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민주주의” 항목 결여 유감

조선말 위키피디어에 (조선은 북조선의 전유물이 아니며 조선간장 등에서 보듯이 조선민족 전체를 포괄할 수 있다고 봅니다. 1945년까지 우리 민족은 스스로를 조선사람이라고 인식하지 않았습니까. 조선말을 살리려는 노력을 하던 선각자들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고초를 치르기도 하였구요. 역사상 남쪽에만 존재했던 삼한에서 유래된 한국이란 용어보다 포괄적이고 중립적이지요. 그래서 저는 도올 선생처럼 많은 분들이 이 표현을 쓰셔서 오랜 역사가 밴 이 말을 자라나는 세대에게도 친숙하게 만들어주시길 바랍니다. 세대간 이질감도 줄일 수 있겠고 역사의식도 깊어지지 않을까요?) “민주주의” 항목이 없다는 것은 크나큰 맹점입니다.

독일이 22만 이상의 항목을, 프랑스와 일본이 11만 이상의 항목인 데 비해 한국어가 천 항목 이상의 언어로 분류되어 세계의 위키백과 사용자 앞에 나타나고 있는 모습은 한국의 학자 및 지성인들이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라고 봅니다. 정치문화의 기본, 정보의 대중화에 힘쓸 직업적, 도덕적 책임이 있다고 생각지 않으시는지요?

한국의 정치학 교수 등 연구자들이 속히 이에 기여해주실 것을 기대합니다. 그 분들의 책무일 뿐 아니라 민주주의는 그저 자라거나 굳건히 뿌리를 내리지 않음을 너무 잘 아실 분들이니까요.

독일의 경우를 보면 연방과 각 주의 “정치교육 센터”에서 민주주의 교양을 높일 서적, 영상자료 등을 선정, 자체 출판하거나 대량 구입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반년에 3권 무료라든지(헤쎈 주의 경우) 정가의 10분의 일 정도나 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합니다. 헌법은 물론이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서적과 대학재학생이나 대졸자 등에 알맞은 것, 동시대사에 관한 것 등 주제별로 분류되고 , 난이도도 참고할 수 있게 해 놓았습니다.

국회 사이트의 어린이용 정보에서도 아쉬웠던 것은 민주주의가, 민주시민의 역할이 선거권 행사만으로 끝나는 듯이 형해화한 죽은 지식으로 새 세대를 수동적으로 키우고 있더라는 것입니다. 대의 민주주의에서도 선거를 넘어 시민사회의 막대한 역할에 대한 인식, 시민들의 민주적 의사형성과 의지형성의 과정(프로세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사실이 상식화되어야 한국의 민주주의가 위태롭지 않게 정착되었다 할 것입니다.

"정치학"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