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6월 프랑스 총선
1946년 6월 프랑스 총선은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에서 제헌 의회가 제안한 헌법이 부결되자, 다시 제헌 의회를 소집하기 위해 치러진 선거다.
![]() | |||||||||||||||||||||||||||||||||||||||||||||||||||||||||||
1946년 6월 프랑스 총선 | |||||||||||||||||||||||||||||||||||||||||||||||||||||||||||
| |||||||||||||||||||||||||||||||||||||||||||||||||||||||||||
| |||||||||||||||||||||||||||||||||||||||||||||||||||||||||||
|
배경편집
임시정부의 수반이었던 샤를 드 골 장군은 대통령 중심제를 원했으나, 이를 보나파르티즘의 부활로 느낀 삼당연합이 반대하자 1940년 1월 임시정부 의장직에서 물러난다. 드골의 사임으로 새 수상이 된 노동자 인터내셔널의 펠릭스 구앵은 상원을 폐지하고 단원제를 실시할 것을 골자로 한 헌법을 제안했는데,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자 재 선거를 실시하게 된다.
선거 결과편집
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
---|---|---|---|---|
대중공화운동 (Mouvement républicain populaire) | 5,589,213 | 28.22 | 166 | |
프랑스공산당 (Parti communiste français) | 5,145,325 | 25.98 | 153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 | 4,187,747 | 21.14 | 128 | |
삼당 연합 | 14,922,285 | 75.34 | 447 | |
우파 (Modérés) | 2,538,167 | 12.82 | 78 | |
공화좌파연합 (Rassemblement des gauches républicaines) | 2,299,963 | 11.61 | 52 | |
기타 | 44,915 | 0.23 | 9 | |
합계 | 20,215,200 | 100 | 586 |
교섭단체편집
정당 | 의석 | |
---|---|---|
대중공화운동 | 166 | |
프랑스 공산당 | 153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128 | |
자유공화당 | 35 | |
급진당 | 32 | |
독립공화당 | 32 | |
민주사회저항연합 | 20 | |
알제리 선언 민주연합 | 11 | |
무소속 | 9 | |
합계 | 5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