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위키뉴스 기사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종목2012년 7월 25일부터 8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개최국영국의 기 영국
개최기간7월 25일 ~ 8월 9일
참가팀12개 (6개 대륙)
경기장6개 (6개 도시)
결과
우승 미국 (4번째 우승)
준우승 일본
3위 캐나다
4위 프랑스
통계
경기 수26경기
득점 수70골 (경기당 2.69골)
관중 수660,986명 (경기당 25,423명)
최다 득점캐나다 크리스틴 싱클레어 (6골)
« 2008
2016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
남자  여자
선수 명단
남자  여자

지역 예선

편집
대회 일정 개최국 배정 진출국
개최국 2005년 7월 6일 (개최지 선정) 1   영국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1년 9월 11일   중화인민공화국 2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11년 10월 22일 없음 2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메룬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북중미 지역 예선 2016년 1월 29일   캐나다 2   미국
  캐나다
2010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11월 21일   에콰도르 2   브라질
  콜롬비아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2012년 4월 4일 없음 1   뉴질랜드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국가) 2011년 7월 17일   독일 2   스웨덴
  프랑스
최종 진출 국가 수 12

시드 배정

편집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선수 명단

편집

조별 리그

편집
경기 승점
  영국 3 3 0 0 5 0 +5 9
  브라질 3 2 0 1 6 1 +5 6
  뉴질랜드 3 1 0 2 3 3 0 3
  카메룬 3 0 0 3 1 11 -10 0

영국   1 – 0   뉴질랜드



영국   3 – 0   카메룬
관중: 31,141명
심판:   홍은아


영국   1 – 0   브라질

경기 승점
  스웨덴 3 1 2 0 6 3 +3 5
  일본 3 1 2 0 2 1 +1 5
  캐나다 3 1 1 1 6 4 +2 4
  남아프리카 공화국 3 0 1 2 1 7 -6 1






캐나다   2 – 2   스웨덴

경기 승점
  미국 3 3 0 0 8 2 +6 9
  프랑스 3 2 0 1 8 4 +4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1 0 2 2 6 -4 3
  콜롬비아 3 0 0 3 0 6 -6 0

미국   4 – 2   프랑스


미국   3 – 0   콜롬비아

프랑스   5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중: 11,743명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
승점 경기 득점 실점 골득실
F   캐나다 4 3 1 1 1 6 4 +2
E   뉴질랜드 3 3 1 0 2 3 3 0
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3 1 0 2 2 6 -4

결선 토너먼트

편집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영국0
 
 
 
  캐나다2
 
  캐나다3
 
 
 
  미국 ()4
 
  미국2
 
 
 
  뉴질랜드0
 
  미국2
 
 
 
  일본1
 
  스웨덴1
 
 
 
  프랑스2
 
  프랑스1
 
 
 
  일본2 3위 결정전
 
  브라질0
 
 
 
  일본2
 
  캐나다1
 
 
  프랑스0
 

8강전

편집

스웨덴   1 – 2   프랑스
관중: 12,869명


브라질   0 – 2   일본


준결승전

편집

프랑스   1 – 2   일본

캐나다   3 – 4 (연장전)   미국

3·4위전

편집


결승전

편집

미국   2 – 1   일본

우승

편집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우승 팀
 
미국
4번째 우승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이 콜롬비아와의 조별 예선 경기에 출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경기장 전광판에 대한민국의 국기가 등장한 것을 문제삼았다. 이에 따라 경기 시작이 1시간 정도 지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