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룹
크룹(Croup) 또는 후두기관기관지염은 상부 기도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다. 감염에 의해 후두가 부어올라 정상적인 호흡이 곤란해지며 "개가 짖는 듯한" 기침, 천명음 (쌕쌕거리는 소리), 쉰 목소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경도,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되며, 밤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경구 스테로이드 1회 투여로 간단히 치료할 수 있으나, 심한 증상에는 에피네프린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입원을 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크룹 Croup | |
---|---|
진료과 | 호흡기내과, 소아청소년과 |
크룹은 보다 심각한 증상 (후두개염 또는 기도 이물 등)을 배제한 후, 임상적 증상을 근거로 진단한다. 일반적으로 혈액 검사, X-레이, 배양 검사 등은 필요하지 않다. 크룹은 흔한 질병으로 주로 6개월에서 5~6세 사이 어린이의 15%가 감염된다. 청소년과 성인에서는 드물다.
임상증상
편집크룹의 증상으로는 "개가 짖는 듯한" 기침, 천명음(대개 숨을 들이쉴 때 나는 고음의 쌕쌕거리는 소리), 쉰 목소리,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이는 주로 밤에 악화된다.[1] 개가 "짖는 듯한" 기침은 물개나 바다사자가 우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다.[2] 울음은 쌕쌕거리는 증상을 악화시킨다. 쌕쌕거리는 증상은 기도가 좁아져서 생긴다. 크룹이 매우 심해지면 쌕쌕거리는 소리는 오히려 줄어들기도 한다.[1]
다른 증상으로 일반적인 감기 증상인 열, 코감기와 숨을 들이쉴 때 갈비뼈 사이의 피부가 안으로 함몰되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1][3] 침흘림 또는 심하게 아파 보인다면 다른 병을 생각해야 한다.[3]
원인
편집크룹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유발된다.[1][4] 크룹을 심한 후두기관염, 연축성 크룹, 후두 디프테리아, 세균성 기도염, 후두기관기관지염, 후두기관기관지폐렴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거나 혼용하여 쓰기도 한다. 처음 두 질환은 가벼운 바이러스 감염증이며, 나머지 질환은 세균 감염으로 보다 심한 증상을 나타낸다.[2]
바이러스성 크룹
편집바이러스성 크룹의 75%는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타입 1, 2가 일으킨다.[5] 다른 병원체로는 인플루엔자 A, B형, 홍역, 아데노바이러스 및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가 있다.[2] 연축성 크룹(개 짖는 소리를 내는 크룹)은 급성 후두기관지염과 동일한 원인균으로 유발되지만 감염 증상(미열, 인후통, 백혈구 수 증가)를 동반하지 않는다.[2] 그러나 치료와 치료에 대한 반응은 동일하다.[5]
세균성 크룹
편집세균성 크룹은 후두 디프테리아, 세균성 기도염, 후두기관기관지염, 후두기관기관지폐렴으로 구분된다.[2] 후두 디프테리아는 디프테리아균에 의한 감염증이며, 세균성 기도염, 후두기관기관지염 및 후두기관기관지폐렴은 바이러스 감염을 앓고 난 후 생기는 세균성 감염이다.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등이 흔한 원인균이다.[2]
병태생리
편집바이러스 감염으로 후두와 기관이 부어 오르고 큰 기도에 백혈구가 증가한다.[4] 기도가 부어 오르면 호흡곤란이 일어날 수 있다.[4]
진단
편집증상 | 점수 | |||||
---|---|---|---|---|---|---|
0 | 1 | 2 | 3 | 4 | 5 | |
흉벽 함몰 |
없음 | 경증 | 중등도 | 중증 | ||
천명음 | 없음 | 보챌 때 |
휴식 시 | |||
청색증 | 없음 | 보챌 때 |
무표정 | |||
의식 상태 |
정상 | 혼란 | ||||
호흡 | 정상 | 감소 | 현저히 감소 |
크룹은 임상적 증상을 근거로 진단한다.[4] 첫 단계로 상기도를 막을 수 있는 다른 질환 특히, 후두개염, 기도 이물, 성문하협착증, 혈관부종, 인두후 농양, 세균성 기도염과 감별한다.[2][4]
일반적으로 경부 X-레이를 찍지 않지만,[4] 찍었을 경우 기관이 좁아져 뾰족탑처럼 보이는 탑상 징후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소견은 50% 정도에서 나타난다.[3]
혈액검사, 바이러스 배양(바이러스 검사)은 불필요하게 기도를 자극할 수 있다.[4] 비강 흡입(코에 튜브를 삽입하여 점액을 채취) 방법으로 바이러스를 배양하여 정확한 원인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주로 연구 목적으로만 쓰인다.[1] 표준 치료로 증상이 향상되지 않으면 세균 감염 여부를 가리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를 할 수 있다.[2]
- 중증도
웨스틀리 점수(Westley score)로 크룹의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임상 진료보다는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된다.[2] 웨스틀리 점수란 의식 상태, 청색증, 천명음, 호흡 장애, 흉벽 함몰 등 다섯 가지 항목의 총점을 가리킨다.[2] 표의 각 항목 오른쪽 란에 점수를 주며, 총점은 0에서 17까지이다.[6]
- 총점 2 미만: 가벼운 크룹을 의미한다. 개가 짖는 듯한 기침과 쉰 목소리가 나타나지만 휴식 시 천명음(쌕쌕거리는 소리)은 들리지 않는다.[5]
- 총점 3-5: 중등도 — 천명음 이외에 별다른 증상은 없다.[5]
- 총점 6–11: 중증'’. 뚜렷한 천명음과 함께 흉벽 함몰 증상이 나타난다.[5]
- 총점 12 이상: 호흡 부전이 생길 수 있다. 이 단계에 이르면 개가 짖는 듯한 기침과 쌕쌕거리는 증상은 사라질 수 있다.[5]
응급실을 찾는 어린이의 85%가 경미한 질병으로 진단된다. 심각한 크룹은 1% 미만으로, 매우 드물다.[5]
예방
편집치료
편집크룹에 감염된 어린이를 가능한 침착하게 진정시킨다.[4] 보통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을 사용한다.[4] 혈액 산소포화도가 92% 미만인 어린이에게는 산소를 공급하며,[2] 심각하면 입원시켜 병의 진행을 관찰한다.[3] 산소가 필요한 경우 얼굴 주위에 산소를 “불어 주어” 산소 마스크로 인해 어린이가 보채지 않도록 한다.[2]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0.2% 미만의 환자는 기도에 튜브를 삽입하는 기도 삽관이 필요하다.[6]
스테로이드
편집덱사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로 효과적으로 치료된다.[7] 투여한 후 빠르게는 6시간 후면 눈에 띄는 효과가 나타난다.[7] 경구 투여, 비경구 투여, 흡입 등이 모두 효과가 있으나 보통 경구 투여가 선호된다.[4] 1회 투여로 충분하며 일반적으로 상당히 안전하다고 생각된다.[4] 덱사메타손 투여 시 0.15, 0.3, 0.6 mg/kg 용량이 모두 동등한 효과를 보인다.[8]
에피네프린
편집중등도에서 중증의 크룹에는 분무형에피네프린(기도 확장을 유도하는 흡입형 액상제)이 도움이 된다.[4] 에피네프린은 보통 10-30분 이내에 크룹의 중증도를 완화하며 2시간까지 효과를 유지한다.[1][4] 치료 후 2-4 시간 이후까지 합병증이 없이 호전상태를 유지하면 퇴원할 수 있다.[1][4]
기타
편집기타 치료 방법도 연구되었지만 근거가 불충분하다. 뜨거운 증기나 습도가 높은 공기를 들이마시는 민간 요법 자가치료이 사용되었으나 임상연구에서 효과가 증명되지 않아,[2][4] 현재는 드물게 사용된다.[9] 보통 덱스트로메토르판 및 구아이페네신(guiafenesin)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감기약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1] 과거에는 호흡을 편하게 해주는 헬리옥스(헬륨과 산소의 혼합물)를 사용했으나 의학적 근거는 거의 없다.[10] 크룹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세균 감염의 동반이 의심되지 않는 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세균성 감염에는[1] 반코마이신과 세포탁심을 권장한다.[2] 인플루엔자 A, B형과 관련된 심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인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를 투여할 수 있다.
예후
편집바이러스성 크룹은 단시간 지속하는 질환으로호흡 부전 및 심정지로 사망하는 경우는 드물다.[1] 증상은 보통 이틀 이내로 호전되지만, 일주일 까지 지속될 수도 있다.[5] 기타 흔하지 않은 합병증으로 세균성 기도염, 폐렴, 폐부종이 있다.[5]
역학
편집어린이의 15%가 크룹을 앓는데, 연령은 주로 6개월에서 5~6세 사이이다.[2][4] 이 연령에서 입원하는 경우 5%가 크룹으로 인한 것이다.[5] 드물게 3개월이나 15세 어린이에게서도 볼 수 있다.[5] 남아가 여아보다 50% 정도 흔하다. 크룹은 가을에 더 많이 발생한다.[2]
역사
편집크룹라는 병명은 초기 근대 영어에서 "쉰 목소리로 울다"는 뜻의 동사 croup에서 유래한 것으로 스코틀랜드에서 처음 사용되어 18세기에 널리 퍼졌다.[11] 디프테리아 크룹은 호머의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알려져 있었다. 1826년에 브레토노(Bretonneau)가 바이러스성 크룹과 디프테리아 크룹을 최초로 감별하였다.[12] 프랑스에서는 바이러스성 크룹을 "가성(faux) 크룹", 디프테리아 크룹을 "크룹"이라고 부른다.[9] 디프테리아 크룹은 효과적인예방접종이 시행된 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12]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Rajapaksa S, Starr M (2010년 5월). “croup– assessment and management”. 《Aust Fam Physician》 39 (5): 280–2. PMID 20485713.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Cherry JD (2008). “Clinical practice. croup”. 《N. Engl. J. Med.》 358 (4): 384–91. doi:10.1056/NEJMcp072022. PMID 18216359. 2010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oup” (PDF). 《BC Children’s Hospital Division of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Everard ML (2009년 2월). “Acute bronchiolitis and croup”. 《Pediatr. Clin. North Am.》 56 (1): 119–33, x–xi. doi:10.1016/j.pcl.2008.10.007. PMID 19135584.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Johnson D (2009). “croup”. 《Clin Evid (Online)》 2009. PMC 2907784. PMID 19445760.
- ↑ 가 나 다 Klassen TP (1999년 12월). “croup. A current perspective”. 《Pediatr. Clin. North Am.》 46 (6): 1167–78. doi:10.1016/S0031-3955(05)70180-2. PMID 10629679.
- ↑ 가 나 Russell KF, Liang Y, O'Gorman K, Johnson DW, Klassen TP (2011). Klassen, Terry P, 편집. “Glucocorticoids for croup”. 《Cochrane Database Syst Rev》 1 (1): CD001955. doi:10.1002/14651858.CD001955.pub3. PMID 21249651.
- ↑ Port C (2009년 4월). “Towards evidence based emergency medicine: best BETs from the Manchester Royal Infirmary. BET 4. Dose of dexamethasone in croup”. 《Emerg Med J》 26 (4): 291–2. doi:10.1136/emj.2009.072090. PMID 19307398.
- ↑ 가 나 Marchessault V (2001년 11월). “Historical review of croup”. 《Can J Infect Dis》 12 (6): 337–9. PMC 2094841. PMID 18159359.
- ↑ Vorwerk C, Coats T (2010). Vorwerk, Christiane, 편집. “Heliox for croup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 (2): CD006822. doi:10.1002/14651858.CD006822.pub2. PMID 20166089.
- ↑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croup. Accessed 2010-09-13.
- ↑ 가 나 Feigin, Ralph D. (2004).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Philadelphia: Saunders. 252쪽. ISBN 0-7216-93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