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영어: Timor–Alor–Pantar languages)는 인도네시아 남부의 티모르섬, 키사르섬, 알로르 열도에서 쓰이는 파푸아 언어들이 이루는 어족이다.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지리적 분포티모르섬과 이웃 섬들
계통적 분류트랜스뉴기니어족 또는 독립 어족
 베라우만어파
  서봄베라이어군[1]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timo1261[2]

Holton and Klamer (2018)는 티모르알라르판타르어족이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일부라는 주장이 설득력 없다고 보아 별개의 어족으로 분류했다.[3]

분류 편집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언어들 사이의 계통 관계는 충분히 입증되었다. 그 중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뚜렷한 하위 집단을 이룬다.[4][5] 다음의 보수적인 분류는 Ross (2005), Schapper et al. (2012), Holton et al. (2012)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 분류는 보수적인 것으로, 입증되지 않은 분기군을 포함하지 않는다.

부낙어와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때로 “서티모르어파”로 묶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낙어와 동티모르어파를 “티모르·키사르어파”로 묶기도 한다. 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은 서로 분명히 연관되어 있고, 티모르·키사르 언어들도 마찬가지이며 두 집단도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언어들을 대상으로 비교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전까지는 부낙어가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 중 어느 집단에 더 가까운지 분명히 알 수 없고, 알로르판타르어파가 유효한 분기군인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Kaiping and Klamer (2019)는 부낙어가 티모르알라르판타르어족 언어 중 가장 이질적인 언어로서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보다 먼져 분기했다고 본다.[6]

알로르섬 중부와 동부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판타르섬티모르섬의 언어들에 비해 교착어적 특징이 강하고, 후자는 비교적 고립어적이다.[3]

역사 편집

티모르섬의 파푸아 제어들은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계통적으로 그리 가까운 관계가 아니다. 티모르섬의 이웃 섬들에 분포하며 서로 같은 계통임이 분명한 알로르판타르어파 언어들을 제외하면 티모르섬의 언어들 가운데 어떤 것도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입증하기 어렵다.

1941년 아서 카펠은 처음으로 티모르섬의 언어들이 어족을 이룬다고 제안했고, Watuseke & Anceaux는 1973년에 처음으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보다 최근의 분류에서는 두 집단 모두 더 작게 쪼개졌지만, 궁극적으로 모두가 서로 연관되어 있으리라는 데에는 많은 학자들이 동의한다.[7]

1957년 HKL Cowan은 티모르 언어들과 서파푸아어족을 연결지었다. 그러나 스티븐 부름은 1975년에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정의를 확장하면서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그 안에 포함되며 남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남도베라이·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파를 이룬다고 보았다. 부름은 별개의 어족인 서파푸아어족과의 공통점을 인지했지만 이것은 기층 언어의 영향일 수 있다고 하였다.

Ross (2005)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서트랜스뉴기니어파의 한 분기군을 이루는 것으로 분류했다. Holton & Robinson (2014)은 새로운 어휘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과 트랜스뉴기니어족을 연결지을 근거를 거의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8] 하지만 Holton & Robinson (2017)은 트랜스뉴기니어족, 특히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연결짓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이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현재로서는 그렇게 분류하지 않을 채로 남겨 두는 편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말이다.[9]

언어 접촉 편집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은 다음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상당한 수준의 접촉을 겪어 왔다.[10]

조어 편집

음운론 편집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에는 다음과 같은 자음이 있었다고 생각된다.[3]

p t k q
b d g
m n
s
w j
l, r, ʀ

대명사 편집

Ross (2005)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의 대명사 체계를 다음과 같이 재구한다:

단수 복수
1배제 *ani~na *ini
1포함 *api
2 *ai *i
3 *ga (*gi)

Ross (2005)는 이 대명사들이 트랜스뉴기니조어의 1인칭 대명사 *na, *ni 및 2인칭 대명사 *ga, *gi, 또 어쩌면 쌍수/청자포함 형태소 *-pi-의 반영일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다른 언어학자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입증되지는 못했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이 트랜스뉴기니어족과 별개의 어족이라고 본다.[11] 특히 로스의 가설은 트랜스뉴기니의 2인칭 대명사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의 3인칭 대명사에 대응한다는 가정을 필요로 한다.

어휘 편집

Schapper, et al. (2017: 141-143)은 다음과 같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형태를 재구함으로써 티모르 언어들과 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2]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재구(Schapper, et al. 2017)
의미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대나무 *mari *mari *mari
바나나 *mugul *mogol *mugu
짖다, 부르다 *lVu *le(k)u(l)
박쥐 *madel *madel *maTa
멱감다 *weLi *weli *weru
*(h)adul *(a)dVl *haDa
물다 *ki(l) *(ta)ki *(ga)gel
*waj *wai *waj
*se(r, R) *ser *(se)sa(r, R)
가슴 *hami *hami *hami
아이 *-uaQal *-uaqal *-al
실뭉치 *ma(i)ta(r) *maita *matar
코코넛 *wata *wata *wa(t, D)a
기다 *er *er *er
쭈그리다 *luk(V) *luk(V) *luk
죽다 *mV(n) *min(a) *-umV
더러운 *karV(k) *karok *gari
*(h)ipar *hipar *ufar(ana)
*-waRi *-uari *-wali
먹다 *nVa *nai *nua
*(h)at(V) *has *a(t, D)u
얼굴 *panu *-pona *-fanu
*le(t, d)e *lete *eTar
*hada *hada *haTa
물고기 *habi *habi *hapi
평평한 *tatok *tatok *tetok
*magad *magad(a) *(u, a)mar
여자아이 *pan(a) *pon *fana
주다 *-(e, i)na *-ena *-inV
조부모 *(t, d)ama *tam(a, u) *moTo
녹색 *lugar *(wa)logar *ugar
*-tan(a) *-tan *-tana
듣다 *mage(n) *magi *mage(n)
안쪽 *mi *mi *mi
가려운 *iRak *(i)ruk *ilag
웃다 *jagir *jagir *jiger
다리 *buta *-bat *buta
낮은 *po *po *ufe
깔개 *bit *bis *biti
고기 *isor *iser *seor
*hur(u) *wur *huru
*buku *buku *bugu
이름 *-en(i, u) *-nej
새로운 *(t, s)iba(r) *siba(r) *(t, s)ipa(r)
새로운 장소 *lan *lan *lan
*-mVN *-mim *-muni
하나 *nukV *nuk *uneki
다른 *abe(nVC) *aben(VC) *epi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
(나무)
*matar *matar *ma(t, D)ar
*jega *jega *jiga
사람 *anV(N) *anin *anu
돼지 *baj *baj *baj
연못 *tapa(i) *tapai *tafa
*boL *bol *bura
*anu(r, R) *anur *ine(r, R)
*dur(a) *dur *Dura
익은 *tena *tena *tena
달리다 *tipar *tiara *tifar
전갈 *pV(r, R) *pVr *fe(r, R)e
긁다 *karab *karab *gabar
바다 *tam(a) *tam *mata
상어 *sibar *sib(a, i)r *supor
앉다 *mit *mis *mit
여섯 *talam *talam *tamal
자다 *tia(r) *tia *tia(r)
침뱉다 *puRV(n) *purVn *fulu(k, n)
숟가락 *suRa *surV *sula
서다 *nat(er) *nate(r) *nat
*jibV *jibV *ipi(-bere)
*war *war *war
사탕수수 *ub(a) *huːba *upa
*wad(i, u) *wadi *waTu
터부 *palu(l, n) *palol *falu(n)
꼬리 *-oRa *-ora *-ula(ʔ)
*-lebuR *-lebur *-ipul
이빨 *-wasin *-uasin *-wasin
나무 *hate *tei *hate
질(膣) *-ar(u) *-ar *-aru
깨어나다 *tan(i) *-ten *Tani
걷다(1) *lak(Vr) *laka *lagar
걷다(2) *lamV *lam(ar) *male
*jira *jira *ira
엮다 *sine(N) *sine(N) *sina
노란 *bagur(V) *bagori *gabar
1pi *pi *pi- *fi
1sg *na- *na- *n-
3 *gie *ge *gie
3poss *ga- *ga- *g-

발달 편집

Pawley and Hammarström (2018)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pTAP)와 알로르판타르조어(pAP)의 어휘(재구는 Holton and Klamer 2018에서 가져옴) 가운데 트랜스뉴기니조어(pTNG; 재구는 Pawley and Hammarström 2018에서 가져옴) 어휘의 반영일 수도 있는 것들의 목록을 제시했다.[3]

약어
pTNG = 트랜스뉴기니조어, pTAP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pAP = 알로르판타르조어
  • pTNG *am(i,u) ‘가슴’ > pTAP *hami ‘가슴’
  • pTNG *na ‘먹다’ > pTAP *nVa ‘먹다, 마시다’
  • pTNG *ata ‘똥’ > pTAP *(h)at(V) ‘똥’
  • pTNG *kumV- ‘죽다’ > pTAP *mV(n), pAP *min(a) ‘죽다’, pTimor *-mV ‘죽다’
  • pTNG *inda ‘나무’ > pTAP *hate ‘불, 나무’
  • pTNG *panV > pTAP *pan(a) ‘여자아이’
  • pTNG *nan(a,i) ‘손위 형제’ > pAP *nan(a) ‘손위 형제’
  • pTNG *me ‘오다’ > pAP *mai ‘오다’
  • pTNG *mundu ‘코’ > pTAP *mVN ‘코’
  • pTNG *tukumba[C] ‘짧은’ > pAP *tukV ‘짧은’
  • pTNG *ŋgatata ‘건조한’ > pAP *takata
  • pTNG *(m,mb)elak ‘번개’ > 블라가르어 merax, 레타어 melak ‘번개’

그러나 Holton and Robinson (2014)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을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일부가 아니라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한다.

각주 편집

  1. “New Guinea World, West Bomberai”. 2020년 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Timor–Alor–Pantar〉.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3. Holton, Gary; Klamer, Marian (2018). 〈The Papuan languages of East Nusantara and the Bird’s Head〉. Palmer, Bill.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The World of Linguistics 4. Berlin: De Gruyter Mouton. 569–640쪽. ISBN 978-3-11-028642-7. 
  4. Holton, Gary; Klamer, Marian; Kratochvíl, František; Robinson, Laura C.; Schapper, Antoinette (2012). “The historical relation of the Papuan languages of Alor and Pantar”. 《Oceanic Linguistics》 51 (1): 87–122. doi:10.1353/ol.2012.0001. hdl:1887/18594. 
  5. Schapper, Antoinette; Huber, Juliette; van Engelenhoven, Aone (2012), 〈The historical relation of the Papuan languages of Timor and Kisar〉, Hammarström, Harald; van der Heuvel, Wilco, 《History, Contact and Classification of Papuan Languages》, Port Moresby: Linguistic Society of New Guinea 
  6. Gereon A. Kaiping and Marian Klamer. 2019b. Subgrouping the Timor-Alor-Pantar languages using systematic Bayesian inference. Leiden University Centre for Linguistics, Universiteit Leiden.
  7. Capell, Arthur (1944). “Peoples and languages of Timor”. 《Oceania》 15 (3): 19–48. doi:10.1002/j.1834-4461.1944.tb00409.x. 
  8. Holton, Gary; Robinson, Laura C. (2014), 〈The linguistic position of the Timor-Alor-Pantar languages〉, Klamer, Marian, 《Alor Pantar languages: History and Typology》, Berlin: Language Sciences Press, 155–198쪽, doi:10.17169/langsci.b22.48 
  9. Holton, Gary; Robinson, Laura C. (2017), 〈The linguistic position of the Timor-Alor-Pantar languages〉, Klamer, Marian, 《Alor Pantar languages: History and Typology Second Edition》, Berlin: Language Sciences Press, 147–190쪽, doi:10.5281/zenodo.437098 
  10. Juliette Huber and Antoinette Schapper. 2019. The Austronesian-Papuan contact history of eastern Timor: What lexical borrowing can tell us. 11th International Austronesian and Papuan Languages and Linguistics Conference (APLL11), 13-15 June 2019, Leiden University.
  11. Ross, Malcolm (2005), 〈Pronouns as a preliminary diagnostic for grouping Papuan languages〉, Pawley, Andrew; Attenborough, Robert; Golson, Jack; Hide, Robin,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12. Antoinette Schapper, Juliette Huber & Aone van Engelenhoven. 2017. The relatedness of Timor-Kisar and Alor-Pantar languages: A preliminary demonstration. In Marian Klamer (ed.), The Alor-Pantar languages, 91–147. Berlin: Language Science Press. doi 10.5281/zenodo.569389

더 읽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