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철도청 2000호대 디젤 기관차

2000호대 디젤 기관차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행했던 소형 디젤 기관차로서, 대한민국에 도입된 최초의 디젤 기관차이다. 원 제작사는 EMD이며, EMD 측의 기종명은 SW8이다. 현재는 국내에 보존된 1량과 미국에 보존된 5량을 제외하고 모두 폐차되었다.

2000호대 디젤 기관차 (SW8)
수색역(서울기관차사무소)의 2004호 기관차
수색역(서울기관차사무소)의 2004호 기관차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본선, 소운전 및 입환
제작사 EMD
제작 연도 (도입기준)1955년~1957년
생산량 41
도입단가
  • 172,375달러 (1,955년)
  • 187,500달러 (1,957년)
제원
전장 13,414 mm
전폭 3,100 mm
전고 4,425 mm
차량 중량 94.5 t
대차간 거리 6,706 mm
축중 23.5 t
성능
엔진 EMD 8-567C
차륜 배열 Bo-Bo
영업 최고 속도 105 km/h
출력 800 hp
구동 장치 디젤-전기식
제동 방식 공기제동 6BL

역사 편집

디젤 전기 기관차 2001호
대한민국국가등록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
소재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제작시기 1951년 5월
비고 2008년 10월 17일 지정

2000호대의 원 모델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입환용의 디젤 전기 기관차 SW1 계열의 파생형 차량인 SW8 모델이다. 800마력형 입환기로서, 원 제작사에서는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된 기종이었다. 대한민국에서의 SW8, 즉 2000호대는 1951년 4월-6월에 제작되어 미군이 사용하던 SW8 기관차 41량을, 1951년 7월 15일 한국 전쟁 당시 UN군이 군사수송 목적으로 양륙한 것이 운행의 시초이다. 이후 1955년 3월에 UN군으로부터 이 중 4량을 기증받아 공식적인 운행을 개시하였다.

1956년부산공작창 기관차공장 제천분공장(현 제천기관차사무소)을 창설하여 검수 운용을 시작하였다. 디젤 기관차의 투입은 뛰어난 등판능력 및 적은 매연, 운전의 편리함 및 운전실 환경의 쾌적함 등으로 높게 평가받았다. 이에 1957년 10월, 미 국제협력처 차관(ICA)으로 10량을 추가로 도입하여 본선 운행에 투입하였다.

이후 성능 개량이 이뤄지고 중량이 조정된 2100호대, 또 본선용의 중·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투입되면서 차츰 소운전 및 구내 입환 용도로 전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 차츰 폐차되어, 보존 처리중인 2001호 기관차를 제외하고 2003년까지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구조 및 특징 편집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의 동력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축당 중량이 크며 프레인 베어링을 유일하게 적용한 입환기이다. 주발전기로는 D15C형식을 사용하며 본선 운행 때 사용하는 운행스위치가 있고, 후방전이를 수동으로 하여야 하며, 특히 TM 고장시 한 대차를 차단할 수 있는 대차차단스위치와 기관냉각 팬을 벨트로 구동하는 방식이다. 공기 압축기는 WXE 형식으로 3개의 실린더가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총 용량은 분당 약 5,000리터를 압축할 수 있다.[1] 제동배율은 5.58이며 4개의 제동통수가 작동하는 방식이다.[2]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배치된 구조로, 차체의 기준면보다 한 단 높게 설치되어 있다. 단폐단 방면으로는 완전히 탁 트인 구조이며, 장폐단 방향으로는 엔진실이 일부 시야를 가리지만 전방 조망이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환용 차량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양 끝단 및 측면에 난간과 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초기 도입시에는 엔진실 상부에 미국식 증기 기관차와 유사한 경고용 종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사용 도중에 폐지되어 철거되었다.

사진으로 확인되는 2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크게 세 종류가 존재한다. 1955년 최초 도입시 1호 차량의 흑색 바탕에 당시 철도국 마크 및 "KNR" 레터링이 새겨진 도색, 1957년 이후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흑색 바탕에 주황색 횡선이 두 개 그어진 도색(일명 '호랑이 도색'), 그리고 90년대 이후 도입된 구 철도청 CI도색(녹색+백색)이 존재한다.

운행 구간 편집

당시 이 차량은 대개 전 노선에 걸쳐 투입된 것으로 생각되나, 어느 노선의 어느 선구에 투입되었는지는 불명확하다. 다만, 차량의 배치가 제천인 것으로 미루어 충북선, 중앙선 등에 화물 및 여객 양용으로 초기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경부선 구간에도 투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선 운행용으로는 이후 중형 및 대형 디젤기관차 도입으로 일찌감치 철수한 듯하며, 이후 동해, 제천, 청량리 등 주요 역에서 입환 및 소운전 용도로 전환되어 사용되었다.

현황 편집

1951년 한국 전쟁 중 UN군이 미국 내에서 미 육군이 사용하던 40량을 임시로 상륙시켜 운용한 것이 시초이다. 이 중 종전 이후 4량과 10량이 차례로 기증되었고, 나머지는 다시 미국으로 보내졌다. 전 차량이 퇴역하였으나 대한민국 내에서는 2001호 1량이 보존되고 있다.

차호 시리얼[3][4] 도입 시기[5][6][7] 운행 중단 시기[6] 비고[8]
2001호 15006 1955년 3월 15일
(1951년 7월 15일)
2003년 11월[9] 구 2011호.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보존 중이다.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말끔히 고쳐서 까끔식 입환작업을 한다고 한다. 수색에서 입환 도중에 고장이 난 적도 있다.
2002호 15026 1993년 구 2031호. 미국 미주리 교통박물관에 보존되었다.
2003호 15028 1997년 구 2033호. 2004년 고철 매각되었다.
2004호 15034 2003년 구 2039호.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
2005호 15018 1957년 10월 1997년 구 2023호.
2006호 15027 1997년 구 2032호.
2007호 14999 1997년 구 2004호.
2008호 14996 1997년 구 2001호. 미국 캘리포니아 에서 운행 중이거나 보존되었다.
2009호 15001 1997년 구 2006호.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
2010호 14998 1997년 구 2003호.
2011호 15035 1997년 구 2040호.
2012호 15012 1997년 구 2017호.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
2013호 15020 1997년 구 2025호.
2014호 15021 1997년 구 2026호.
2000호 14995 1951년 7월 15일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됨. 미국 복귀 이후 미공군 2000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3]
2002호 14997
2005호 15000 미국 복귀 이후 RSCX의 133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2007호 15002 미국 복귀 이후 미공군 2007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2008호 15003
2009호 15004 미국 복귀 이후 미해병대 289538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2010호 15005
2012호 15007
2013호 15008
2014호 15009
2015호 15010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10]
2016호 15011
2018호 15013
2019호 15014 미국 복귀 이후 Acipco의 2019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현재 동태보존되어 앨라배마주의 박물관에서 이벤트용으로 사용중이다.[11]
2020호 15015 미국 복귀 이후 RSSM의 2020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2021호 15016 미국 복귀 이후 미공군 2021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미국 플로리다에서 보존되었다.
2022호 15017 미국 복귀 이후 Acipco의 2022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가, 다시 칼레라-셸비 철도의 2022호 기관차가 되었다.[4] 현재 동태보존되어 앨라배마주의 박물관에서 이벤트용으로 사용중이다.[11]
2024호 15019
2027호 15022
2028호 15023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10]
2029호 15024
2030호 15025 . 미국 캘리포니아 에서 운행 중이거나 보존되었다.
2034호 15029 미국 복귀 이후 1987년 9월에 재생되었다. 현재 오클라호마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12]
2035호 15030
2036호 15031
2037호 15032
2038호 15033 미국 복귀 이후 TCRX의 52호 기관차로 전용되었으나 보존되었다.[4]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보관된 사본” (PDF). 2014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5일에 확인함. 
  2. 이글루스 - 기관차의 제원 및 특징(2000∼3200호대)
  3. Stephen Grande (2004년 11월 18일). “EMD 14900 to 14999”. 《TrainWeb》.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4. Stephen Grande (2004년 11월 21일). “EMD 15000 to 15099”. 《TrainWeb》.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5. 변성우 외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서울: 철도차량기술검정단. 85·91쪽. 
  6. 변성우 외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서울: 철도차량기술검정단. 98-99쪽. 
  7. 괄호 안은 한국 전쟁 당시 UN군에 의한 운용이 개시된 시기이다.
  8. “Korean National Locomotives”. 《The Diesel Shop》. 2017년 3월 12일에 확인함. 
  9. 부산광역시 문화관광 -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Archived 2014년 10월 22일 - 웨이백 머신, 2015년 5월 31일 확인.
  10. The South Carolina Railroad Museum - Railfan Info Archived 2014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2014년 10월 26일 확인.
  11. Heart Of Dixie Railroad Museum - EMD SW-8 #2019 & 2022, 2014년 9월 16일 확인.
  12. Oklahoma Railway Museum - OKRX 48 – SW 8, 2017년 3월 1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