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어장 라디오스타
MBC에서 매주 수요일 밤에 편성되는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스타》는 매주 수요일 밤 10시 30분에 방송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 |
장르 | 예능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MBC TV |
방송 기간 | 2007년 5월 30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수요일 밤 10시 30분 ~ 12시 10분 |
방송 횟수 | 837회 (2023년 10월 18일 기준) |
추가 채널 | MBC 드라마넷, MBC 에브리원, MBC M, E채널 |
기획 | 김구산 (MBC 예능본부) |
연출 | 최행호 |
조연출 | 조주연, 정겨운, 이민재, 이경은 |
작가 | 곽상원, 박숙진, 변은정, 박미르내, 이윤영, 김한슬 |
진행자 | 김국진, 유세윤, 김구라, 장도연 |
여는 곡 | Brother Louie Mix 98'(모던 토킹) |
음성 | 1채널 모노 사운드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방송 역사 편집
특징 편집
-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보이는 라디오' 형식을 써서 들리는 TV로 콘셉트를 잡아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다.
- 진행자들은 각각 DJ로 불리며, 매 회 연예인을 초대하여 코너를 진행한다.
- 개인별 초대손님의 경우 한 번에 최대 4명과 그룹의 경우 최대 5명의 초대손님으로 최대 3회까지 녹화한다.
- 줄임말로는 라스라고 표현된다.
제작진[1] 편집
- 기획
- 김구산
- 연출
- 최행호, 김지우
- 조연출
- 윤혜진, 한승훈, 안지선, 박은영
- 외부 조연출
- 김혜성, 엄민아, 한미진, 마경호
- 작가
- 곽상원, 우은정, 남인영, 김현진, 김한슬, 서은현, 박한솔
진행자 편집
현재
- 김국진 : (2007년 9월 5일 ~ 현재)
- 유세윤 : (2011년 12월 7일 ~ 2013년 6월 5일 [2]/2021년 3월 31일 ~ 현재)
- 김구라 : (2007년 5월 30일 ~ 2012년 5월 9일 [3]/2013년 6월 12일 ~ 현재)
- 장도연 : (2023년 9월 20일 ~ 현재)
과거
- 신정환 : (2007년 5월 30일 ~ 2010년 9월 15일)
- 윤종신 : (2007년 5월 30일 ~ 2019년 9월 11일 [4])
- 신동 : (2007년 6월 6일 ~ 2007년 8월 29일)
- 탁재훈 : (2009년 11월 18일 ~ 2009년 11월 25일)
- 김태원 : (2010년 9월 29일 ~ 2010년 10월 13일)
- 토니 안 : (2010년 10월 20일 ~ 2010년 10월 27일)
- 김희철 : (2010년 11월 3일 ~ 2010년 11월 17일/2010년 12월 8일 ~ 2011년 10월 5일)
- 문희준 : (2010년 11월 24일 ~ 2010년 12월 1일)
- 규현 : (2011년 10월 19일 ~ 2017년 5월 31일)
- 차태현 : (2018년 1월 3일 ~ 2019년 3월 20일 [5])
- 안영미 : (2019년 6월 26일 ~ 2023년 5월 10일 [6])
에피소드 목록 편집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편집
2007년
- 7월 25일 :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납치 관련 MBC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19일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8년
- 4월 9일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6일 : 2008 《서태지》 컴백 스페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20일 : 《2008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9월 10일 : 남아공 월드컵 최종예선 《대한민국 VS 북한》 축구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31일 : 《2008 MBC 가요대제전》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9년
- 1월 7일 : 언론노조 총 파업에 황금어장 PD가 참여해 기존 방송 편집본으로 대체.
- 2월 11일 : 남아공 월드컵 최종예선 《대한민국 VS 이란》 축구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5월 27일 : 노무현 前 대통령 서거 편성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다큐멘터리로 대체.
- 6월 17일 : 무릎팍 도사 안철수 편이 1시간 편성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룰라 편의 예고편으로 대체.
- 12월 30일 : 《2009 MBC 연기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0년
- 3월 31일 :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인한 결방.
- 4월 14일 ~ 5월 12일 : MBC 노조 파업으로 인한 결방.
- 6월 2일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29일 : 《2010 MBC 방송연예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1년
- 7월 6일 :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편성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무릎팍 도사로 대체.
- 9월 21일 : 올림픽 축구 최종예선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12일 : 무릎팍 도사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28일 : 창사 50주년 특별기획 세시봉 친구들 2부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2년
- 4월 4일 : MBC 노조 파업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재방송으로 대체.
- 4월 11일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8일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1월 21일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TV 토론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5일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TV 토론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19일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3년
2014년
- 2월 12일 ~ 2월 19일 : 《2014년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4월 16일 : 《세월호 여객선 침몰》 사고 관련 MBC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4월 23일 : MBC 특별대담 '원칙이 바로 서는 사회, 어떻게 만들 것인가?' 편성으로 인한 결방.
- 6월 4일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31일 : 《2014 MBC 가요대제전》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5년
- 12월 30일 : 《2015 MBC 연기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6년
- 4월 13일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10일 ~ 8월 17일 : 《2016 리우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12일 : 2016 DMC 페스티벌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7년
- 9월 6일 ~ 11월 8일 : MBC 파업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스페셜 방송분으로 대체.
2018년
- 2월 14일 :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4월 25일 : 2018 남북평화협력기원 평양공연 우리는 하나 편성으로 인한 결방.
- 6월 13일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27일 :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리그 3차전 《대한민국 VS 독일》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9월 26일 : 추석특집 2018 라디오 스타 베스트로 방송.
2020년
- 4월 15일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11월 18일 : MBC 스포츠 2020년 KBO 리그 한국시리즈 2차전 《두산 베어스 VS NC 다이노스》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밤 11시에 방송.
- 12월 30일 : 《2020 MBC 연기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밤 11시 15분에 방송.
2021년
- 8월 4일 : 미치지 않고서야 스페셜 몰아보지 않고서야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29일 : 《2021 MBC 방송연예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2년
- 2월 9일 : 《2022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에 따라 밤 11시에 방송.
- 2월 16일 : 《2022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3월 9일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1일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11월 2일 : 이태원 압사 사고 참사 여파 및 스페셜 뮤직멘터리 마더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1월 23일 ~ 11월 30일 : 《2022 카타르 월드컵》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3년
- 10월 4일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11일 :
수상 편집
- 2014년 MBC 방송연예대상
- 2016년 MBC 방송연예대상
- 2018년 MBC 방송연예대상
- 2019년 MBC 방송연예대상
- 쇼·뮤직 여자 우수상 : 안영미
- 2020년 MBC 방송연예대상
- 2021년 MBC 방송연예대상
- 2022년 MBC 방송연예대상
사건 및 사고 편집
- 많은 반말, 비속어 등을 사용해 2008년 말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7]조치를 받았다.
- 2010년 8월 25일 방영분에서는 게스트로 나온 가수 조영남이 DJ DOC의 학력을 비하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켰고 이 과정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경고'[8]조치를 받았다.
- 2016년 6월 1일 방영분에서는 올바르지 않은 언어로 비난을 샀고 이 과정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9]조치를 받았다.
- 2018년 3월 28일 방영분에서는 출연자들이 간접광고 상품인 휴대전화의 기능을 시현하는 모습을 구체적이고 반복적으로 보여줘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10]조치를 받았다.
- 2019년 2월 20일 방영분에서 강민경(다비치)이 직접 만든 폭탄주를 MC와 다른 출연자들과 마셔보고 맛에 대해 표현하는 장면을 내보내[11] 5월 27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의' 조치를 받았다.[12]
각주 편집
- ↑ http://www.imbc.com/broad/tv/ent/goldfish/staff/
- ↑ 이 당시 공황장애에 시달리다가 음주운전을 저질렀으며, 이에 해당 범행을 자수한 이유로 인해 일시적으로 하차하였다.
- ↑ 과거 위안부 관련 망언 파문으로 인해 방송 중단
- ↑ 《월간 윤종신》 10주년 기념앨범 제작을 계기로 해외에서 진행되는 '이방인 프로젝트' 준비로 인해 프로그램에서 하차하게 되었다.
- ↑ 하차 이후인 2020년 11월 11일 방송분에 스페셜 MC로 다시 출연한 바 있다.
- ↑ 7월 출산으로 남편 있는 미국에 가 있음. 그 후 재합류를 준비하였으나 끝내 9월 하차하였다.
- ↑ 최문정 (2009년 2월 3일). “'리얼예능' '무한수다'가 막말 키웠다”. 스타뉴스. 2018년 4월 3일에 확인함.
- ↑ 조범자 (2010년 9월 30일). “방통심의위, 조영남의 학력무시 발언 '황금어장'에 '경고'”. 아시아경제. 2018년 4월 3일에 확인함.
- ↑ 헤럴드경제 (2016년 8월 18일). “‘똥 싸느라…쉐킷” 라디오스타 젝키 편 ‘주의조치’”. 헤럴드경제. 2018년 4월 3일에 확인함.
- ↑ 전종호 (2018년 7월 9일). “방심위, '북한, 풍계리 취재비 요구' 보도 TV조선에 '주의' 중징계”. 아이뉴스24. 2018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김현정 (2019년 5월 20일). “방심위, '라스' 강민경 꿀주 음주 미화‧조장으로 '법정 제재'”. 엑스포츠뉴스.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이유진 (2019년 5월 27일). “방심위, 강릉서 ‘고성 산불현장’처럼 보도한 KBS ‘관계자 징계’”. 경향신문.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