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카미도리 나츠요

후카미도리 나츠요 (일본어: 深緑 夏代 ふかみどり なつよ[*], 1921년 9월 24일 - 2009년 8월 31일)경성 (현재의 서울) 출신의 샹송 가수이자, 음악 강사로, 전 다카라즈카 가극단 유키구미 주연 여역이었다.

후카미도리 나츠요
深緑 夏代
1953년 때 사진
본명타다 레이코 (多田 玲子)
출생1921년 9월 24일
일본 경성
(현재의 한국 서울특별시)
사망2009년 8월 31일
활동 기간1936년 - 2009년

본명은 타다 레이코 (多田 玲子)로, 애칭은 "타-코상", "타마코상", "타-코센세"이다.

약력

편집
  • 1921년 (다이쇼 10년) 9월 24일, 7남매의 장녀로 태어났다.
  • 1934년 (쇼와 9년), 일본으로 단신 귀국, 츠시마 고등여학교 (현재의 나가사키현립 츠시마고등학교)에 입학.
  • 1935년 (쇼와 10년),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 전학과 동시에 입단. 다카라즈카 가극단 25기생으로 입단 당시 성적은 104명 중 56등.
  • 1936년 (쇼와 11년), 아버지가 지어준 예명인 후카미도리 나츠요로, 초무대 「바비의 결혼」에 출연.
  • 1944년 (쇼와 19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재단 중에 제 13회 일본음악 콩쿠르 성악부문에서 최고위(2위)에 입상 (1위는 해당자 없음).
  • 1946년 (쇼와 21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전후 재건 제 1회 공연 「카르멘」에서 카스가노 야치요의 상대역에 발탁되어 첫 히로인.
  • 1947년 (쇼와 22년) 1월, 하나구미 공연 「파인 로맨스」로 코시지 후부키와 첫 콤비를 했다. 이후, 명콤비로서 * * * 1951년, 코시지가 퇴단할 때까지 다수의 작품에 함께 주연을 맡았다.
  • 1952년 (쇼와 27년) 6월, 유키구미 공연 「샹송 드 파리」에서 『카레하(枯葉)』, 『라 세느(ラ・セーヌ)』 등의 샹송을 일본 최초로 불러, 대성황을 이루면서, 후의 샹송 붐의 불쏘시개가 되었다.
  • 1995년 (쇼와 30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퇴단. 샹송 가수로서 본격적으로 활동 개시. 이듬해에는 6개월 간 파리에 체제하였고, 견문을 넓히고 귀국하였다.
  • 1957년 (쇼와 32년), 도쿄 야마하 홀에서 첫 리사이틀 개최. 이후, 매년 리사이틀을 개최.
  • 1966년 (쇼와 41년) 4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샹송 강사로 취임 (1977년 3월까지). 그 때 가르침을 받은 사람이 안나 준, 오오토리 란, 아사미 레이, 다이치 마오, 쿠로키 히토미, 하루나 유리 등이 있다.
  • 1976년 (쇼와 51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입단한 나츠미 요 (전 호시구미・하나구미 조장)의 예명을 지어주었다.
  • 1980년 (쇼와 55년), 마이니치 컬처 센터에서 샹숑 교실을 개최. 이후, 각지에 강좌를 가지고, 지도를 계속 했다.
  • 1994년 (헤이세이 6년), 가을 훈장 수여에, 훈4등 서보장을 수훈받았다.
  • 1999년 (헤이세이 11년), 처음으로 큰 병 (위암)을 앓고도 무사히 회복되었고, 그 후에도 열정적으로 활동을 계속 했다.
  • 2009년 (헤이세이 21년) 8월 31일, 폐렴으로 사망. 1월에 여러 공연을 한 뒤 몸이 아파 요양 중이었다.
  • 2014년 (헤이세이 26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창단 100주년 기념으로 창립된 『다카라즈카 가극의 전당(宝塚歌劇の殿堂)』 최초 100인 중 한 명으로 전당에 입성.

다카라즈카 시절의 주요 무대

편집
 
1948년 『다시 그대가 가슴에』 (오른쪽의 여역이 후카미도리. 왼쪽이 코시지 후부키)

인물ㆍ일화

편집
  • 일본 샹송계의 대부 중의 대부이자, 다카라즈카 가극단 최고연령 OG, 일본 최고령 가수 중 한명이었다.
  • 다카라즈카나 컬쳐 스쿨에서 가르친 학생의 수는 족히 1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 샹송 교실에는 후대의 츠키구미 톱스타 코시로 미야코도 다ㄴ니고 있었다.
  • 1960년, 당시 릿쿄 대학의 학생이었던 나카니시 레이의 재능을 간파하고, 샹송의 역사를 의뢰. 나카니시의 작사가 생활의 첫걸음을 만들었다. 나카니시 자신은 후카미도리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음을 말하고 있다. 그 당시를 회상하며 나카니시는 "그 시절이 없었다면 작사가로서의 나는 없다", "그때는 아르바이트 비를 많이 받아서 가장 부유한 시기였다"고 말했다. 후카미도리가 사망할 때까지 친분은 계속 되었고, 그녀의 장례식에서는 조사(弔辞)도 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