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란
풍란(風蘭)은 난초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4] 꼬리난초라고도 부른다.[5] 대한민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풍란 | |
---|---|
풍란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군 |
강: | 외떡잎식물군 |
목: | 비짜루목 |
과: | 난초과 |
아과: | 석곡아과 |
족: | 반다족 |
속: | 반다속 |
종: | 풍란 |
학명 | |
Neofinetia falcata[1] | |
(Thunb.) Hu[2] | |
학명이명 | |
| |
보전상태 | |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
분포와 품종
편집한국 남해의 섬 및 중국, 일본, 타이완에서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라며, 내륙 지역에서는 약하다.[4] 홍도와 흑산도에서 자생하던 풍란은 무분별한 채취 때문에 거의 사라졌으나, 꽃색, 꽃의 크기, 잎의 변형과 무늬종, 향기 등이 다른 120여 품종이 원예용으로 개발되어 있다.[6] 잎의 종류에 따라 나도풍란(대엽풍란)과 소엽풍란의 두 종류로 구분되며, 현재 한국에서는 완도에서 자생하는 붉은사철란 등 5종이 자생하고 있다.[4]
효능 및 기원
편집풍란은 자생지에서 다른 식물이나 바위에 부착하여 자란다. 집에서 키울 때 나무, 돌, 도자기, 숯 등에 뿌리를 부착시켜 기른다. 이 중에서 숯은 식물의 뿌리를 잘 부착되게 하면서 실내의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꽃의 향기도 매우 좋아 실내의 냄새를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다.[7]
생태와 특징
편집길이는 3~8cm 정도, 폭은 6~8cm 정도로 자란다.[4] 중심축 역할을 하는 가지가 잘 발달해 있고 가지가 옆에서 나오는 평범한
잎
편집넓은 줄꼴의 단단한 잎이 짧은 마디에서 2줄로 빽빽하게 마주 안으며 난다.[4] 잎은 길이 5~10cm, 너비 6~8mm이며, 단면이 V 모양으로 접혀 있다.[4] 윗부분은 뒤로 활처럼 젖혀지고, 밑에 환절이 있다.[6]
꽃
편집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3~10cm 정도 되는 꽃대가 나와 달콤한 향기가 있는 흰색 꽃이 핀다.[6] 지름 1.5cm 정도 되는 꽃 3~5개가 송이꽃차례로 달리는데, 오래 지나면 노랗게 변한다.[4][6] 꽃턱잎은 바소꼴이며 길이 4~7mm이다.[4]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가 1cm 정도 되고 끝이 둔하다.[4] 꽃잎은 3개는 위를 향하고, 측편의 2개는 아래를 향한다.[4] 입술모양꽃부리는 7~8cm 정도 되는 혀 모양으로, 울퉁불퉁하고 3개로 얕게 갈라진다.[6] 옆갈래조각은 작고 원형이며, 가운데 갈래조각은 길이 3~4mm 정도 되는 달걀모양으로 끝이 둔하다.[4] 꿀주머니는 줄모양이며 길이 4cm 정도로 길게 뒤에서 굽어 아래를 향한다.[6]
열매
편집열매는 길이 3cm 정도이고 길이 3~4mm 정도의 대가 있다.[4]
줄기와 뿌리
편집짧고 두꺼운 줄기가 몇 개가 모여서 함께 자란다.[6] 밑부분에서 끈 같은 뿌리가 돋는데, 흰색으로 광택이 약간 나며, 국숫발 같은 뿌리가 나와 바위나 나무 등에 착생한다.[4]
재배
편집환경
편집자연광의 30~60%가 차단된 반그늘을 좋아하므로, 직사광선이 쬐지 않는 곳에 재배하는 것이 좋다.[4] 10 °C 이하나 30 °C 이상에서는 휴면을 취하게 되는데, 여름 휴면은 되도록 짧게 시켜주는 것이 생육에 좋다.[4] 20~25 °C에서 성장하고 겨울철에는 5~8 °C에서 휴면을 취하는 온대식물이므로, 겨울철에는 20 °C 이상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 도장되거나 분얼되지 않고 꽃눈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4] 물은 보통으로 주고, 환기를 잘 시켜야 한다.[4] 겨울철 풍란의 잎이 쪼글쪼글한 것은 겨울을 나기 위해 필요 없는 수분을 방출한 것이기 때문에, 병이 걸렸거나 건조하다 여겨 물을 더 주거나 습도를 높여서는 안 된다.[4] 여름철 습도는 80~90%, 겨울철에는 50% 정도가 알맞다.[6]
비료와 병충해
편집비료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지만, 인공적으로 재배할 때에는 생장이 왕성한 시기인 4~6월, 9~10월에는 어느 정도 거름을 주어야 잘 자란다.[4] 병충해에 저항력이 강하고 무병 장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나, 요즈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여러 가지 병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량 재배지가 해충의 서식처가 되기도 한다.[4] 주요 병해로는 탄저병, 갈색점무늿병, 무름병, 뿌리썩음병 등이 있고 충해로는 달팽이, 깍지벌레, 응애가 있다.[4]
번식과 분갈이
편집씨에서 싹을 틔우거나 3~4월에 2~3촉 정도씩 포기나누기를 해 번식시킬 수 있다.[4] 고목의 뿌리나 감나무·은행나무 등의 굵은 줄기를 짧게 잘라서 껍질 부분에 풍란의 뿌리를 붙이고 끈으로 감은 다음 수시로 물을 주면 뿌리가 나무에 붙으면서 자란다. 이식성은 보통이다.[4] 분갈이 시기로는 3~4월과 9~10월이 적당한데, 뿌리를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 하며, 특히 생장점 부분은 연약하므로 주의해야 한다.[4] 작은 토분이나 공기구멍이 있는 장식분에 심어 감상하거나, 헤고 판이나 수석 등에 착생시켜 감상하여도 좋은 식물이다.[4]
각주
편집- ↑ “Vanda falcata (Thunb.) Beer”. 《GRIN-Global Web v 1.9.8.2》 (영어). 미국 농무부. 2015년 11월 13일. 2017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Vanda falcata (Thunb.) Beer”. 《The Plant List》 (영어). 큐 왕립식물원. 2012년 3월 23일. 2017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국립생물자원관. “풍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풍란 Neofinetia falcata (Thunb.) Hu”.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7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박만규 (1949). 《우리 나라 식물 명감》. 문교 연구 총서 2. 서울: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문교부).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위키문헌/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 씨 식 물/외떡잎식물〉
- ↑ 《정원 유지관리 실내식물 기르기》.
참고 문헌
편집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