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오치-셰르크-올리브 사영(Gliozzi-Scherk-Olive 射影) 또는 GSO 사영은 라몽-느뵈-슈워츠(RNS) 초끈양자화할 때 물리적인 상태를 고르는 데 필요한 사영이다. GSO 사영을 하지 않으면 일관적인 이론을 얻을 수 없다. 이는 사영하지 않은 초끈은 그래비티노를 포함하나, 입자 스펙트럼은 시공 초대칭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와인버그-위튼 정리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정의 편집

초끈 이론의 라몽-느뵈-슈워츠 구성(영어: Ramond–Neveu–Schwarz formalism)을 생각하자. 이 경우, 끈의 세계면 위에는 2차원   초등각 장론이 존재한다. 아무런 사영을 가하지 않으면, 그 분배 함수는 일반적으로 모듈러 군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이지 않아, 이 초등각 장론은 양의 종수를 갖는 리만 곡면 위에 대하여 정의될 수 없다. 이는 초끈 이론에서 양자 효과(고리를 갖은 파인먼 도형)를 고려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아무런 사영을 가하지 않으면 시공간의 스펙트럼은 초대칭을 따르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면 힐베르트 공간의 ‘절반’을 물리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 과정을 GSO 사영이라고 한다. 닫힌 초끈 이론에는 네 가지의 가능한 GSO 사영이 있는데, 이에 따라 각각 ⅡA, ⅡB, 0A, 또는 0B 이론을 얻는다.

  • IIA 이론은 두 개의 그래비티노를 포함하고, 그 스펙트럼은 10차원   초대칭을 따른다.
  • IIB 이론은 두 개의 그래비티노를 포함하고, 그 스펙트럼은 10차원   초대칭을 따른다.
  • 0A 이론은 그래비티노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스펙트럼은 10차원에서 아무 초대칭을 갖지 않는다.
  • 0A 이론도 그래비티노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스펙트럼은 10차원에서 아무 초대칭을 갖지 않는다.

GSO 사영은 여러 일관성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즉, 만약 사영에 의하여 보존되는 연산자의 집합을 A라고 하면, A는 다음을 만족하여야 한다.

Ⅱ종 GSO 사영 편집

느뵈-슈워츠 상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이다.

 

여기서

 
 

이다. 이 경우 연산자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느뵈-슈워츠 상태를

 

인지 여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상태들을 NS±로 표기하자.

마찬가지로, 라몽 상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이다.

 
 
 

이 경우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라몽 상태를

 

인지 여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상태들을 R±로 표기하자.

닫힌 끈 이론의 세계면 초등각 장론의 상태는 왼쪽 상태와 오른쪽 상태의 순서쌍이다. 이 경우, 가능한 GSO 사영들은 다음 표의 각 행에 대응한다.[1]

+ 가능한 GSO 사영
이름 포함하는 상태
ⅡA (NS+,NS+) (R+,R−) (R+,NS+) (NS+,R−)
(NS+,NS+) (R−,R+) (R−,NS+) (NS+,R+)
ⅡB (NS+,NS+) (R+,R+) (R+,NS+) (NS+,R+)
(NS+,NS+) (R−,R−) (R−,NS+) (NS+,R−)
0A (NS+,NS+) (NS−,NS−) (R+,R−) (R−,R+)
0B (NS+,NS+) (NS−,NS−) (R+,R+) (R−,R−)

여기서, ⅡA(또는 ⅡB)를 얻으려면 두 가지 가능한 GSO 사영이 존재하며, 이들은 각각 서로 동치인 초끈 이론을 정의한다. 각 GSO 사영은 총 16=(2×2)2개의 상태 가운데 오직 네 개를 고른다.

역사 편집

페르디난도 글리오치(이탈리아어: Ferdinando Gliozzi), 조엘 셰르크, 데이비드 이언 올리브(영어: David Ian Olive)가 1976년에 도입하였다.[2]

참고 문헌 편집

  1. Billó, Marco; Craps, Ben; Roose, Frederik (1999). “On D-branes in Type 0 string theory” (영어). arXiv:hep-th/9902196. 
  2. Gliozzi, Ferdinando; Scherk, Joel; Olive, David Ian (1976년 11월 22일). “Supergravity and the spinor dual model”. 《Physics Letters B》 65 (3): 282–286. doi:10.1016/0370-2693(76)90183-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