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C (2020-21 UEFA Nations League C)는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의 3부 리그로 조별 예선 경기는 2022년 6월 2일부터 9월 27일까지 열렸으며 강등 플레이아웃은 2024년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열렸다.
유럽 축구 연맹 에 가입한 55개국을 2002-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최종 순위 에 따라 4개 리그(리그 A, 리그 B, 리그 C, 리그 D)로 나누어 편성한다. 리그 C는 33위 ~ 48위에 해당하는 팀이 참가한다.
리그 C의 조별 예선은 16개 팀을 4개 그룹으로 나누어 편성하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조 1위 팀은 2024-25년 UEFA 네이션스리그 B 로 승격하며 각 조 4위 팀들은 서로 맞대결하여 1순위팀은 4순위팀과, 2순위팀은 3순위팀과(상위 순위팀들이 2차전 홈경기 시행)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강등 플레이아웃을 시행한다. 2경기 합산스코어가 동점이면 2차전에서 연장전 시행하고(원정골 규칙 적용 안함) 연장전에서도 동점이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한다. 강등 플레이아웃에서 최종 패자 2팀들은 2024-25년 UEFA 네이션스리그 D 로 강등된다.
출처: UEFA(P) 승격;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2년 6월 4일 (2022-06-04 ) 19:00 UTC+2
관중: 3009
심판:
다비드 푹스만
2022년 6월 4일 (2022-06-04 ) 21:45 UTC+3
관중: 9515
심판:
트러스틴 파루지아 캔
2022년 6월 7일 (2022-06-07 ) 19:45 UTC+1
관중: 2313
심판:
롭 헤네시
2022년 6월 7일 (2022-06-07 ) 21:45 UTC+2
관중: 2843
심판:
노박 시모비치
2022년 6월 11일 (2022-06-11 ) 17:00 UTC+1
관중: 2278
심판:
이고르 파야츠
2022년 6월 11일 (2022-06-11 ) 20:45 UTC+2
관중: 9374
심판:
안토니우 에마누엘 카르발류 노브르
2022년 6월 14일 (2022-06-14 ) 20:45 UTC+2
심판:
미카엘 파브리
2022년 6월 14일 (2022-06-14 ) 21:45 UTC+3
심판:
스테파니 프라파르
2022년 9월 22일 (2022-09-22 ) 21:45 UTC+3
관중: 2,376
심판:
빌햘무르 쏘라린손
2022년 9월 22일 (2022-09-22 ) 21:45 UTC+3
관중: 12,708
심판:
토비아스 슈틸러
2022년 9월 25일 (2022-09-25 ) 19:45 UTC+1
관중: 2056
심판:
세르히 보이코
2022년 9월 25일 (2022-09-25 ) 20:45 UTC+2
관중: 5340
심판:
기오르기 크루아슈빌리
출처: UEFA(P) 승격. 비고:
↑ 가 나 승자승 동률. 전경기 골득실차로 결정.
2022년 6월 2일 (2022-06-02 ) 21:45 UTC+3
관중: 1550
심판:
제롬 브리자르
2022년 6월 2일 (2022-06-02 ) 19:45 UTC+1
관중: 16,977
심판:
에릭 람브레흐츠
2022년 6월 5일 (2022-06-05 ) 19:00 UTC+3
관중: 1663
심판:
에네아 요르지
2022년 6월 5일 (2022-06-05 ) 20:45 UTC+2
관중: 12,300
심판:
존 비튼
2022년 6월 9일 (2022-06-09 ) 21:45 UTC+3
관중: 12,418
심판:
터마시 보그나르
2022년 6월 9일 (2022-06-09 ) 20:45 UTC+2
관중: 11,700
심판:
야콥 켈렛
2022년 6월 12일 (2022-06-12 ) 14:00 UTC+1
2022년 6월 12일 (2022-06-12 ) 21:45 UTC+3
관중: 15,367
심판:
율리안 바인베르거
2022년 9월 24일 (2022-09-24 ) 17:00 UTC+1
관중: 17,148
심판:
글렌 뉘베리
2022년 9월 24일 (2022-09-24 ) 21:45 UTC+3
관중: 4548
심판:
알렉세이 쿨바코프
2022년 9월 27일 (2022-09-27 ) 20:45 UTC+2
관중: 10,400
심판:
크리스토 토흐베르
2022년 9월 27일 (2022-09-27 ) 21:45 UTC+3
관중: 5871
심판:
필립 글로바
출처: UEFA(P) 승격.
2022년 6월 3일 (2022-06-03 ) 20:00 UTC+6
심판:
이슈트반 버드
2022년 6월 3일 (2022-06-03 ) 20:45 UTC+2
심판:
스테파니 프라파르
2022년 6월 6일 (2022-06-06 ) 20:45 UTC+2
심판:
모하메드 알-하킴
2022년 6월 6일 (2022-06-06 ) 20:45 UTC+2
관중: 4146
심판:
크리스토 토흐베르
2022년 6월 10일 (2022-06-10 ) 20:00 UTC+4
관중: 2967
심판:
도나타스 룸샤스
2022년 6월 10일 (2022-06-10 ) 20:45 UTC+2
심판:
마누엘 쉬텐그루버
2022년 6월 13일 (2022-06-13 ) 20:00 UTC+6
심판:
브람 판 드리서
2022년 6월 13일 (2022-06-13 ) 20:00 UTC+4
심판:
아나스타시오스 파파페트루
2022년 9월 22일 (2022-09-22 ) 20:00 UTC+6
관중: 29,637
심판:
호라티우 페스닉
2022년 9월 22일 (2022-09-22 ) 20:45 UTC+2
관중: 2,875
심판:
윌리엄 콜럼
2022년 9월 25일 (2022-09-25 ) 20:00 UTC+4
관중: 2950
심판:
하름 오스머스
2022년 9월 25일 (2022-09-25 ) 18:00 UTC+2
관중: 524
심판:
니콜라 다바노비치
출처: UEFA(P) 승격;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2년 6월 2일 (2022-06-02 ) 20:00 UTC+4
관중: 43,412
심판:
모르텐 크뢰
2022년 6월 2일 (2022-06-02 ) 21:45 UTC+3
2022년 6월 5일 (2022-06-05 ) 18:00 UTC+2
관중: 703
심판:
알랭 뒤리외
2022년 6월 5일 (2022-06-05 ) 21:45 UTC+3
관중: 3600
심판:
파비오 마레스카
2022년 6월 9일 (2022-06-09 ) 20:45 UTC+2
관중: 1427
심판:
페트리 빌랴넨
2022년 6월 9일 (2022-06-09 ) 20:45 UTC+2
관중: 10,775
심판:
로이 라인슈라이버
2022년 6월 12일 (2022-06-12 ) 20:00 UTC+4
관중: 54,200
심판:
에스펜 에스코스
2022년 6월 12일 (2022-06-12 ) 18:00 UTC+2
관중: 4,750
심판:
두미트리 문테안
2022년 9월 23일 (2022-09-23 ) 20:00 UTC+4
관중: 54,200
심판:
이반 크루쥴리악
2022년 9월 23일 (2022-09-23 ) 21:45 UTC+3
관중: 1540
심판:
파벨 오렐
2022년 9월 26일 (2022-09-26 ) 20:45 UTC+2
관중: 1199
심판:
롭 하비
2022년 9월 26일 (2022-09-26 ) 20:45 UTC+2
관중: 20,173
심판:
율리안 바인베르거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서 각 조 4위를 차지한 4개 팀들은 홈 앤 어웨이 방식을 띤 강등 플레이아웃을 치른다. 플레이아웃에서 패배한 2개 팀은 2024-25년 UEFA 네이션스리그 D로 강등되고 승리한 2개 팀은 2024-25년 UEFA 네이션스리그 C에 잔류한다.
강등 플레이아웃 대진은 아래와 같다. 상위 랭킹 팀들은 2차전 홈경기를 시행한다.:
2024년 3월 21일 (2024-03-21 ) 19:45 UTC±0
관중: 207
심판:
기오르기 크루아슈빌리
2024년 3월 26일 (2024-03-26 ) 19:00 UTC+3
관중: 6102
심판:
두예 스트루칸
리투아니아 총 2-0 승리로 리그 C 잔류 . 지브롤터 는 리그 D로 강등 되었다.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A에 참가한 팀들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조별 예선에서 각 조 1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33위 ~ 36위 팀
조별 예선에서 각 조 2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37위 ~ 40위 팀
조별 예선에서 각 조 3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41위 ~ 44위 팀
조별 예선에서 각 조 4위를 기록한 팀: 리그 C 45위 ~ 48위 팀
출처: UEFA
UEFA 유로 2024 예선 을 조별 리그를 통해 통과하지 못한 전체 순위에 따른 리그 C의 상위 4개 각조 1위팀들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승자가 결승전에 진출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