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버소돈과

(트레버소돈트류에서 넘어옴)

트레버소돈과(Traversodontidae)는 트라이아스기 중-후기에 살았던 키노돈트 분류군이다. 트레버소돈트류는 주로 곤드와나 대륙(정확히는 아프리카남아메리카)에 살았으며 아주 극소수는 북반구(당시의 로라시아)에도 살았었다.(나노곰포돈) 트레버소돈트류는 1936년 고생물학자 프리드리히 폰 후에네(Friedrich von Huene)가 브라질의 팔레오로타(Paleorrota)에서 처음 발견된 키노돈트의 분류를 위해 만들어진 분류군이다.

트레버소돈과
화석 범위:
트라이아스기 중-후기 247–201.3백만년 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단궁강
목: 수궁목
아목: 키노돈아목
(미분류): 상키노돈트류
하목: 진키노돈하목
과: 트레버소돈과
von Huene, 1936

특징

편집

트레버소돈트류는 초식성 키노돈트인 곰포돈트류 중 가장 번성한 키노돈트이다. 식물을 먹는 것에 대한 적응으로, 송곳니 뒤에 비교적 큰 어금니(Postcanine)를 가지고 있었다. 이 어금니는 치관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밀접한 간격을 두고 있으며 각각 길이보다 더 넓고 여러 개의 교두로 덮여 있다. 이러한 어금니의 특징은 종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트레버소돈트류들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트레버스돈트류는 비교적 짧은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주둥이는 두개골의 뒤쪽보다 훨씬 좁다. 트레버스돈트류의 원시적인 특징들 중 하나는 척추를 안정화시키는 척추 주변의 늑골판이다, 이 판들은 엑사에레토돈과 같은 더 진보된 트레버소돈트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계통

편집

트레버소돈과는 키노그나투스류라고 불리는 분류군의 가장 번성한 분류군이다. 대부분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에서는 트레버소돈과 트리라코돈과자매 분류군으로 분류하고 이 두 그룹은 키노그나투스류에 속하는 곰포돈트류에 분류한다. 아래는 고생물학자 캠머(Kammerer)의 논문을 토대로 만든 분지도이다.[1]

키노그나투스류 

키노그나투스

곰포돈트류

디아데모돈

트리라코돈과

트리라코돈

크리코돈

랑베르기아

트레버소돈과

안데스키노돈

파스큐알그나투스

아르크토트레버소돈

보레오곰포돈

나노곰포돈

마세토그나투스아과

마세토그나투스

다다돈

산타크루조돈

곰포돈토수쿠스아과

곰포돈토수쿠스

메나돈

프로투베룸

엑사에레토돈

스케일노돈토이데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ammerer, Christian F.; Flynn, John J.; Ranivoharimanana, Lovasoa; Wyss, André R. (2012년 10월). “Ontogeny in the Malagasy Traversodontid Dadadon isaloi and a Reconsideration of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Fieldiana Life and Earth Sciences》 2012 (5): 112–125. doi:10.3158/2158-5520-5.1.112. ISSN 2158-5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