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공

(항문전공에서 넘어옴)

대퇴공(Femoral Pore)은 짝을 유인하거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페로몬을 분비하는, 어떤 도마뱀이나 지렁이도마뱀류의 허벅지 아랫쪽에 돋아난 (en:holocrine)분비선이다. 어떤 종은 수컷만이 대퇴공이 나있고, 다른 종들은 암수가 다 나있지만 수컷의 대퇴공이 좀 더 크다.[2] 대퇴공은 동물의 허벅지의 밑부분에 일렬로 돋아나있다. 위치에 따라 항문 앞에 나있다면 항문전공(Preanal Pore)이라고 불린다.

도마뱀붙이류의 대퇴공
도마뱀류의 대퇴(상피)공의 진화도: 과 단위로 살펴본 개괄. 최대의 가능성 분석을 바탕으로 만든 원형 그래프는 조상에 대한 것이며, 검은색의 비율은 상피공이 이 조상에 발현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1]

대퇴공은 갑옷도마뱀과, 목걸이도마뱀과, 가시꼬리도마뱀과, 이구아나과, 뿔도마뱀과, 밤도마뱀과의 모든 들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2] 무족도마뱀과, 카멜레온과, 장님도마뱀과, 독도마뱀과, 도마뱀과, 악어도마뱀과, 왕도마뱀과의 모든 속들에선 찾아볼 수 없다.[2] 대퇴공은 다른 도마뱀류나 지렁이도마뱀류에서 군데군데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낮도마뱀붙이류 같은 몇몇 도마뱀붙이류는 대퇴공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과의 다른 속들은 가지고 있지 않다.[2]

지질을 분비하는 서부울타리도마뱀(:en:Western Fence Lizard)의 대퇴공. 이 지질은 수컷이 영역 표시 등등을 위해 냄새를 남기는 데 사용한다.

사막이구아나는 대퇴공에서 자외선을 흡수하는 왁스 지질을 분비하여, 자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동물들의 눈에 띈다.[3] 녹색이구아나로 행해진 실험 결과, 대퇴공이 분비한 다양한 화학물질로 연령, 성별, 개체 식별에 활용할 수 있었다.[4] 수컷 표범도마뱀붙이는 대퇴공의 분비물을 혓바닥을 낼름거려 맛보며, 분비물을 남긴 개체가 수컷이라면 서로 싸울 것이다.[5]

도마뱀붙이류와 같은 어떤 종은 암컷은 대퇴공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도마뱀류에 속한 대부분의 과, 특히 이구아나과는 대퇴공이 있지만, 연령과 덩치가 같을 때 수컷의 대퇴공이 훨씬 컸다.[4] 이는 성적 이형성의 예시로 볼 수 있다.[4]

대퇴공의 숫자는 종마다 다양하다.[1] 예를 들면 과의 수컷의 대퇴공은 허벅지당 0개(e.g. Meroles anchietae)에서 32개(e.g. Gallotia gallotia)에 이른다.[6] 또한 덤불에 사는 종은 바위 무더기 따위의 다른 곳에 서식하는 종보다 대퇴공이 적은 경향이 있으며, 장지뱀류의 화학신호 분비선의 진화에 환경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엿볼 수 있다.[6]

각주

편집
  1. Baeckens, Simon (2015년 7월 9일). “Evolution and role of the follicular epidermal gland system in non-ophidian squamates”. 《Amphibia-Reptilia》 36 (3): 185–206. doi:10.1163/15685381-00002995. 
  2. Pianka, Eric; Vitt, Laurie (2003). 《Lizards Windows to the Evolution of D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2쪽. ISBN 978-0-520-24847-2. 
  3. Alberts, Allison C. (1990). “Chemical Properties of Femoral Gland Secretions in the Desert Iguana, Dipsosaurus dorsalis”. 《Journal of Chemical Ecology》 16 (1): 13–25. doi:10.1007/BF01021264. PMID 24264892. 
  4. Alberts, Allison C.; Thomas R. Sharp; Dagmar I. Werner; Paul J. Weldon (1992). “Seasonal variation of lipids in femoral gland secretions of male green iguanas (Iguana iguana)”. 《Journal of Chemical Ecology》 18 (5): 703–712. doi:10.1007/BF00994608. PMID 24253964. 
  5. Mason, R.T. (1992). “Reptilian pheromones”. 《Biology of the Reptilia》 18: 114–228. 
  6. Baeckens, Simon (January 2015). “Chemical signalling in lizards: an interspecific comparison of femoral pore numbers in Lacertidae”.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14: 44–57. doi:10.1111/bij.12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