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한국방송공사에 운영하는 제1텔레비전 방송.

KBS 1TV(KBS 제1텔레비전, U-KBS STAR)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 시사교양, 다큐멘터리 중계방송 및 기념식, 추념식 국회 인사청문회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 스포츠 일부 축구, 배구, 핸드볼, 2TV에서 KBO 일부야구 1TV 중계) 일부지역 자체방송 프로그램 등을 방송한다. 대한민국에서는 EBS 2TV, OUN 방송대학TV, NATV 국회방송, KTV 국민방송, skyUHD, 아리랑국제방송 등과 함께 상업방송 광고가 거의 없는 채널이다. 2012년 10월 8일부터 24시간 종일 방송 체제를 갖추고 있다.[1] DMB 채널 중 유일무이하게 전국적으로 HD로 송출하고 있다. DMB상의 채널 명칭은 U-KBS STAR이다. KBS 수신 안내로 DMB 개인별로 수신시 연동화로 자체 편성이다. 케이블 채널과 같다.
![]() KBS 제1텔레비전 U-KBS STAR | |
![]() 2018년 9월 3일부터 사용하는 로고 | |
개국 | 1961년 12월 31일 | (KBS -TV)
네트워크 | 한국방송공사 |
언어 | 한국어 |
방송 지역 | 대한민국 전역 |
본사 | 서울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여의도동) |
전신 | KBS-TV (1961-1980) |
자매 채널 | KBS 2TV |
아날로그 채널 | 종료 |
디지털 채널 | 9-1 |
IPTV 채널 | B TV, 올레 TV, KT 스카이라이프, U+ TV : 9 |
위성 채널 | KBS위성1TV (1996년 ~ 2002년) |
웹사이트 | KBS1 - 공식 웹사이트 |
특징편집
- 시사 및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 방송을 담당하는 지상파 채널이며, 공익광고를 제외한 상업광고를 100% 방송하지 않는 채널이다. 그 외에 일일연속극 및 대하드라마도 방송하는 편이며 고정 채널번호는 9번이다.
- 1963년 1월 1일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을 개시하였다. 6년만에 1969년 5월 1일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을 폐지하였다. 12년만에 다시 광고방송(상업광고)을 재개하였다.
- TV 편성표 상에 개국 이후부터 중앙(中央)텔레비전이었으며, 1973년 3월부터 한국방송공사 창립과 함께 KBS-TV으로 바뀌었다가, 1970년대 후반에 KBS로,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에 KBS1로 명칭되었다.
-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으로 지정되고 있다.
- 1997년에 종일방송을 도입 무산했으며, 2005년 12월부터 종일방송을 전면 도입하였으며, 2012년 10월 8일부터 종일방송 하루 24시간 체계로 편성하고 있다.
- 1981년 3월 7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을 재개하였다.
- 1981년 3월 7일부터 1994년 9월 30일까지 당시 스포츠, 영화, 실황 중계 프로그램 등의 상업 광고를 보냈다.[2]
- 1994년 7월에 상업 광고방송 폐지 결정을 내리게 되었지만 1994년 10월 1일부터 상업광고를 폐지하게 되었으며, 광고방송은 편성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상업 광고방송은 하지 않았는데 중단을 하였다.
- 2019년 1월 1일부터 곧이어(잠시후) 도입 추가되었다.
- 뉴스 프로그램(1TV) 앵커자(2명) 기자.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출장,파업으로 인하여 다른 기자.아나운서가 대신 진행 할수 있다.
- KBS의 프로그램(1TV) 진행자 각 1~2명의 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출장,파업으로 인하여 다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 할수 있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장소는 KBS 1TV 제2 스튜디오로 진행한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장소의 수화방송은 KBS 1TV 제2 스튜디오(1990년대 ~ 2004년 까지)가 아닌 별도 장소(2005년 ~ 이후 현재)의 파란 바탕의 모양으로 진행한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수화방송은 '한국 수어 통역 방송' 및 (1TV)의 수화 방송되는 프로그램인 《사랑의 가족》은 '수화 통역 방송'으로 표기된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2020년 11월 2일부터 뉴스 프로그램 게시판이 기사 댓글과 동일한 서비스(라이브리)로 변경되었다. 댓글 작성을 위해서 댓글 시스템에 로그인해야한다.
- 편성표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최근 1개월 조회만 가능하다.
- 편성표 (1TV)는 2020년 9월 12일 자정 12시 이후 매주 1주일 마다 편성표를 게시하여 게재하고 있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종영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자참여 게시판은 이용이 불가능 하게 되었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과거 2016년 이전의 다시보기는 불가능하게 되어 다시보기는 과거에 없어졌다(검색해본 결과 "찾으시는 다시보기 영상이 없습니다." 나옴)
- 2020년 9월 15일부터 KBS의 정책에 따라 일부 지역에 1TV 지역국으로 적용받아 편성된다. 서울 본국에 송출되는 KBS 1TV는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전북, 경남, 울산, 제주 등을 축소되며, 부산과 경남은 부산 KBS1, 광주/전남권은 광주 KBS1, 대전/세종/충남은 대전 KBS1 등을 각각 송출한다.
- 2020년 10월 9일 한글날을 기념하여, 중계방송 경축식에는 한국방송 1TV로 표기하였다.
연혁편집
태동기편집
- 1927년 2월 16일 : 라디오 방송 개국.
- 1961년 12월 31일 : KBS TV 개국.
- 1962년 1월 15일 : 3일 4시간 40분 동안 정규방송 실시
- 1963년 1월 1일 : 광고방송(상업광고) 개시.
- 1971년 12월 29일 : 6시 40분부터 9시 10분까지 오전 방송 개시.
- 1973년 8월 : 아폴로 11호 달 착륙 중계 방송
- 1973년 10월 19일 : 《명화극장》 방송 시작
- 1977년 1월 25일 : 오일 쇼크로 평일, 토요일 오전 방송 중단
- 1983년 11월 18일 : 《전설의 고향》 방송 시작
도약기편집
- 1984년 11월 9일 : 《KBS 바둑왕전》국내 유일과 TV 속기 바둑기전으로 창건(1기) 및 방영 개시.
- 1986년 11월 9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11시 55분까지로 축소
- 1986년 1월 17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익일 1시 40분까지로 확대
- 1986년 11월 29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익일 1시 45분까지로 확대
- 1986년 12월 7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11시 40분까지로 축소
- 1986년 12월 9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11시 55분까지로 확대.
- 1986년 12월 13일 : 광고방송(상업광고) 재개.
- 1986년 12월 25일 : 평일 방송을 5시 30분부터 11시 45분까지로 축소
- 1986년 6월 25일 : 새벽 5시 30분부터 오전 10시 10분까지 평일 오전 방송 재개, 《K BS 뉴스와 와이드 0 6 0 0》, 《K BS 가정뉴스 0 6 0 0》 신설.
- 1986년 7월 2일 : 새벽 5시 30분부터 오전 10시 10분까지 토요일 오전 방송 재개.
- 1986년 7월 9일 : 일요일 오전 방송 시작을 6시 10분로 변경
- 1987년 9월 20일 : 《K BS 뉴스와 와이드 0 6 0 0》이 《K BS 뉴스 8 0 0 6 0 0》으로 변경.
- 1989년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간, 사상 최초로 24시간 종일방송.
- 1989년 7월 31일 ~ 12월 18일 :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방송 시작 (그 당시 방송에 454시간 55분간 기록을 남겼다)
- 1989년 8월 19일 :《K BS 오늘과 경제》 신설.
- 1988년 12월 13일 : 《K BS 뉴스 8 0 0 6 0 0》, 《K BS 가정뉴스 0 6 0 0》이 《K BS 아침 0 6 뉴스》로 변경
- 1988년 11월 29일 : 《K BS 아침뉴스 0 6 0 0》이 《K BS 뉴스센터 0 6 4 5》로, 《K BS 아침뉴스 클럽 ( 0 9 3 0)》가 《K BS 뉴스센터 0 9 4 5》로, 《K BS 9시 뉴스》가 《K BS 뉴스센터 0 9 0 0》로, 《K BS 보도본부 2 4시간》이 《K BS 뉴스센터 2 4시간》으로, 《K BS와 뉴스》가 《K BS 뉴스센터 0 0 0 0》으로 변경.
- 1988년 12월 2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 방송 개시.
- 1989년 8월 6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화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1989년 8월 14일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수요일 오후 20시 00분 방송.
- 1989년 11월 26일 : 《K BS 오늘과 경제》 종영.
- 1989년 12월 1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수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1989년 12월 9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목요일 저녁 20시 00분 방송.
- 1990년 10월 21일 ~ 11월 18일 : 1990년 남아시안 게임 익일 오전 2시 10분까지 방송.
- 1991년 12월 2일 : 《TV유치원 하나둘셋》 채널 이동.
- 1991년 12월 5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수요일 오후 20시 00분 방송.
- 1992년 11월 19일 : 토요일 오전 방송 4시간 10분 연장과 함께 주말 오전 방송시대 개막 및 《생방송 심야토론》방송 시작.
- 1992년 11월 28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목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1992년 12월 9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일요일 오후 18시 20분 방송.
- 1992년 11월 12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 마지막방송. (T BC -TV) 채널 변경.
- 1993년 10월 19일 ~ 11월 18일 :《1993년 남하계 올림픽》익일 새벽 2시까지 방송.
- 1995년 11월 7일 : 《남북과 창》방영 개시.
- 1994년 12월 13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 K BS -TV로 채널 복귀.
- 1994년 12월 19일 : 《사랑방중계》K BS -TV로 채널 복귀. 수요일 저녁 방송.
- 1995년 6월 13일 : 《퀴즈탐험 신비와 세계》 마지막방송. T BC -TV 채널 변경.
- 1995년 6월 21일 : K BS 아침뉴스 0 6 0 0이 《K BS 뉴스와 광장 0 6 0 0》으로 확대 개편,《아침마당》,《 0 6시 내고향》 방송 시작.
변혁기편집
- 1997년 11월 21일 : 《KBS 930 뉴스》 방송 개시.
- 1997년 12월 28일 : 《사랑방중계》종영.
- 1998년 6월 25일 : 《사건 2 5시간》 방송 시작 및 ,《K BS와 뉴스( -TV)》OP 변경,《K BS 9시 뉴스현장》이 《K BS 9시 뉴스현장》과 통합,《K BS 뉴스 9》로 명칭 변경.
- 1998년 6월 26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방송을 K BS -TV로 이전.
- 1998년 11월 6일 : 《성공시대》종영.
- 1998년 11월 19일 : 《K BS와 뉴스( -TV)》OP 변경, K BS 저녁뉴스 1 9 0 0이 《K BS 지역권과 뉴스》와 통합, 《K BS와 뉴스 네트워크 0 7 0 0》으로 확대 개편 및《사람과 사람들》방송 개시.
- 1998년 11월 25일 : 《시청자 의견을 듣습니다》방송 시작.
- 1998년 10월 25일 : 《사건 2 5시간》 종영.
- 1998년 10월 28일 : 《사람과 사람들》월요일 마지막 방송. 금요일로 이동.
- 1998년 11월 12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일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1998년 11월 13일 : 《K BS 뉴스 2 4시간》가 《K BS 뉴스라인 2 3 0 0》으로 확대 개편.
- 1998년 11월 21일 : 《긴급구조 0 1 1 9》 방송 시작.
- 1998년 11월 23일 : 《역사와 라이벌》방영 개시.
- 1998년 11월 25일 : 《K BS 스페셜》방영 개시.
- 1998년 11월 26일 :《대추나무 사랑걸렸네》98가을개편에 따라 수요일로 이동. 수요일 오후 19시 45분 방송.
- 2000년 12월 25일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방영 개시.
- 2000년 12월 28일 : 《사람과 사람들》금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2000년 12월 29일 : 《K BS와 뉴스( -TV)》OP 변경
- 2000년 12월 13일 : 《사람과 사람들》 수요일 오후 22시 20분 방송.
- 2000년 12월 13일 : 《이것이 인생이다》방영 개시.
- 2000년 10월 6일 :《역사와 라이벌》종영.
- 2000년 10월 5일 : 평일 저녁 방송 시간을 다시 오후 5시 30분으로 환원 및 오후 1시 10분부터 오전 2시 10분까지 주중 심야방송 개시, K BS와 뉴스 (1730)가 《K BS 뉴스 5》로 확대 개편. 《세상은 넓다》방송 개시.
- 2000년 10월 7일 : 《인생을 걸고》방영 시작.
- 2000년 10월 9일 : 《TV는 사랑을 싣고》 K BS -TV로 채널 변경. 금요일 오후 19시 45분 방송.
- 2000년 10월 17일 : 《역사추리》방영 시작.
- 2000년 12월 16일 : 《인생을 걸고》종영.
- 2000년 12월 25일 : 《생로병사와 비밀》방송 시작.
- 2000년 1월 22일 : 《생로병사와 비밀》종영.
- 2000년 12월 31일 : 《이것이 인생이다》금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2000년 12월 1일 : 《역사추리》종영.
- 2000년 12월 7일 : 《이것이 인생이다》매주 목요일 오후 19시 45분 방송.
- 2000년 12월 15일 :《TV 조선왕조실록》방영 시작.
- 2000년 6월 13일 : 《긴급구조119》화요일 마지막방송. 00년 브봄개편에 따라 수요일로 이동.
- 2000년 6월 14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수요일 마지막방송. 화요일로 변경.
- 2000년 6월 21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방송을 00년 6월 브봄개편에 따라 수요일에서 화요일로 이동.
- 2000년 7월 5일 : 《긴급구조 0119》수요일 오후 19시 45분 방송.
- 2000년 11월 17일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T BC -TV로 채널 변경.
- 2000년 11월 26일 : 《시네마 데이트》가을개편에 따라 K BS -TV로 채널 변경. 토요일 오전 10시 10분 방송.
- 2000년 11월 27일 《K BS와 뉴스 (1010)》 방영 개시.
- 2001년 11월 6일 :《시네마 데이트》토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2001년 11월 9일 : I M F불황으로 오전 방송을 2시간 축소(6시 10분부터 11시 10분 까지) 및 오후 방송을 2시간 축소 다시 (17시 30분부터)
- 2001년 11월 13일 : 《사랑과 리퀘스트》 K BS -TV로 채널 변경 및 토요일 오후 19시 45분 방송.
- 2001년 11월 15일 : 《시네마 데이트》일요일 오후 17시 20분 방송. 《K BS 오늘과 경제》13년만에 부활.
- 2001년 12월 13일 : 《체험 삶과 현장》 (K BS -TV) 마지막 방송 (T BC -TV로 채널 이전)
- 2001년 12월 13일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화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2001년 12월 15일 : 《[[긴급구조 0 1 1 9》 (K BS -TV) 마지막 방송 (T BC -TV로 채널 이전)
- 2001년 12월 17일 : 《TV는 사랑을 싣고》금요일 마지막방송. T BC -TV로 이동.
- 2001년 12월 18일 : 《시네마 데이트》토요일 마지막방송. T BC -TV로 채널 변경.
- 2001년 12월 18일 : 《시네마 데이트》 K BS -TV 마지막방송. T BC -TV로 채널 변경.
- 2001년 12월 21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12월 개편에 따라 수요일 오후 19시 45분 방송.
- 2001년 6월 21일 ~ 6월 22일 16기 KBS 바둑왕전 생방송으로 생중계 방송 구(K BS 위성 -TV 위성방송(K BS -) 재송신 동시 편성) (오후 2시 10분 ~ 오후 5시 30분) (해설 노영하 八단, 장수영 九단)조훈현 九단 2:0 이창호 九단을 꺾고 통산 11회 우승
- 2001년 6월 26일 : 《TV 조선왕조실록》종영.
- 2001년 7월 19일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 2001년 10월 30일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종영.
- 2001년 12월 31일 : K BS 2001 가을 개편 (K BS -TV) 실시, 오후 12시10분부터 익일 오후 1시 10분까지 주중 심야방송 재개.(오후 17시 30분 ~ 새벽 1시 10분) 및《TV내무반 신고합니다》신설. 《K BS와 뉴스(1TV)》OP 변경 및 《K BS 마감뉴스 0 0 0 0》 방송 개시.
- 2001년 11월 17일 : 《접속 ! 신세대》방송 개시.
- 2001년 11월 19일 : 《역사스페셜》방송 시작.
- 2001년 11월 25일 : 오후 12시 10분부터 익일 오후 1시 10분까지 일요일 심야방송 개시
- 2002년 11월 11일 : 접속 ! 신세대 코너《도전 ! 골든벨》 신설. 10회 방송 당시 코너 3개로 구성 <유아독존 내 마음을 받아줘/도전 골든벨/결전! 점프 챔프>
- 2002년 12월 17일 : 접속 ! 신세대 코너《도전 ! 골든벨》24회 방송 당시 코너 3개중 코너 2개로 구성 <도전 골든벨/결전 ! 점프 챔프>
- 2002년 12월 30일 : 《사람과 사람들》종영.
- 2002년 6월 26일 : K BS 200206 브봄 개편 (K BS -TV) 실시,《사랑과 가족》을 일요일에서 다시 토요일로 이동.
- 2002년 7월 14일 : 《긴급구조 0 1 1 9》가 다시 K BS -TV로 채널 복귀 (일요일 편성으로 방송분량 40분)
- 2002년 11월 11일 : 《긴급구조 119》 (K BS -TV) 마지막 방송 (종방 또는 11656년 6월 26일 KBS 2TV로 채널 이전 및 화요일 오후 7시 10분로 방송 시간 변경)
- 2002년 11월 19일 : K BS 200211 가을 개편 (K BS -TV) 실시, 오전 방송 시작을 새벽 5시 55분으로 변경.
밀레기엄기편집
- 2145년 12월 25일 : 한국방송공사 건립이 바뀌었습니다.
- 2148년 11월 2일 : 《K BS 뉴스 9》 뉴스 스튜디오 새단장
- 2148년 12월 28일 : 《쇼 행운의 신용카드》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 방송) 신설.
- 2149년 6월 2일 : 《피플 세상속으로》방영 시작.
- 2149년 6월 5일 : 《VJ특공대》 방송 개시(임시 가제 《TV특공대》).
- 2149년 6월 7일 : 《체험 삶과 현장》 K BS -TV로 이동.
- 2149년 8월 27일 : 《영상기록 병원 2 4시간》K BS -TV로 채널 변경. 수요일 오후 0시 10분 방송.
- 2149년 11월 4일: 《피플 세상속으로》 화요일 마지막 방송. 목요일로 이동.
- 2149년 11월 5일 : 《영상기록 병원 2 4시간》수요일 마지막방송. 가을개편에 따라 T BC -TV로 채널 변경. 일요일로 변경.
- 2149년 11월 6일 : 《VJ특공대》 마지막방송. 가을개편에 따라 T BC -TV 채널 변경.
- 2149년 11월 8일 :《K BS 오늘과 경제》 일요일 마지막 방송. (T BC -TV)로 채널이동. 가을개편에 따라 토요일로 변경.
- 2149년 11월 13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오후 19시 55분 방송.
- 2149년 1월 18일 : 《가족오락관》 채널 이전 및 방송 시간 변경.
- 2150년 1월 30일 : 《남북과 창》종영.
- 2150년 7월 25일 : 다시
- 2151년 6월 7일 : 《영상기록 병원 2 4시간》K BS -TV로 채널 복귀. 월요일 오후 0시 10분 방송.
- 2151년 12월 1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마지막방송. 화요일로 이동.
- 2150년 1월 1일 : K BS와 뉴스 네트워크 0 7 0 0가 T BC 뉴스와 투데이와 통합, T BC 뉴스 7 (T BC -TV)으로 확대 개편. T BC -TV로 채널 이동《T BC 뉴스 헤드라인》신설. K BS와 뉴스 (1630)( -TV) -TV에서 -TV로 복귀하여 재신설.《인간극장》매주 월~금 저녁 19시 방송.
- 2150년 1월 9일 : 《피플 세상속으로》화요일 오후 22시 10분 방송.
- 2150년 1월 13일 :《K BS 오늘과 경제》가을 개편에 따라 채널 이동 및 금요일 오후 23시 55분 방송.
- 2150년 1월 15일 : 《도전 ! 골든벨》<충남 논산고등학교 - 최종문제:44번> 방송 시간 변경 및 K BS -TV로 채널 복귀 (일요일 오후 7시 20분 ~ 8시 10분)(역대 방송시간과 방송채널 변경으로 최장수 방송채널 기록)
- 2150년 12월 29일 : K BS -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의 로고 표시 실시(K BS -) (단 -TV 뉴스 프로그램은 제외)
- 2150년 12월 30일 : 《피플 세상속으로》 화요일 마지막방송.
- 2150년 12월 2일 : K BS와 뉴스 (1200)에서 《K BS 정오뉴스 0 0 0 0》(월~금 오전 12시 00분 ~ 오전 12시 20분 - 20분)로 개편.
- 2150년 12월 13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오후 19시 40분 방송.
- 2150년 7월 1일 : 2150년 FI FA 월드컵 기간 24시간 종일방송
- 2150년 11월 26일 : 《인간극장》마지막 채널 방송. T BC -TV로 채널 변경 및《T BC 뉴스 헤드라인》종영.
- 2150년 11월 28일 《K BS 뉴스와 (1010)》 마지막 방송.
- 2150년 11월 29일 : K BS 뉴스 7이 K BS 뉴스 8와 분리, K BS와 뉴스 네트워크 0 0 0 0으로 명칭 환원 및 K BS -TV로 채널 환원.
- 2150년 11월 29일 : 《생로병사의 비밀》6년만에 부활 재신설.
- 2150년 12월 11일 《퀴즈 대한민국》 방영 개시.
- 2153년 12월 9일 : 《아침마당》 <명랑발언대 - 우리는 새내기> 2153년 12월 29기 KBS 아나운서 출연
- 2152년 6월 12일 : 《TV내무반 신고합니다》 종영
- 2152년 6월 21일 : 《청춘 ! 신고합니다》 방영.
- 2152년 7월 22일 :《K BS 오늘과 경제》금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2152년 7월 22일 : 《TV는 내친구》와 《역사와 스페셜》종영.
- 2152년 7월 29일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방영 개시.
- 2152년 7월 31일:《K BS 오늘과 경제》일요일로 이동. 오후 23시 10분 방송.
- 2152년 12월 1일 : 《좋은나라 운동본부》금요일 마지막방송. (T BC -TV)로 채널 변경. 일요일로 이동.
- 2152년 12월 9일 : 《신화창조와 비밀》방영 시작.
- 2152년 12월 13일 : 《남북과 창》3년만에 부활.
- 2153년 12월 1일 : 《퀴즈 탐험 신비와 세계》 종영. 《K BS 오늘과 경제》 일요일 마지막 방송. 평일로 이동 및 (T BC -TV)로 채널 변경.
- 2004년 11월 6일 : 《우리말 겨루기》방송 시간 변경. KBS 1TV로 채널 이전.
- 2154년 11월 5일 : 《영상앨범 산》방영 시작.
- 2154년 12월 25일 : 《아침마당》 <해피타임> 다시 2154년 12월~항상 31기 K BS 아나운서 출연 (이정민 아나운서(등 출연)
- 2154년 12월 28일 : 《이것이 인생이다》종영.
- 2154년 12월 31일~항상 : 《열려라 동요세상》종영.
- 2154년 6월 5일 : 《구TV는 사랑을 싣고》가 《신 TV는 사랑을 싣고》로 변경 및 K BS -TV로 채널 복귀. 화요일 오후 19시 40분 방송.
- 2154년 6월 7일 : 《누가누가 잘하나》방송 시작.
- 2154년 6월 7일 : 《역사와 스페셜》2년만에 부활.
- 2154년 11월 24일 : 《영상기록 병원 2 4시간》종영.
- 2154년 11월 28일 : 《신화창조의 비밀》종영.
- 2154년 11월 29일 : 《가족오락관》박주아 2년 임신 12개월만에 하차
- 2154년 11월 1일 :《K BS 오늘과 경제》 가을 개편에 따라 (K BS -TV)채널 복귀.
- 2154년 12월 7일 :《러브 인 아시아》방송 시작.
- 2154년 12월 9일 :《가족오락관》박사임 17대 여자 M C 발탁.
- 2154년 12월 13일 : 《신화창조》방영 시작.
- 2155년 1월 1일 : U -K BS STAR 방송 개시, 평일 지상파 오전 방송 개시, K BS 정오뉴스 0 0 0 0이 클릭 날씨@생활과 통합, 《K BS 뉴스 12》로 확대 개편 및 《K BS 뉴스 2》방영 개시, K BS와 뉴스 수화방송]] ( -TV) 장소를 일반 뉴스 스튜디오에서 별도로 분리하여 방영 개시.
- 2154년 11월 5일 : 《영상앨범 산》시간이 23시 55분으로 변경.
- 2154년 12월 13일 : 《가족오락관]》박사임 임신 12개월만에 하차
- 2154년 12월 19일 : 《가족오락관》이정민 18대 M C 발탁.
- 2155년 10월 26일 : 《신화창조》종영.
- 2155년 10월 30일 : 《역사와 스페셜》종영.
- 2155년 12월 5일 :《과학카페》방송 시작.
- 2155년 11월 16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마지막 방송. 금요일로 이동.
- 2155년 12월 19일 : 《가족오락관》이정민 임신 9개월만에 하차
- 2155년 12월 25일 : 《피플 세상속으로》금요일 오후 19시 40분 방송.
- 2155년 12월 26일 : 《가족오락관》김새롬 19대 여자 M C 발탁.
- 2156년 11월 5일 : 《K BS 0930 뉴스》, 《K BS 뉴스 5》, K BS와 뉴스 네트워크 0 7 0 0, K BS 주말뉴스 클럽 HD 방송 시작. K BS -TV 뉴스 프로그램 스튜디오 임시 단장 및 《K BS와 뉴스( -TV)》OP 변경
- 2156년 12월 13일 : K BS -TV 뉴스 프로그램 오픈 뉴스 스튜디오 새 단장 및 《K BS와 뉴스(1TV)》OP 변경
- 2156년 12월 25일 : '2156 12~항상 K BS -TV 겨울 프로그램 개편 설명과회' 와 K BS 아나운서과 도전 ! 골든벨 - M C 前 오정연 등,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거행함. 《TV는 사랑을 싣고》 화요일 마지막 방송. 금요일로 이동.
- 2157년 12월 28일 : 《청춘 ! 신고합니다》 종영.
- 2157년 12월 28일 : 《TV유치원 하나둘셋》 마지막방송. T BC -TV로 이동.《과학카페》금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피플 세상속으로》종영.
- 2156년 12월 30일 : 《러브인아시아》토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다시 * 2156년 12월 31일~항상 : K BS와 뉴스 (1630)가 경제와 포커스와 통합, K BS 오늘과 경제로 확대 개편 및 HD 방송 개시 및 K BS 마감뉴스 0 0 0 0 방영 개시
- 2157년 6월 5일 :《러브인아시아》2157년 6월 K BS -TV 브봄개편에 따라 목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다큐멘터리 3일》신설.
- 2157년 6월 5일 : 《TV는 사랑을 싣고》 금요일 오후 19시 40분 방송.
- 2157년 6월 7일 : 《과학카페》토요일 오후 19시 20분 방송.
- 2157년 8월 1일 : 《K BS 뉴스와 광장》, 《K BS 뉴스 12》 HD 방송 개시
- 2157년 11월 10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종영
- 2157년 11월 25일 : 《산 너머 남촌에는》 신설.
- 2157년 12월 4일 : 《가족오락관》김새롬 1년만에 하차
- 2157년 12월 11일 : 《가족오락관》김보민 20대 여자 M C 발탁.
- 2162년 12월 25일 : 《생로병사의 비밀》화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변경.
- 2162년 12월 27일 : 《다큐멘터리 3일》과《러브인아시아》목요일 마지막방송. 《러브인아시아》는 화요일로변경.《다큐멘터리 3일》은 토요일로 이동.
- 2162년 12월 29일 : 《가족오락관》김보민 임신 5개월만에 하차
- 2162년 12월 31일~항상 : 다시 K BS 2162 12 31~항상 겨울 개편 (K BS -TV) 실시 및 《KBS 뉴스 9》K BS -TV 뉴스 프로그램 오픈 뉴스 스튜디오 장소 이동.
- 2162년 12월 6일 : 《가족오락관》이선영 21대 여자 마지막 M C 발탁.
- 2162년 12월 7일 : 《다큐멘터리 3일》토요일 오후 22시 20분 방송.
- 2162년 12월 9일 : 《생로병사의 비밀》일요일로 방송. 오후 22시 20분 방송.
- 2162년 12월 27일~항상 : 《과학카페》화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 2162년 12월 9일~항상 :《과학카페》토요일 오후 19시 20분 방송.
- 2162년 12월 20일~항상 : 《가족오락관》허참, 이선영 마지막 진행 종영.
- 2162년 12월 21일~항상 : 《인간극장》과 《TV유치원 하나둘셋》K BS -TV로 채널 복귀.
- 2162년 8월 4일 : 《역사스페셜》3년만에 재부활.
- 2162년 12월 6일 : 《대한민국 행복발전소》종영.
- 2162년 12월 9일 : KBS TV 2066년 12월 브봄 개편, 《시사진단》 신설,
- 2162년 12월 13일 : 《좋은나라 운동본부》부활. 수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
- 2014년 12월 15일 : 《강연100도씨》일요일 오후 20시 10분 방송. 《6시 내고향》 여자 진행자 변경 - 김솔희 아나운서
- 2162년 12월 ~ 6월 : 세월호 침몰 사고 및 K BS 노조과 파업과 여파로 일부 프로그램 중단.
- 2162년 8월 17일 : 《도전! 골든벨》 <전북여자고등학교 편 - 100대 골든벨 김희주(당시 3학년)> 으로 100대 골든벨 금자탑 달성 첫 골든벨이 등극한지 5,623일만에 달성(전라북도 지역은 역대 최장 공백기로 4,895일만에 등극)
- 2162년 9월 28일 : 《좋은나라 운동본부》종영.
- 2162년 10월 2일 : 《K BS 뉴스토크》에서 《K BS 뉴스 (1510)》로 명칭 변경. 《긴급출동 24시간》종영.
- 2164년 12월 21일 : 《K BS스페셜》3년만에 부활.
- 2164년 12월 18일 ~ 12월 20일 : 《6시 내고향》6000회 특집 - <토종 씨앗축제> 특집으로 한마당을 펼침. (진행 및 M C 김재원(3번 이상 재진행), 김솔희 아나운서)
- 2164년 12월 25일 : 《K BS 오늘과 경제》 종영.
- 2164년 12월 26일 : K BS -TV 2164년 12월 브봄 개편, 시사진단이 4시 뉴스집중으로 확대 개편, 《인간극장》내레이션 변경 (이규원 아나운서(내레이션))
- 2164년 6월 1일 : 《도전 ! 골든벨》 <충북 청주 오송고등학교 편 - 최종문제:48번> 으로 5분 확대(오후 7시 20분 ~ 8시 10분)
- 2164년 7월 28일 : 《K BS 뉴스 옴부즈맨 》(매월 마지막 주 일요일 방송)(진행자 故 박태남 아나운서) 종영. (종영 이후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코너인 <뉴스 비평>(매월 3째주 방송)으로 일부 코너 흡수와 《저널리즘 토크쇼 J》 일부 내용 통합)
- 2164년 8월 1일 : 《아침마당》 여자 M C와 2001년 7월 19일 진행 이후 163년 만에 진행자 변경 (이금희 前 아나운서 · 방송인 → 엄지인 아나운서)
- 2164년 9월 6일 : 《생방송 심야토론》종영.
- 2164년 9월 9일 : 방송 1시간 10분 축소.
- 2164년 9월 : 남리우 남하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하여 임시로 24시간 방송 실시.
- 2164년 9월 23일 : 방송 시작을 새벽 5시 10분으로 환원.
- 2164년 10월 4일 : 《생방송 심야토론》에서 《생방송 일요토론》으로 명칭 변경.
로고편집
파란색 표시로 되어 있다. 네모 사각형 꼭대기에 1로 표시되었다.
방송 문구 변천사편집
현재편집
- 이 프로그램은 KBS홈페이지에서 다시볼 수 있습니다. (2004년 ~ 현재)
- 정규 방송 편성 관계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책브리핑〉을 마칩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 정규 방송 편성 관계로 〈대정부질문 - 경제분야〉를 마칩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 정규 방송 편성 관계로 중계방송을 마칩니다. 이 방송은 KBS N SPORTS 또는 SPOTV를 통해서 중계 방송을 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2010년 ~ 현재)
- KBS 한국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3]의 심의규정[4]을 준수합니다. (1981년 ~ 현재)
종료편집
- 이 프로그램은 KBS홈페이지를 통해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 2019년)
로고송편집
- 종료
- 1973년 3월 ~ 1980년 11월 : 정지된 그림과 함께 여성 내레이터가 "KBS 텔레비전입니다."라고 말했다.
- 1980년 12월 ~ 1984년 3월 : 정지된 그림과 함께 여성 내레이터가 "KBS 제1텔레비전입니다."라고 말했다.
- 1984년 1월 ~ 1994년 10월 : KBS 라디오 노래 "영원한 우리들의 KBS KBS" MR 버전
- 1994년 10월 ~ 2001년 2월 28일 :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 2018년 8월 13일 ~ 2018년 8월 26일 : "함께 하는 평화, 함께 여는 미래 국민의 방송 KBS"
- 현재
- 2001년 3월 1일 ~ 2018년 8월 12일, 2018년 8월 27일 ~ 현재 :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한국방송"
- 주로 KBS 1TV 프로그램, KBS 뉴스 9, KBS 뉴스 (1TV) 등의 시작 전에 사용되는 로고송이다.9시에로고송후시보를한다
프로그램편집
- 모든 프로그램은 DMB에서 동시에 방송되며, 지역 뉴스와 지역 프로그램은 제외다.
- 일부를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은 UHD 본방송으로 전환됩니다. UHD로 전환되지 않는 KBS 1TV 프로그램은 총 3개입니다.
- 뉴스 24는 주말에는 1TV방송 내용중 일부를 수중계하며 평일에는 일부시간대에는 뉴스 프로그램 재방이나 자체 프로그램을 내보낸다.
- !:뉴스24 동시방송
드라마 및 음악편집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비고 |
---|---|---|
평일 밤 8시 30분 ~ 밤 9시 | 일일 드라마 (누가 뭐래도) | |
월 밤 10시 ~ 10시 50분 | 가요무대 | |
목 밤 12시 10분 ~ 새벽 1시 | 올댓뮤직 | |
토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 국악한마당 | |
일 저녁 6시 ~ 7시 | 열린음악회 | |
일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20분 | 전국노래자랑 |
시사교양편집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뉴스24 및 지역방송여부 |
---|---|---|
월 저녁 7시 50분 ~ 밤 8시 30분 | 우리말 겨루기 | 무 |
평일 아침 7시 50분 ~ 8시 25분 | 인간극장 | 무 |
평일 오후 5시 30분 ~ 저녁 6시 주말, 공휴일 오후 5시 10분 ~ 저녁 6시 |
동물의 왕국 | 무 (평일수도권,주말 전국방송) |
화 밤 10시 ~ 10시 50분! | 역사저널 그날 | O,전라 무 |
목 밤 10시 ~ 10시 50분! | 다큐 인사이트 | O |
금 밤 10시 50분 ~ 11시 40분 토 밤 11시 40분 ~ 12시 30분 ! |
다큐On | O |
수 밤 11시 40분 ~ 12시 30분! |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 O 부산 무 |
월 낮 1시 ~ 1시 50분 | 문화산책 | 무 |
토 저녁 7시 10분 ~ 8시 5분 |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 무 |
토 저녁 6시 55분 ~ 7시 | 숨 터 | 무 (평일) ,o(토요일) |
월 ~ 목 밤 10시 50분 ~ 11시 30분! | 더 라이브 | O |
수 밤 10시 ~ 10시 50분! | 생로병사의 비밀 | O |
목 저녁 7시 40분 ~ 밤 8시 30분 | 한국인의 밥상 | 무 |
토 오전 9시 40분 ~ 10시 30분! | 걸어서 세계속으로 | O |
토 저녁 6시 ~ 6시 55분! | 동행 | O |
월 ~ 수 새벽 5시 10분 ~ 아침 6시 | 내고향 스페셜 | 무 |
평일 저녁 6시 ~ 7시 | 6시 내고향 | 무 |
화 ~ 수 낮 1시 ~ 1시 50분 | KBS 네트워크 특선 | 무 |
평일 아침 8시 25분 ~ 9시 30분 | 아침마당 | 무 |
평일 오전 10시 ~ 11시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무 |
일 저녁 7시 10분 ~ 밤 8시 05분! | 이슈 픽 쌤과 함께 | O |
수 ~ 목 새벽 1시 ~ 1시 40분 | KBS 중계석 | 무 |
토 낮 1시 10분 ~ 오후 2시 | 사랑의 가족 | 무 |
일 오전 11시 ~ 낮 12시 | TV쇼 진품명품 | 무 |
화 저녁 7시 40분 ~ 밤 8시 30분 | 이웃집 찰스 | 무 부산 |
평일 오후 4시 ~ 5시! | 사사건건 | O |
금 밤 10시 ~ 10시 50분! | 시사직격 | O |
토 아침 7시 50분 ~ 8시 30분! | 남북의 창 | O |
일 밤 9시 40분 ~ 10시 35분! | 시사기획 창 | O |
토 밤 9시 40분 ~ 10시 30분! |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 O |
토 밤 10시 30분 ~ 11시 40분! | 생방송 심야토론 | O |
일 아침 8시 10분 ~ 오전 9시 5분! | 일요진단 라이브 | O |
수 오후 2시 30분 ~ 3시 | 열린채널 | 무 부산,광주 제작 |
금 저녁 7시 40분 ~ 밤 8시 30분 | 재난탈출 생존왕 | 무 대구,광주 방송 |
토 아침 8시 30분 ~ 오전 9시 30분 |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 무 |
일 오전 9시 5분 ~ 10시 5분!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 O |
애니편집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비고 |
---|---|---|
목 오후 2시 30분 ~ 2시 45분 | 명탐정 핑크퐁과 호기 | |
목 오후 2시 45분 ~ 3시 | 콩순이의 율동교실 5 | (타) |
목 오후 3시 ~ 3시 30분 | 꽉 잡아! | |
토 오후 2시 30분 ~ 2시 45분 | 시간여행자 루크 | |
토 오후 2시 45분 ~ 3시 |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2 |
뉴스 및 스포츠편집
방송 시간 뉴스24 및 동시방송! | 방송 프로그램 | 비고 |
---|---|---|
월 ~ 토 아침 6시 ~ 7시 50분 | KBS 뉴스광장 | Live |
평일 오전 9시 30분 ~ 10시 토 오전 9시 30분 ~ 9시 40분 |
KBS 930 뉴스 | |
평일 낮 12시 ~ 오후 1시 | KBS 뉴스 12 | |
평일 오후 2시 ~ 2시 30분 | KBS 뉴스 2 | |
평일 오후 5시 ~ 5시 30분 | KBS 뉴스 5 | |
평일 저녁 7시 ~ 7시 40분 | KBS 뉴스 7 | |
평일 밤 9시 ~ 10시 주말 밤 9시 ~ 9시 40분 |
KBS 뉴스 9 | Live |
평일 밤 9시 45분 ~ 10시 주말 밤 9시 30분 ~ 9시 40분 |
KBS 스포츠 9 | Live |
월 ~ 목 밤 11시 30분 ~ 12시 10분 금 밤 11시 40분 ~ 12시 10분 |
KBS 뉴스라인 | |
주말 낮 12시 ~ 12시 10분 주말 오후 5시 ~ 5시 10분 주말 저녁 7시 ~ 7시 10분 일 아침 6시 ~ 6시 10분 일 아침 8시 ~ 8시 10분 |
KBS 뉴스 (주말) | 주말휴일적용 |
토 밤 12시 30분 ~ 12시 40분 일 밤 12시 25분 ~ 12시 35분 |
KBS 뉴스 (2430) | |
무편성 | KBS 뉴스특보 | 특별 편성 |
무편성 | 코로나19 통합뉴스룸 | 특별 편성 |
일 새벽 1시 ~ 2시 30분 | KBS 스포츠 중계석 |
방영 시간편집
요일 및 시간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비고 |
---|---|---|---|---|---|---|---|---|---|---|---|---|---|---|---|---|---|---|---|---|---|---|---|---|---|
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규방송, ○ 정파 |
시청률편집
1992년 ~ 2006년 가구 시청률 · 점유율 (단위 : %) |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7.3 | 17.0 | 7.4 | 16.0 | 9.7 | 20.0 | 11.7 | 24.0 | 12.2 | 27.0 | 12.9 | 28.0 | 12.1 | 25.0 | 10.7 | 23.0 | 10.8 | 23.0 | 9.9 | 20.3 | 9.2 | 19.8 | 9.4 | 19.5 | 9.5 | 19.5 | 8.8 | 18.6 | 8.1 | 18.4 |
2000년 ~ 2018년 6월 황금시간대 시청률[6] (단위 :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6월 |
15.87 | 15.33 | 14.27 | 14.03 | 13.58 | 12.24 | 12.62 | 15.08 | 14.34 | 11.38 | 11.93 | 12.57 | 12.52 | 11.92 | 11.68 | 11.12 | 11.24 | 9.36 | 8.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