섬 -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이 실증주의 사학입니다. 실증주의 사관을 표방하는 학술단체가 진단학회 입니다. 그런데 실증주의는 특성상 역사의 해석을 배제하고 역사서만들 고증하고 살피기 때문에 식민사관을 효과적으로 비판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해서, 현재 학계에서는 크게 진단학회를 친일을 방조한 단체, 민족 사학과 식민사학의 중간단계, 민족 사학단계 이 세가지로 보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궁금증을 푸시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8일 (월) 16:00 (KST)답변

그러한 논의가 있었다면 관련된 학계의 논문이나 논문집 같은 학술 자료를 제시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민족문화대사전'의 내용이나 검색이 가능한 논문들은 모두 진단학회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듯합니다. jtm71 (토론) 2008년 8월 18일 (월) 17:05 (KST)답변
쉬운방법으로, 현행 국사 교사용 지도서를 확인해보면 됩니다. 제 1 부의 '한국사에서의 사관'이라는 장을 살펴보면 '...이에 일부 학자들 사이에 실증 사학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실증 사학이 개별적인 사실의 고증헤 치중한 나머지 사회의 발전 상태를 소홀히 하였다고 비판하기도 한다...적극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의 진술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약간 미약하나마 위의 논의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시간적 사정으로 관련 자료의 제시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9일 (화) 00:25 (KST)답변
해당 문장은 '고증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지, 친일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데요 ...? jtm71 (토론) 2008년 8월 19일 (화) 07:24 (KST)답변
아, 월간으로 고쳐 놓으셨군요.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8일 (월) 16:46 (KST)답변
1976년 7월 발행의 월간 '자유'를 소장하고 있고 그 내용도 확인하였다는 것인가요 ...? 해당월의 잡지에는 그러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월간 '자유'는 학술지라기보다는 개인 발행의 출처에 가깝습니다. 다른 논문에서 이 잡지의 글들을 인용하던가요 ...? jtm71 (토론) 2008년 8월 18일 (월) 17:03 (KST)답변
알고 계신 것이 7월 1일로 발행된 9권 6호 6-7월 합본호가 맞습니까? 직접 확인하신 것이 맞습니까? 타 논문에서의 관련 잡지 글의 인용 여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Wikipetan (토론) 2008년 8월 19일 (화) 00:20 (KST)답변
해당 내용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사항을 확인하였습니다. 제시된 글은 9권 7호에 수록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저자 또한 '이용림'이 아닙니다. jtm71 (토론) 2008년 8월 19일 (화) 07:24 (KST)답변

본문으로부터 이동 편집

다음 내용을 본문으로부터 이동하였습니다.

조선사편수회에 있으면서 그는 일제의 한국침략과 지배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식민사관을 정립하였다. 그는 이러한 식민사관을 바탕으로 한 무수한 저서를 편찬하여 한국인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말살하려는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에 일조하였다.

반민족문제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조선사편수회에서의 이병도의 활동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jtm71 (토론) 2008년 8월 23일 (토) 08:2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이병도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일 (목) 10:29 (KST)답변

"이병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