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줄리나(Fusulinida) 또는 방추충(紡錘蟲)은 방해석 미세 입자로 구성된 단세포 유공충이다. 실루리아기 초기부터 페름기 후기끼지 생존했으며, 페름기 말기에 멸종하였다.[1]

푸줄리나

생물 분류ℹ️

발견과 특징

편집
 
푸줄리나를 자른 모습

푸줄리나의 화석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었다.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걸친 얕은 바다에서 대량으로 서식했고, 이 개체들은 석탄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페름기에 접어들어 그 수가 점차 감소했다.[2]

초기의 푸줄리나는 미세하고, 평면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었으며, 이후 렌즈 모양, 구형, 길쭉한 쌀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진화했다.[3][4] 푸줄리나는 일반적으로 5cm까지 자랐지만, 일부는 최대 14cm까지도 자라났다고 학계에서 보고되었다.[5][6][7]

각주

편집
  1. Dubicka, Zofia; Gajewska, Maria; Kozłowski, Wojciech; Mikhalevich, Valeria (2021년 6월 29일). “Test structure in some pioneer multichambered Paleozoic foraminifer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118 (26). Bibcode:2021PNAS..11800656D. doi:10.1073/pnas.2100656118. ISSN 0027-8424. PMC 8255957. PMID 34155110. 
  2. Dubicka, Zofia; Gorzelak, Przemysław (2017년 11월 9일). “Unlocking the biomineralization style and affinity of Paleozoic fusulinid foraminifera”. 《Scientific Reports》 (영어) 7 (1): 15218. Bibcode:2017NatSR...715218D. doi:10.1038/s41598-017-15666-1. ISSN 2045-2322. PMC 5680253. PMID 29123221. 
  3. Wagner, Robert Herman (1983). 《The Carboniferous of the World: China, Korea, Japan & S.E. Asia》 (영어). IGME. 88쪽. ISBN 978-84-300-9949-8. 
  4. Goldberg, Walter M. (2013년 10월 4일). 《The Biology of Reefs and Reef Organisms》 (영어).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3쪽. ISBN 978-0-226-92537-0. 2023년 1월 10일에 확인함. 
  5. Saraswati, Pratul Kumar; Srinivasan, M. S. (2016), Saraswati, Pratul Kumar; Srinivasan, M.S., 편집., “Calcareous-Walled Microfossils”, 《Micropaleont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영어)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81–119쪽, doi:10.1007/978-3-319-14574-7_6, ISBN 978-3-319-14574-7 
  6. Tappan, Helen; Loeblich, Alfred R. (1988). “Foraminiferal Evolution, Diversification, and Extinction”. 《Journal of Paleontology》 62 (5): 695–714. ISSN 0022-3360. JSTOR 1305391. 
  7. “Fusulinids | GeoKansas”. 《geokansas.ku.edu》. 2020년 5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