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당 1-탈수소효소

산화환원효소의 종류

포도당 1-탈수소효소(영어: glucose 1-dehydrogenase) (EC 1.1.1.47)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촉매하는 효소이다.

포도당 1-탈수소효소
Caenorhabditis Elegans의 포도당 1-탈수소효소의 사합체
식별자
EC 번호1.1.1.47
CAS 번호9028-53-9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유전자 온톨로지AmiGO / QuickGO
β-D-포도당 + NAD(P)+ ⇄ D-글루코노-1,5-락톤 + NAD(P)H + H+

포도당 1-탈수소효소의 3가지 기질β-D-포도당, NAD+, NADP+이며, 4가지 생성물은 D-글루코노-1,5-락톤, NADH, NADPH, H+이다. 포도당 1-탈수소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며,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명명법

편집

포도당 1-탈수소효소의의 계통명은 D-포도당:NAD(P)+ 1-산화환원효소(영어: D-glucose:NAD(P)+ 1-oxidoreductase)이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구조 연구

편집

2007년을 기준으로 이러한 부류의 효소에 대해 PDB 접근 코드 1G6K, 1GCO, 1GEE, 1RWB, 1SPX, 2B5V, 2B5W, 2CD9, 2CDA의 9가지 구조가 해결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Banauch D, Brümmer W, Ebeling W, Metz H, Rindfrey H, Lang H, Leybold K, Rick W, Staudinger HJ (1975). “[A glucose dehydrogenase for the determin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s in body fluids (author's transl)]”. 《Z. Klin. Chem. Klin. Biochem.》 13 (3): 101–7. PMID 810982. 
  • Brink NG; Miettinen, Jorma K.; Olsen, John; Virtanen, Artturi I.; Sörensen, Nils Andreas (1953). “Beef liver glucose dehydrogenase. 1. Purification and properties”. 《Acta Chem. Scand.》 7: 1081–1089. doi:10.3891/acta.chem.scand.07-1081. 
  • Pauly HE, Pfleiderer G (1976). “D-Glucose dehydrogenase from Bacillus megaterium M 1286: purification, properties and structure”. 《Hoppe-Seyler's Z. Physiol. Chem.》 356 (10): 1613–1623. doi:10.1515/bchm2.1975.356.2.1613. PMID 2530. 
  • Strecker HJ, Korkes S (1952). “Glucose dehydrogenase”. 《J. Biol. Chem.》 196 (2): 769–84. PMID 12981017. 
  • Thompson RE, Carper WR (1970). “Glucose dehydrogenase from pig liver. I. Isolation and purification”. 《Biochim. Biophys. Acta》 198 (3): 397–406. doi:10.1016/0005-2744(70)90118-x. PMID 439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