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1993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10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열렸다.

준 플레이오프

편집

준 플레이오프에서는 LG 트윈스와 OB 베어스가 대결하였는데, 93시즌은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두 서울 팀이 포스트시즌에 동반 진출, 그리고 포스트시즌에서 맞대결한 첫 시즌이 됐으며 OB는 전년도 26홈런을 기록한 임형석[1] 손가락 부상으로 1홈런에 그쳐 포스트시즌에 나가지 못한 데다 쓸만한 좌완 선발투수의 공백을 극복하지 못한 채 1승 2패로 탈락했다.

1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LG 트윈스 0 0 0 2 0 0 0 0 0 2 - -
OB 베어스 1 0 0 0 0 0 0 0 0 1 - -
승리 투수: 김태원  패전 투수: 김상진  세이브: 김용수

2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OB 베어스 0 0 0 1 0 0 0 0 0 1 - -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 -
승리 투수: 김경원  패전 투수: 정삼흠


3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LG 트윈스 0 0 0 0 1 0 0 4 0 5 - -
OB 베어스 0 0 1 0 1 0 0 0 0 2 - -
승리 투수: 김태원  패전 투수: 김경원
홈런:  OB김상호(5회 1점)

플레이오프

편집

LG는 플레이오프에서 삼성과 90년 KS 이후 3년 만에 재격돌했는데 1987년(OB) 이후 3년 만에 서울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2 3 0 0 5 - -
LG 트윈스 0 0 0 0 1 0 0 0 0 1 - -
승리 투수: 김상엽  패전 투수: 정삼흠
홈런:  삼성강기웅(7회 3점)

2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2 0 1 0 3 - -
LG 트윈스 0 1 0 1 0 0 0 0 0 2 - -
승리 투수: 유명선  패전 투수: 민원기
홈런:  삼성이종두(6회 2점)

3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LG 트윈스 0 0 0 0 0 2 0 0 0 2 - -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0 0 0 0 0 - -
승리 투수: 이상훈  패전 투수: 박충식  세이브: 김용수

4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LG 트윈스 0 0 0 0 0 2 1 0 2 5 - -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0 0 0 0 0 - -
승리 투수: 정삼흠  패전 투수: 김상엽

5차전

편집
1 2 3 4 5 6 7 8 9 R H E
LG 트윈스 0 0 3 0 0 0 0 0 0 3 - -
삼성 라이온즈 0 2 2 0 0 0 0 0 X 4 - -
승리 투수: 박충식  패전 투수: 김태원
홈런:  삼성이종두(2회 2점)

한국시리즈

편집

삼성은 LG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어렵사리 승리하며 한국시리즈에서 해태와 세 번째로 맞대결한다. 3차전에서는 박충식의 15회 완투로 무승부를 만들어 내는 등 4차전까지 2승 1무 1패로 앞섰으나, 이어진 잠실 3연전을 내리 패하면서 2승 1무 4패로 6번째 준우승에 그쳤는데 6월 트레이드로 영입한 후 주전포수를 맡았던 박선일이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1루에 슬라이딩하다가 손 부상을 당해[2] 남은 시즌을 마감한 것이 컸다.

증계 일정

편집

1993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 되었다.

TV 중걔

편집

준 플레이오프

편집

1차전

2차전

3차전

플레이오프

편집

1차전

2차전

3차전

4차전

5차전


각주

편집
  1. 이진 (1993년 8월 20일). “홈런"異常(이상)저온"작년의 半(반)타작”. 동아일보.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2. 최화경 (1993년 10월 14일). “삼성「안방살림」서 졌다”. 동아일보. 2020년 7월 27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