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리 전투(縣里戰鬪)는 한국전쟁1951년 5월 16일~5월 22일 동안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에서 중공군조선인민군, 한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중공군이 춘계 공세를 벌였을 때 벌어진 전투로 인제군에 있던 한국군 제3군단이 방어에 실패하고 하진부리까지 밀렸다. 한국 역사 3대 패전(칠천량해전, 쌍령전투, 현리전투) 중 하나로 꼽힌다.

현리 전투
6.25 전쟁중공군 춘계공세의 일부
날짜1951년 5월 16일~5월 22일
장소
결과 공산군의 압도적인 승리
공산군에게 동부전선에 커다란 돌파구를 허용
교전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지휘관
대한민국 3군단장 유재흥
대한민국 7사단장 김형일
대한민국 9사단장 최석
대한민국 3사단장 김종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군단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군단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군단장
중화인민공화국 제9병단장
병력
대한민국 국군 제3군단

중화인민공화국 중공군 제9병단

  • 중화인민공화국 12군, 20군, 27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2, 3, 5군단
피해 규모
사실상 전멸 불명

경과 편집

중공군 12군단, 27군단과 조선인민군 5군단은 국군 3군단을 공격하면서, 동시에 보급로인 오마치 고개를 점령했다. 3군단이 포위당하자 당시 군단장이던 유재흥은 부군단장을 대리로 지정한 후 항공기편으로 군단 사령부로 돌아갔다. "작전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갔다"라고 항변하였지만 당시 참모총장이었던 백선엽 장군의 저서 《밴 플리트 장군과 한국군》 136쪽에는 "이 때 유재흥은 작전회의에 조차 참석하지 않았다."고 명시했다. 이 후 3군단은 지휘통제가 불가능한 와해 상황이 되었으며, 사단장들을 비롯한 모든 지휘관들이 지휘를 포기하고 계급장을 제거한 후 살기위해 무질서한 도피를 시작했다. 결국 현리에서 한국군 3군단 예하 3사단, 9사단 병력 2만 2천 명 가운데 4천 명의 사상자와 행방불명자를 냈고, 27일까지 병력의 70% 가량만 복귀했으며, 무기는 70%잃었다.

증언 편집

정병석 인제 문화원장은 15세때 3군단 3사단 18연대에 학도병으로 배치됐다. 그는 "적군이 점령한 능선과 계곡을 피해 가파른 산 중턱을 탈출로 삼아 밤낮 없이 걸었으며, 곳곳에는 탈진과 굶주림으로 사망한 전우의 시신이 흩어져 있었으나 미처 수습할 겨를이 없었다"라고 말했다.[1]

영향 편집

  • 당시 밴 플리트 미8군 사령관은 한국군 제1군단을 제외한 모든 군단 사령부를 해체하고 일체의 작전지휘권을 미군 장성들에게만 부여하였으며, 1군단 또한 육군본부를 지휘선상에서 제외하고 미군 사령부에서 직접적인 지휘를 받도록 해 시점부터 모든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이 상실되었다.
  • 이 전투에 패전함에 따라 밴 플리트의 명령에 의해 3군단이 1951년 5월 26일 해체되었다.

평가 편집

임진왜란 당시의 칠천량 해전, 병자호란 당시의 쌍령 전투와 함께 역사상 최악의 3대 패전으로 꼽힌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및 참고 문헌 편집

  1. 임보연; 박종성 (2010년 4월 5일). “<6.25 참패 '현리전투' 참가자 정병석씨>”. 연합뉴스. 201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온창일 외, <<6.25전쟁 60대 전투>>, 황금알 201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