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Manhattan distance.svg|섬네일|200px|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의 비교: 맨해튼 거리인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선의 길이는 모두 12이며 가장 짧은 맨해튼 거리이다. 유클리드 거리인 초록색 선의 길이는 <math>6 \sqrt{2} \approx 8.49</math>이므로 네 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
'''거리 함수'''(距離 函數, {{llang|en|Distancemetric, distance function}})는 [[집합]]의 각 원소 쌍 사이에 [[거리]]를 주는 [[함수]]이다. 거리가 있는 집합을 [[거리 공간]]이라고 부른다.<ref>{{서적 인용|성=Čech|이름=Eduard|제목=Point Sets|위치=New York|출판사=Academic Press|연도=1969년|쪽=42}}</ref> 계량이거리는 집합의 [[위상수학위상 공간 (수학)|위상]]을 유도하지만 모든 위상수학을위상을 계량으로거리로부터 생성할 수는 없다. 계량으로거리로부터 위상수학을위상을 설명할생성할 수 있는 공간을 [[거리화 가능 공간]]이라고 부른다.
 
[[거리화 가능 공간미분기하학]]에서 계량의거리를 정의하는 한 가지 중요한 원천은방법은 [[계량 텐서]]이다. 계량 텐서는 [[미분 가능 다양체]]의 접선 벡터로부터[[접벡터]]를 스칼라로받아 정의할[[스칼라]]를 수 있는내놓는 [[쌍선형 형식]]인 계량 텐소르이다이다. 계량 텐소르는텐서는 통합을적분을 통해 곡선을곡선의 따라 거리를길이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있도록 계량을해 주고, 따라서 거리를 결정한다.
 
== 정의 ==
집합 {{수학 변수|X}}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함수("거리 함수" 또는 단순히 "거리"라고 부름)로 표현한다.
:<math>d : X \times X \to [0,\infty)</math>
여기서 <math>[0,\infty)</math>는 음수가음이 아닌 [[실수]]의 집합이며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다음 3가지 공리가 충족된다.
 
:{|
14번째 줄:
|style="width:250px"|<math>d(x, y) = 0 \Leftrightarrow x = y</math>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
| 2. || <math>d(x, y) = d(y, x) </math> || [[대칭 함수|대칭성]]
|-
| 3. || <math>d(x, y) \le d(x, z) + d(z, y)</math> || [[삼각 부등식]]
|}
 
또한 이러한공리들은 공리는거리가 음수가 아닌 조건 또는아니라는 "분리 조건"을 암시한다함의한다. 따라서즉, 모든 <math>d(x, y) \gein 0X</math> 모두대해 <math>d(x, y) \inge X0</math>가 된다이다.
 
왜냐하면 1번, 3번, 2번 공리를 그러한 순서대로 적용하면 <math>0 = d(x, x) \le d(x, y) + d(y, x) = d(x, y) + d(x, y) = 2 d(x, y)</math>이고, 따라서 <math>0 \le d(x, y)</math>이기 의미한다때문이다.
 
음수가함수값이 아닌음이 수와아니라는 조건과 1번 공리는 "[[양의 정부호 함수]]"라고 불리는 것을 정의한다.
 
다른 점들 사이에 점이다른 절대점이 들어갈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보다삼각 강력한부등식보다 버전으로강한 만든 "삼각 부등식"을조건을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 공간|초거리]]이라고라고 한다.
: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math>d(x, y) \leq \max(d(x, z), d(y, z))</math>는 모두 <math>x, y, z \in X</math>가 된다.
 
{{수학 변수|X}}에서 임의의 2개의 점인 {{수학 변수|x}}와 {{수학 변수|y}}에 대해, 두 점을 이으면서 그 길이가 {{수학|1=''d''(''x'', ''y'')}}에 근접한임의로 곡선으로가까운 결합될곡선이 존재하는 있는 경우에경우, {{수학 변수|Xd}}에 대한 공간 {{수학 변수|dX}} [[길이 거리 공간|길이 거리]]이라고라고 부른다.
 
''G'' 군의 거리(곱셈으로 표기함)는''d''가 다음과다음 같은조건을 경우에만족하면 "왼쪽 불변"(반대 개념은 "오른쪽 불변")이라고 표현한다한다. (곱셈 표기법 사용)
:<math>d(zx, zy) = d(x, y)</math> [resp.반대 개념은 <math>d(xz,yz)=d(x,y)</math>] (''G''의 모든 ''x'', ''y'', ''z''에 대해)
 
가환 덧셈군 <math>X</math>의 거리 <math>D</math>는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math>D(x, y) = D(x + z, y + z)</math>인 경우 또는 모든 <math>x, y \in X</math>에 대해 <math>D(x, y) = D(x - y, 0)</math>인 경우에 이동 불변이라고평행변환불변이라고 한다. 또한 모든 벡터 공간은 가환 덧셈군이며,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노름 공간|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실제 또는 복잡한 벡터 공간에 대한 거리는 항상 이동 불변이다평행변환불변이다.
 
실제실벡터공간 또는 복잡한 벡터 공간에 대한복소벡터공간에서 거리 <math>D</math>는 이동 불변이고평행변환불변이고 "완전히 동질적절대동차"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후자는절대동차라는 것은 모든 [[스칼라 (수학)|스칼라]] ''s''와 모든 <math>x, y \in X</math>에 대해 <math>D(sx, sy) = |s| D(x, y)</math>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함수 <math>\| x \| := D(x, 0)</math>는 <math>X</math>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math>\| \cdot \|</math>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math>D</math>와 같다.
 
== 참고 ==
이러한 조건들은 [[거리]]의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개념을이해를 표현한다반영한다. 예를 들어 구별되는 점 사이의 거리가거리는 양수이고, ''x''에서 ''y''까지의 거리는 ''y''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같다. 삼각 부등식은 ''x''에서 ''y''를 거쳐 ''z''까지의까지 가는 거리가 적어도 ''x''에서 ''z''까지의까지 거리보다직접 적어도가는 직접적으로거리만큼 크다는길다는 것을사실을 의미한다나타낸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유클리드에우클레이데스의 기하학원론|원론]]에서 2개의 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선이며직선이라고 그것은했는데, 자신의이는 기하학에[[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삼각 부등식이라고 말했다부등식이다.
 
== 예시 ==
* [[이산 공간|이산 거리]]에서의 계량: ''x'' = ''y''인 경우 ''d''(''x'',''y'') = 0이고 그렇지 않으면 ''d''(''x'',''y'') = 1이 된다.
* [[유클리드 거리]]에서의 계량은평행변환과 이동과회전변환에 회전대해 불변을 띠고 있다불변이다.
* [[맨해튼 거리]]에서의 계량은평행변환에 이동대해 불변을 띠고 있다불변이다.
* 보다 일반적으로 [[노름 공간|노름]]에 의해에서 유도되는 모든 계량 기준은 이동 불변을 띠고거리는 있다평행변환불변이다.
* [[국소 볼록 공간]]인 <math>(p_n)_{n\in N}</math>이 ([[국소 볼록 공간]]인) [[위상 벡터 공간]] ''E''를 정의하는 [[반노름 공간의]]의 [[수열|열]]인 경우이라면
*:<math>d(x,y)=\sum_{n=1}^\infty \frac{1}{2^n} \frac{p_n(x-y)}{1+p_n(x-y)}</math>라고 표현한다.
*:동일한 [[위상수학위상 공간 (수학)|위상]]을 정의하는 거리이다. 이는 [[절대 수렴]] <math>(a_n)</math>을 통해여기서 <math>\frac{1}{2^n}</math> [[양수합이 수렴하는 임의의 양항급수 <math>(수학a_n)|양수]]</math>요약할바꿔도 수 있다된다.)
* [[노름 공간]] <math>(\R, | \cdot |)</math>은 절댓값이[[바나흐 공간]]이고, 이때 절댓값은 <math>\R</math>에서 일반적인 유클리드 위상수학을위상을 유도하는 실제 선실직선 <math>\R</math>의 노름인노름 [[바나흐역할을 공간]]이다한다. <math>\R</math>위의 거리 <math>D : \R \times \R \to \R</math> 위의 <math>\R</math>는 모든 <math>x, y \in \R</math>에 대해 <math>D(x, y) = | \arctan(x) - \arctan(y)|</math>이다로 정의하자. {{개행 금지|<math>| \cdot |</math>{{Hair space}}}}의 유도 거리와 마찬가지로, 거리 <math>D</math>도 {{수학|1=ℝ}}에서 일반적인 유클리드 토폴로지를위상을 유도한다. 그러나 <math>x_i := i</math>로 정의된 수열 <math>x_{\bull} = \left(x_i\right)_{i=1}^{\infty}</math> 수열에 의해 정의된 <math>x_i := i</math>는 [[코시 열|{{개행 금지|<math>D</math>-코시}} 열]]이지만 {{수학|1=ℝ}}의 어떠한 점에도점으로도 수렴되지수렴하지 않기 때문에 <math>D</math>는 완전한[[완비 거리가거리 공간|완비 거리]]가 아니다. 수렴되지 않음의 결과에 따라 {{개행 금지|<math>D</math>-코시}} 열은 수렴하지 않으므로 <math>(\R, | \cdot |)</math>에 대한 코시 열이 될 수 없다. 즉, 노름 공간에{{개행 금지|<math>| \cdot |}}에 관한 카우치코시 시퀀스가열이 아니다. 그렇다면왜냐하면 <math>(\R, | \cdot |)</math>이 바나흐 공간이라는 사실 때문에, 이 수열이 {{개행 금지|<math>| \cdot |</math>-코시 열}}이라면 바나흐수렴해야 공간이라는 사실은 그것이 수렴된다는하고, 모순임을이는 암시할모순이기 것이다때문이다.{{sfn|Narici|Beckenstein|2011|pp=47–51}}
* [[거리 (그래프 계량은 특정한 그래프의이론)|그래프 거리]]는 단위로특정한 그래프 정의된위의 계량이다거리이다.
* [[해밍 계량은거리]]는 코딩부호 이론에서 활용된다.
* [[리만 다양체거리]]: [[매끄러운 다양체]]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거리 함수의 유형이다함수이다. 이러한 [[다양체]] 경우에는대하여,점에서점 p에서의 접공간 T<sub>p</sub>에서 p에양의 대한정부호 대칭, 양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 L: T<sub>p</sub> × T<sub>p</sub> → ℝ를 선택하여매끄러운 방식으로 매끄럽게선택할 한다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다양체에서 접선 벡터 '''v'''의 길이를 <math display="inline">\|v\| = \sqrt{L(\mathbf{v}, \mathbf{v})}</math>을 통해 다양체에서 접선 벡터 '''v'''의 길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에 다양체의 모든 미분 가능한 경로에 대해,길이는길이를 경로 매개 변수에 대해 통합이 수행되는 임의의 점에서 경로에 대한 접선 벡터의 길이의 적분으로 정의된다정의하는데, 이때 적분은 경로 매개변수에 대해서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체의 점들 중에서 어떠한 쌍 {x, y}에 정의된사이의 거리를 얻기x와 위해y를 잇는 모든 경로에서경로의 경로 길이길이의 집합의하한으로 최소인 x에서 y까지를 취한다정의한다. 리만 기하학이거리가 장착된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는다양체를 [[리만 다양체라고다양체]]라고 부른다.
*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복소수]] [[사영 공간]]에 활용되는데 리만 다양체거리의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예이다.
* [[레벤시테인 계량은거리]]는외의밖의 문자열 편집 계량과거리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에 대한 거리를 정의한다.
* 그래프 편집 계량: [[그래프 (수학)|그래프]] 간의 거리 함수를 정의한다.
* 바세르시테인 계량: 2가지 [[확률 분포]] 사이에서 정의된사이의 거리 함수이다.
* [[핀슬러 다양체|핀슬러 거리]]: 음이 아닌 연속 함수를 [[접다발]] 정의한위에 정의된 음이 아닌 연속함수 F:TM→[0,+∞)이다.
 
== 거리의 동등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