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시도니아속
포시도니아속(Posidonia)은 택사목에 속하는 속(屬)의 일종이다. 2~9종의 해양식물("해초")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중해와 오스트레일리아 남해안에서 발견된다.
포시도니아속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목: | 택사목 | |
과: | 포시도니아과 (Posidoniaceae) Hutchinson | |
속: | 포시도니아속 (Posidonia) K.D.Koenig | |
종 | ||
| ||
포시도니아속의 분포 | ||
포시도니아속 분포 지역 |
APG 분류 체계(1998년)와 APG II 분류 체계(2003년)는 이 속을 포시도니아과(Posidoniaceae)의 유일속으로 승인했으며, 속씨식물군의 택사목으로 분류하였다. AP-웹사이트는 3개 과인, 키모도케아과와 포시도니아과, 줄말과가 일종의 단계통군을 형성한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전의 분류 체계에서는 이 속을 가래과 또는 포시도니아과로 분류하였으나 거머리말목(Zosterales)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했었다.
종 다양성
편집포시도니아속에 포함되는 종 목록은 아래와 같다.[1]
- Posidonia angustifolia, Cambridge and Kuo[2]
- Posidonia australis, Hook.f. - 오스트레일리아의 남해안.
- Posidonia coriacea, Cambridge and Kuo
- Posidonia denhartogii, Kuo and Cambridge[3]
- Posidonia kirkmanii, Kuo and Cambridge
- Posidonia oceanica, (L.) Delile - 이 식물 종은 지중해가 원산지이며, 해저에 자생한다.
- Posidonia ostenfeldii, den Hartog[4]
- Posidonia robertsoniae, Kuo and Cambridge
- Posidonia sinuosa, Cambridge and Kuo
린네가 기술한 종 Posidonia oceanica은 지중해에서 발견되며, 나머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남해안에서 발견된다. 일부 종들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해초 지대가 원산지이며, 이 모든 오스트레일리아 종들은 그 지역의 다양한 서식 환경에서 발견된다. 이들 분포는 크게 2개의 집단인, Posidonia australis와 Posidonia ostenfeldii 집단으로 나눈다.[5] 일부 종들은 지역적 특징만으로 분류되고 있어서, 추후 재분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1][6] 2006년에 Posidonia oceanica의 거대한 클론 집락이 이비자 섬 남부에서 발견됐다. 직경이 8 km에 이르고, 나이가 10만년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지구상에 현존하는 클론 집락 중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 보인다.[7]
계통 분류
편집택사목 |
| ||||||||||||||||||||||||||||||||||||||||||||||||||||||||||||||||||||||||||||||
각주
편집- ↑ 가 나 Mike van Keulen. “포시도니아속(Posidonia), König (nom. cons.) (Posidoniaceae).”. Murdoch University.
- ↑ Cambridge, M.L. and Kuo, J. (1979) Two new species of seagrass from Australia, Posidonia sinuosa and Posidonia angustifolia (Posidoniaceae). Aquat. Bot. 6, 307-328 f. Keulen
- ↑ Kuo, J. and Cambridge, M.L. (1984) A taxonomic study of the Posidonia ostenfeldii complex (Posidoniaceae) with descriptions of four new Australian seagrasses. Aquat. Bot. 20, 267-95. f. Keulen
- ↑ den Hartog, C. (1970) Seagrasses of the World. Verh. Kon. Ned. Akad. Wetens. Afd. Naturk. Ser. 2 59:139 f. Keulen
- ↑ Kuo, J. and McComb, A.J. (1989) In: "Biology of Seagrasses. A treatise on the biology of seagras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ustralian region." (Eds. A.W.D. Larkum, A.J. McComb, S.A. Shepherd) (Aquatic Plant Studies 2) (Elsevier, Amsteredam). p. 6-73 f. Keulen
- ↑ Campey, M.L.; Waycott M.; Kendrick G.A. (200년 1월). “Re-evaluating species boundaries among members of the Posidonia ostenfeldii species complex (Posidoniaceae) -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Aquatic Botany》 66 (1): pp. 41–56(16) Research article. doi:10.1016/S0304-3770(99)00015-7. 2020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Ibiza Spotlight (2006년 5월 28일). “Ibiza's Monster Marine Plant”. 2007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9일에 확인함.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In: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Volume 161, Issue 2, 2009, S. 105-121.
- ↑ Die Ordnung der Alismatales bei der APWebsite.
외부 링크
편집- “Posidonia”. 미국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ITIS).
- Posidoniaceae Archived 2010년 12월 13일 - 웨이백 머신 in L. Watson and M. J. Dallwitz (1992 onwards)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rchived 2007년 1월 3일 - 웨이백 머신.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Posidonia Archived 2015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
- Flora Europaea: Posido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