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23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아프리카 축구의 최강 팀을 가리는 대회이다. 23회 네이션스컵은 말리에서 2002년 1월 19일부터 2월 10일까지 개최되었으며, 16개 본선 진출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하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이 대회 결승전에선 카메룬세네갈승부차기 끝에 3-2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말리의 기 말리
개최기간1월 19일 ~ 2월 10일
참가팀16개
경기장6개 (5개 도시)
결과
우승 카메룬 (4번째 우승)
준우승 세네갈
3위 나이지리아
4위 말리
통계
경기 수32경기
득점 수48골 (경기당 1.5골)
관중 수570,000명 (경기당 17,813명)
최다 득점카메룬 파트리크 음보마
카메룬 살로몽 올렘베
나이지리아 줄리어스 아가호와
나이지리아 야쿠부 아이예그베니
(각 3골)
« 2000
2004 »

개최 도시 & 경기장

편집
도시 경기장 관중 수용 규모
바마코 3월 26일 경기장 60,000
바마코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30,000
케스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 15,000
몹티 바레마 보쿰 경기장 15,000
세구 아마르 다우 경기장 15,000
시카소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15,000

예선

편집

본선 진출국

편집
 
출전 국가

선수 명단

편집

조별 리그

편집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나이지리아 7 3 2 1 0 2 0 +2
  말리 5 3 1 2 0 3 1 +2
  라이베리아 2 3 0 2 1 3 4 -1
  알제리 1 3 0 1 2 2 5 -3
말리   1 – 1   라이베리아
케이타   87′ 웨아   45′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50,000
주심: Abdel-Hakim Shelmani (리비아)

알제리   0 – 1   나이지리아
아가호와   43′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10,000
주심: Felix Tangawarima (짐바브웨)

말리   0 – 0   나이지리아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50,000
주심: Alex Quartey (가나)

라이베리아   2 – 2   알제리
다예   7′
K. 세브웨   72′
아크루르   45′
크라우체   90+1′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4,000
주심: Divine Evehe (카메룬)

말리   2 – 0   알제리
바가요코   18′
투레   24′

라이베리아   0 – 1   나이지리아
아가호와   63′
바레마 보쿰 경기장, 몹티
관중수: 9,000
주심: Falla Ndoye (세네갈)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남아프리카 공화국 5 3 1 2 0 3 1 +2
  가나 5 3 1 2 0 2 1 +1
  모로코 4 3 1 1 1 3 4 -1
  부르키나파소 1 3 0 1 2 2 4 -2

모로코   0 – 0   가나
아마르 다우 경기장, 세구
관중수: 4,000
주심: Domenico Messina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0 – 0   가나
아마르 다우 경기장, 세구
관중수: 5,000
주심: Mourad Daami (튀니지)

부르키나파소   1 – 2   모로코
다가노   58′ 제루알리   23′85′

남아프리카 공화국   3 – 1   모로코
주마   42′
음고메니   48′
놈베테   51′
벤마무드   77′ (페널티)
아마르 다우 경기장, 세구
관중수: 3,000
주심: Gamal Al-Ghandour (이집트)

부르키나파소   1 – 2   가나
A. 트라오레 81' 보아케   90′,   90+2′'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몹티
관중수: 15,000
주심: Chukwudi Chukwujekwu (나이지리아)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카메룬 9 3 3 0 0 5 0 +5
  콩고 민주 공화국 4 3 1 1 1 3 2 +1
  토고 2 3 0 2 1 0 3 -3
  코트디부아르 1 3 0 1 2 1 4 -3

토고   0 – 0   코트디부아르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시카소
관중수: 15,000
주심: Chukwudi Chukwujekwu (나이지리아)

카메룬   1 – 0   코트디부아르
음보마   85′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시카소
관중수: 15,000
주심: Gamal Al-Ghandour (이집트)

콩고 민주 공화국   0 – 0   토고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시카소
관중수: 7,000
주심: Tessema Hailemalak (에티오피아)

카메룬   3 – 0   토고
메토모   52′
에토   80′
올렘베   89′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시카소
관중수: 6,000
주심: Petros Mathabela (남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3 – 1   코트디부아르
유불라디오   28′
농다   66′
키모토   81′ (페널티)
트라오레   86′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 케스
관중수: 12,000
주심: Felix Tangawarima (짐바브웨)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세네갈 7 3 2 1 0 2 0 +2
  이집트 6 3 2 0 1 3 2 +1
  튀니지 2 3 0 2 1 0 1 -1
  잠비아 1 3 0 1 2 1 3 -2
이집트   0 – 1   세네갈
디아타   82′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20,000
주심: Mohammad Guezzaz (모로코)




이집트   2 – 1   잠비아
미도   35′
에맘   53′
캄팜바   89′

결선 토너먼트

편집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2월 3일 - 바마코
 
 
  나이지리아1
 
2월 7일 - 바마코
 
  가나0
 
  나이지리아1
 
2월 4일 - 바마코
 
  세네갈 (aet)2
 
  세네갈2
 
2월 10일 - 바마코
 
  콩고 민주 공화국0
 
  세네갈0 (2)
 
2월 3일 - 케스
 
  카메룬 (pen)0 (3)
 
  남아프리카 공화국0
 
2월 7일 - 바마코
 
  말리2
 
  말리0
 
2월 4일 - 시카소
 
  카메룬3 3위 결정전
 
  카메룬1
 
2월 9일 - 몹티
 
  이집트0
 
  나이지리아1
 
 
  말리0
 

8강전

편집
남아프리카 공화국   0 – 2   말리
투레   60′
Dr. 쿨리발리   90+2′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 케스
관중수: 15,000
주심: Arturo Daudén Ibáñez (스페인)

나이지리아   1 – 0   가나
라왈   80′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25,000
주심: Mohammad Guezzaz (모로코)

카메룬   1 – 0   이집트
음보마   62′
바벰바 트라오레, 시카소
관중수: 15,000
주심: Mourad Daami (튀니지)

세네갈   2 – 0   콩고 민주 공화국
디아오   30′
디우프   86′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25,000
주심: Domenico Messina (이탈리아)

준결승전

편집

말리   0 – 3   카메룬
올렘베   39′45+1′
  84′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50],000
주심: Lim Kee Chong (모리셔스)

3·4위전

편집
나이지리아   1 – 0   말리
야쿠부   29′
바레마 보쿰 경기장, 몹티
관중수: 15,000
주심: Abdel-Hakim Shelmani (리비아)

결승전

편집
세네갈   0 – 0 (연장전)   카메룬
승부차기
콜리  
파디가  
파예  
디우프  
시세  
2 – 3 워메  
수포  
로랑  
제레미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수: 50,000
주심: Gamal Al-Ghandour (이집트)

우승

편집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팀
 
카메룬
4번째 우승

최종 순위

편집
순위 경기수 득실차 승점
1   카메룬 6 6 0 0 9 0 +9 18
2   세네갈 6 4 2 0 6 1 +5 14
3   나이지리아 6 4 1 1 5 2 +3 13
4   말리 6 2 2 2 5 5 0 8
5   이집트 4 2 0 2 3 3 0 6
6   남아프리카 공화국 4 1 2 1 3 3 0 5
7   가나 4 1 2 1 2 2 0 5
8   콩고 민주 공화국 4 1 1 2 3 4 -1 4
9   모로코 3 1 1 1 3 4 -1 4
10   라이베리아 3 0 2 1 3 4 -1 2
11   튀니지 3 0 2 1 0 1 -1 2
12   토고 3 0 2 1 0 3 -3 2
13   부르키나파소 3 0 1 2 2 4 -2 1
13   잠비아 3 0 1 2 1 3 -2 1
15   알제리 3 0 1 2 2 5 -3 1
16   코트디부아르 3 0 1 2 1 4 -3 1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득점 선수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