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N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및 일부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방송사

주식회사 KNN(한국어: 케이엔엔)은 부산광역시경상남도 및 인근 일부지역을 권역으로 하는 SBS의 부산경남권 네트워크 민영방송사이다. (주)넥센의 계열 초임에는 부산방송(釜山放送, Pusan Broadcasting, 약칭 PSB)으로 1994년에 설립되었다. 그 후 1995년 5월 14일 부산광역시의 방송지역으로 TV 및 라디오채널이 개통됨에 따라 공식방송이 시작되어 10년후인 2005년에는 공식 비즈니스 지구를 경상남도로 확대하였으며, 2006년 5월 14일, PSB 부산방송에서 주식회사 KNN으로 사명이 개칭되었다.

KNN
KNN CI (2006년 5월 14일 ~ 현재)
KNN CI (2006년 5월 14일 ~ 현재)
2012년 11월 12일에 준공한 신사옥 現 해운대구 우2동 센텀시티 사옥 KNN 타워
2012년 11월 12일에 준공한 신사옥 現 해운대구 우2동 센텀시티 사옥 KNN 타워
한국명 주식회사 케이엔엔
영문표기 KNN
회사명 주식회사
형태 민영 방송
방송 영역 지상파 방송
창립일 1994년 4월
개국일 1994년 4월(데모 방송)
1994년 9월 7일(테스트 방송)
1995년 5월 14일(공식 방송, TV)
1997년 9월 9일(KNN 파워FM)
2016년 5월 10일(KNN 러브FM)
이전 회사 PSB 부산방송 (1994년 ~ 2006년)
시장 정보 한국: 058400 (2010년 11월 3일 ~ )
자본금 66,124,860,000원 (2015.12)
매출액 62,748,443,507원 (2015)
영업 이익 8,254,363,051원 (2015)
순이익 6,887,061,457원 (2015)
자산 총액 189,932,201,610원 (2015.12)
주요 주주 주식회사 넥센 외 특수관계인[1]: 39.4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5.55%
직원 수 137명
본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우2동)
사장 강병중 (대표이사 회장)
이오상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 넥센
자회사 부산글로벌빌리지

누리네트웍스 KNN 미디어플러스

계열사 SBS M&C
슬로건 From Here to the World
부산경남 대표방송 KNN
웹사이트 KNN 공식 홈페이지

슬로건 편집

  • From Here to the World
  • 부산경남 대표방송

개요 편집

부산방송(釜山放送, Pusan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 PSB)의 이름으로 1994년 4월 부산직할시[2] 설립하고, 나중에, 1995년 5월 14일 공식적인 TV 본방송을 개시했다. 1997년 9월 9일에 FM 방송을 개시하였다. 2003년 12월 31일에 디지털 TV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호출부호는 HLDG이며, 부산광역시 · 김해시 일원은 CH 19, 창원시 일원은 CH 64, 진주시 일원은 CH 62(UHF)로 방송하고 있으며, 라디오 주파수는 파워FM이 황령산 송신소에서 부산광역시 지역에 송출하는 초단파 99.9MHz와 2010년 12월 29일부터 창원시를 비롯한 경남 중부 지역에 불모산 중계소에서 송출하는 초단파 102.5MHz, 2011년 12월 23일부터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에서 진주시를 비롯한 경남 서부 지역에 송출하는 105.5MHz, 2013년 9월 16일12월 23일부터 각각 기장, 정관과 양산에 송출하는 96.3MHz, 2016년 5월 10일 러브FM이 황령산 송신소에서 부산광역시 지역에 송출하는 초단파 105.7MHz, 2016년 9월 23일 거창에 송출하는 106.7MHz, 2017년 5월 10일 러브FM양산에 송출하는 88.5MHz와 기장, 정관에 송출하는 89.3MHz, 2017년 10월 30일 러브FM 불모산 중계소에서 창원시, 김해시, 거제시 지역에 송출하는 초단파 90.9MHz, 2018년 3월 21일 러브FM 망진산 중계소에서 진주시 지역에 송출하는 초단파 98.7MHz이다. 자본금은 662억원이며 주요 주주로는 (주)넥센, 태영, 성우하이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송 초기에는 전화기 제조회사인 한창이 최대주주였으나, 2002년부터 최대주주가 (주)넥센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 5월 14일, 개국 11주년을 맞이하여 사명이 PSB 부산방송 (Pusan Broadcasting)에서 지금의 (주)KNN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4월, 현재 5본부 11팀 총 150명의 임직원이 있다. 주식 비상장 기업으로 출발하였으나, 2010년 11월 3일 동남권 지역 방송국 사상 최초로 코스닥 시장에 (주)케이엔엔이라는 이름으로 상장하였다.[3] 사옥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에 있다.

본사 · 지사 소재지 편집

본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경남(창원)방송센터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250번길 4
서부경남(진주)방송센터
경상남도 진주시 에나로77번길 14
서울방송샌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 124

매출 & 손익 현황 편집

  • 2013년도 기준 매출액은 573억원, 매출원가는 380억원,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158억원이었다. 이에 영업이익은 34억원의 흑자가 발생하였으며, 당기순이익은 118억원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 매출액 규모는 동남권 지역 지상파방송사업자 중 매출액이 압도적으로 많은 준중심 방송 사업자이며, 60~90억원대의 비교적 안정된 당기순이익 규모를 보이고 있다[4].

캐치프레이즈 편집

캐치프레이즈와 관련한 정보는 방송 시작전 화면조정시간에 나오는 '오늘의 방송순서' 말미에 주로 볼 수 있다.

  • 부산을 봅니다, 세계를 봅니다(1995년 5월 14일 ~ 2005년 5월 13일)
  • 지역을 봅니다, 세계를 봅니다(2005년 5월 14일 ~ 2006년 5월 13일)
  • 시청자와 함께하고 시청자가 주인되는 방송(2006년 5월 14일 ~ 현재)

로고송 편집

  • 꿈을 주고 사랑받는 PSB(1995.5.14 ~ 2006.5.13)
  • 가족처럼 이웃처럼 PSB(1995.5.14 ~ 1999)
  • 꿈을 주고 사랑받는 부산방송(1995.5.14 ~ 2006.5.13)
  • 가족처럼 이웃처럼 부산방송(1995.5.14 ~ 1998)
  • 친구처럼 이웃처럼 KNN (케이엔엔) 1버전(2006.5.14 ~ 2013.8.31) 2버전 (2009.1.1 ~ 현재) 3버전
  • 기쁨과 사랑을 전해주는 KNN (케이엔엔) (2007.1.1 ~ 2012.11.11) 박자 바꿈 (2012.11.12 ~ 현재)
  • 2013년 11월부터는 그 가사를 MR 처리 하고 KNN (케이엔엔)만 송출.[5]

FM라디오 주파수 멘트 편집

  • 부산 99.9 기장/양산 96.3 창원 102.5 진주 105.5 거창 106.7MHz, 700만 청취자와 함께 만드는 KNN 파워FM 입니다.
  • 부산 105.7 양산 88.5 창원/김해/거제 90.9 진주 98.7MHz KNN 러브FM 입니다.

나라별 제휴 방송사 편집

연혁 편집

1990년대 편집

  • 1994년 4월 부산방송(주)(釜山放送, 약칭PSB) 설립
  • 1994년 4월 공보처, 지역민영 TV방송국 참여신청 공고
  • 1994년 5월 사업계획서 제출
  • 1994년 8월 10일 (주)한창이 민영방송사업자로 선정
  • 1995년 4월 1일 정규방송 시작
  • 1995년 5월 서울지사 설치(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25 소재)
  • 1995년 5월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사 허가
  • 1995년 5월 14일 PSB-TV방송 개국(호출부호 HLDG-TV, CH 19)
  • 1995년 12월 (재)부산방송 문화재단(현 KNN 문화재단) 설립
  • 1996년 6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사옥 준공
  • 1996년 10월 2일 SBS와 합작하여 만든 수목드라마 형제의 강 방송 개시 (1997년 4월 3일까지 방송됨)
  • 1997년 9월 9일 PSB-FM방송 개국(현 KNN 파워FM 호출부호 HLDG-FM, FM 99.9MHz)
  • 1998년 7월 11일 롯데:해태 사직 경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를 라디오로 생중계
  • 1999년 2월 10일 경남지사(창원시) 설치 (경상남도 창원시 신월동 101-1번지 소재)
  • 1999년 12월 10일 일본 후쿠오카 지역 민방인 TV니시닛폰(이하 TNC)와 우호협력 협정 체결

2000년대 편집

  • 2000년 8월 중국 톈진 TV 우호협력 협정 체결
  • 2000년 10월 20일 인터넷 방송사, 락티비닷컴(rakTV.com) 개국(현재의 iKNN)
  • 2000년 11월 불모산·용등 TV 중계소 허가 (마산·창원지역 난시청 해소)
  • 2002년 1월 (주)한창에서 넥센타이어로 최대주주 변경 (강병중 회장)'
  • 2002년 9월 DTV 시험방송 실시(호출부호 HLDG-DTV)
  • 2002년 9월 29일 ~ 10월 14일 부산 아시안 게임 주관방송사로 참여
  • 2003년 5월 14일 PSB 부산방송 부산경남대표방송 함께 방송
  • 2003년 8월 황령산에 디지털 TV 송신소 설치
  • 2003년 11월 중국 칭다오TV와 우호협력 협정 체결
  • 2003년 12월 31일 디지털TV 방송 개국
  • 2004년 3월 박용길 사장 취임
  • 2004년 5월 14일 PSB 부산방송에서 함께 청사 9주년 개국 부산롤 봅니다. 세계롤 봅니다
  • 2004년 10월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 FM아오모리와 프로그램 제휴 협정 체결
  • 2005년 7월 11일 부산·경남광역방송 선정
  • 2006년 2월 28일 PSB - TV 2006년 봄 3월 첫 프로그램 봄개편
  • 2006년 4월 13일 PSB - TV 2006 국민의 선택 중계방송
  • 2006년 5월 14일 사명을 PSB 부산방송에서 KNN(Korea New Network) 부산경남방송으로 개칭.
  • 2006년 6월 창원 불모산 TV중계소 개소
  • 2006년 12월 진주 망진산 TV중계소 개소
  • 2007년 2월 12일 경남 서부지역 보도를 위해 진주방송센터 개소
  • 2007년 3월 19일 이만수 사장 취임
  • 2007년 5월 14일 KNN 부산경남대표방송 함께하고 방송 첫 청사 11주년 개국
  • 2007년 8월 거창 감악산 중계소 ATV, DTV 개국
  • 2007년 9월 9일 KNN-FM방송 개국 10주년
  • 2007년 11월 14일 지상파 DMB 방송 KNNu 시험방송 개시
  • 2007년 12월 DMB 방송시설구축(연주소송출실, 황령산송신소, 볼모산중계소 완공)
  • 2008년 6월 DMB 방송국 개국(준공검사, 방송국 허가완료)
  • 2008년 7월 7일 KNNu 지상파 DMB 본방송 개시
  • 2009년 4월 13일 자체 제작 뉴스 프로그램의 100% HD 전환 방송 실시

2010년대 편집

  • 2010년 6월 4일 해운대 센텀시티 신사옥 착공
  • 2010년 11월 3일 비수도권 지역 방송국 최초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
  • 2010년 12월 18일 창원 불모산 라디오중계소(FM 102.5MHz) 시험방송 송출
  • 2010년 12월 29일 창원 불모산 라디오중계소(FM 102.5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1년 12월 23일 진주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FM 105.5MHz) 시험방송 송출
  • 2011년 12월 28일 진주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FM 105.5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2년 10월 4일 경남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2년 10월 9일 부산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2년 11월 12일 KNN 센텀시티 신사옥 준공, KNN라디오 시보음 변경
  • 2013년 7월 17일 부산경남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 완료
  • 2013년 9월 16일 기장FM중계소 (FM 96.3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3년 10월 KNN 센텀사옥 ‘부산다운 건축상’ 은상 수상
  • 2013년 12월 23일 양산FM중계소 (FM 96.3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4년 3월 김석환 사장 취임
  • 2015년 3월 10일 문혁주 사장 취임
  • 2015년 5월 14일 KNN-TV방송 개국 20주년
  • 2016년 5월 10일 KNN 러브FM (호출부호 HLDG-SFM, FM 105.7MHz) 개국에 따라서 KNN 라디오를 KNN 파워FM으로 변경 및 2개의 FM 채널로 이원화
  • 2016년 9월 23일 거창 감악산 라디오중계소(FM 106.7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6년 11월 8일 이성림 사장 취임
  • 2017년 5월 10일 기장SFM중계소 (FM 89.3MHz) 본방송 송출 시작
    양산SFM중계소 (FM 88.5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7년 10월 21일 창원SFM 불모산 라디오중계소(FM 90.9MHz) 시험방송 송출
  • 2017년 10월 30일 창원SFM 불모산 라디오중계소(FM 90.9MHz) 본방송 송출 시작
  • 2017년 12월 29일 KNN UHD 방송개국
  • 2018년 3월 2일 김병근 사장 취임
  • 2018년 3월 10일 진주SFM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FM 98.7MHz) 시험방송 송출
  • 2018년 3월 21일 진주SFM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FM 98.7MHz) 본방송 송출 시작

2020년대 편집

TV 방송 편집

 
KNN TV
개국 1995년 5월 14일
네트워크 KNN
언어 한국어
방송 지역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등 동남권 일원
본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디지털 채널 ch.6-1 (가상채널)
UHD 채널 ch.53
케이블 채널 각 지역 케이블 SO에 문의바람.
IPTV 채널 5(KT/SK B IPTV/LG U+)
위성 채널 5(KT OTS)
웹사이트 KNN
 
KNN 부산경남방송
개국 1995년 5월 14일
IPTV 채널
  • KT : 5번
  • SK : 5번
  • LG : 5번
위성 채널 5번 (HD)

1995년 4월 1일 시험방송을 거쳐 같은해 5월 14일 대구방송, 광주방송, 대전방송과 함께 TV방송을 개국하였다. 2000년 이전까지는 부산과 그 인근에서만 시청할 수 있었으나, 2000년에 불모산 중계소가 설치되고 2005년 7월 경남지역까지 정식 방송권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2006년 이후 망진산, 감악산TV중계소가 설치되면서 서부경남지역에서도 KNN TV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그램 편성 비율은 보도 28.7%, 교양 54.3%, 오락 17.1%이며, 지역 정서 및 지역민의 욕구를 적극 반영한 지역밀착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국방송 및 국제적 수준의 교양정보 프로그램 제작, 위성 및 디지털방송에 대비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의 개발확대를 편성 방침으로 하고 있다.

프로그램 편집

2020년 4월, 현재 KNN 부산경남방송에서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이 가운데에는 UHD급 화질로 제작하여 방송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목록 뒷부분에 (UHD)로 표기한다.

보도 편집

현존하는 동남권 지역민방의 보도프로그램 중 가장 오래된 보도 프로그램은 메인 뉴스격인 KNN 뉴스아이로, 1995년 5월 개국 때부터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다. 이는 모든 지역 민방을 통틀어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보도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2009년 4월 13일부터는 KNN 부산경남방송에서 제작하는 모든 뉴스프로그램을 HD급 화질로 100% 제작하여 방송하기 시작했다.[6] 이는 모든 지역 민영방송 가운데 OBS경인TV에 이어 두 번째이며, SBS와 가맹하는 지역민방 가운데에서는 최초로 시행하는 것이다.

시사교양 프로그램 편집

2009년 1월까지 방영한 해피플러스는 KNN 부산경남방송에서 외주 제작했던 프로그램으로, 동서대학교 관련인이 모여만든 동서필름(주)에서 제작을 담당하였다. 현존하는 프로그램 중 가장 오래된 교양프로그램은 공개클리닉 웰로, 1996년 3월 18일에 첫 방송하여, 지난 2010년 1월 23일에 700회를 돌파하였다.

현재 방영 프로그램
종영 프로그램

예능 편집

현재 방영 프로그램
종영 프로그램

드라마 편집

KNN 부산경남방송은 지역 민방 최초로 1995년에 개국특집 드라마 '해풍'(주연 배용준)을 제작 방송한 이후 이듬해 '형제의 강'을 SBS와 합작하는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또한 2008년 1월에는 역시 지역 민방 최초로 정기 편성드라마 대박인생을 JS픽쳐스, iHQ DRAMA와 합작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나름대로 드라마 제작에 있어서는 지역 민방 중 가장 적극적으로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2009년 4월부터 5월까지는 D&D미디어가 제작하고 KNN 부산경남방송이 제작 지원 한 8부작 드라마 그녀의 스타일을 방영한 바 있다.

프로그램

타 지역 민방 네트워크 자체 제작 프로그램 편집

현재 KNN 부산경남방송에서 편성되고 있는 타 지역 민방 네트워크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예능

제공시보 편집

방송 송출 시설망 편집

  • 호출부호 : HLDG-DTV
  • 가상채널 : 6-1
송신소 UHD HD 송신소 위치 비고
물리채널 출력 물리채널 출력
황령산 송신소 CH 53 5kW CH 15 2.5㎾ 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정관 중계소 CH 20 20W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기장 중계소 CH 33 90W 부산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산41
천제산 소출력 CH 33 0.05W 부산 남구 대연동
장산 중계소 CH 30 20W 부산 해운대구 재송1동 산74-3
만덕 중계소 CH 40 20W 부산 동래구 온천3동 산190-8 달북마을
동삼 소출력 CH 15 0.05W 부산 영도구 동삼1동
천마산 중계소 CH 50 20W 부산 사하구 감천2동 산99-1
녹산 중계소 CH 24 90W 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5 봉화산
양산타워 중계소 CH 36 90W 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불모산 중계소 CH 33 2.5㎾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4
용등 중계소 CH 20 20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2
망진산 중계소 CH 19 1㎾ 경남 진주시 망경동 산18-1
옥종 소출력 CH 19 0.05W 경남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
감악산 중계소 CH 36 1㎾ 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아날로그TV
경남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부산 2012년 10월 9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DG-TV
송신소 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종료일
황령산 송신소 CH 19 30㎾ 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2012. 10. 09
정관 중계소 CH 37 50W 부산 기장군 정관면 달산리 산146-14
기장 중계소 CH 31 100W 부산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산41
장산 중계소 CH 46 100W 부산 해운대구 재송1동 산74-3
만덕 중계소 CH 51 100W 부산 동래구 온천3동 산190-8 달북마을
천마산 중계소 CH 44 100W 부산 사하구 감천2동 산99-1
녹산 중계소 CH 34 500W 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5 봉화산
불모산 중계소 CH 64 10㎾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4 2012. 10. 04
용등 중계소 CH 21 10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망진산 중계소 CH 62 5㎾ 경남 진주시 망경동 산18-1
감악산 중계소 CH 68 5㎾ 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라디오 방송 편집

러브FM 편집

 
KNN 러브FM
방송국 KNN
방송위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방송지역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일원
주파수 부산 FM 105.7MHz
창원, 김해, 거제 FM 90.9MHz
진주 FM 98.7MHz
양산 FM 88.5MHz
기장, 정관 FM 89.3MHz
개국일 2016년 5월 10일 (부산권)
2017년 5월 10일 (양산/기장/정관권)
2017년 10월 30일 (창원권)
2018년 3월 21일 (진주권)
방송부문 지상파 라디오
방송언어 한국어
호출부호 HLDG-2FM
외부 링크 KNN

2016년 5월 10일에는 KNN TV 개국 21주년을 맞이해서 러브FM이 개국했다(호출부호 HLDG-SFM, FM 105.7MHz). SBS 러브FM 프로그램의 67.9%를 편성한다. 황령산송신소 이외 중계소가 아직 구축되지 않아 경상남도 대부분 지역에서는 러브FM을 청취하기가 곤란했으나, 2017년 5월 10일 양산 중계소와 기장 FM보조국을 개국했고, 2017년 10월 30일 불모산 중계소 FM보조국을 개국했고 2018년 3월 21일 장군대산 중계소 FM보조국을 개국했다.[7] 2020년 중으로 호출부호가 HLDG-2FM으로 변경되었다.[8]

프로그램 편집

KNN LOVE FM
프로그램명 방송시간 DJ 방송분량
[1]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KNN 파워FM 동시방송) 매일 오전 9시~10시 50분 김아라 20분
[2] KNN 웰빙라이프 (오전) 매일 오전 10시 50분~11시 각의사 15분
KNN 12시 뉴스 목~금요일 낮 12시~12시 5분 보도국 30분
[3] 강영운의 딱좋은 라디오 평일 오후 2시 20분~4시
주말 오후 2시~4시
강영운 100분
120분
[4] 라기오, 노승혜의 노래하나 얘기둘 (KNN 파워FM 동시방송) 매일 오후 4시~5시 50분 라기오, 노승혜 120분
[5] KNN 웰빙라이프 (저녁) 매일 저녁 5시 50분~6시 각의사 10분
KNN 6시 뉴스 매일 저녁 6시~6시 5분 보도국
(이상철/임혜림)
(주말 무작위)
5분
[6] 이해리의 온나라디오 평일 밤 8시 5분~10시 이해리 115분
[7] 라디오라떼 주말 밤 8시~10시 조문경 120분

방송 송출 시설망 편집

  • 호출부호 : HLDG-2FM
KNN LOVE 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황령산 송신소 FM 105.7MHz 1㎾ 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정관 중계소 FM 89.3MHz 20W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천마산 중계소 FM 89.3MHz 20W 부산 사하구 감천1동
양산타워 중계소 FM 88.5MHz 20W 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불모산 중계소 FM 90.9MHz 1㎾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장군대산 중계소 FM 98.7MHz 1㎾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4

파워FM 편집

 
KNN 파워FM
방송국 KNN
방송위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방송지역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일원
주파수 부산 FM 99.9MHz
창원 FM 102.5MHz
진주 FM 105.5MHz
기장, 양산, 정관 FM 96.3MHz
거창, 합천, 함양, 산청, 천주산 FM 106.7MHz
개국일 1997년 9월 9일 (부산권)
2010년 12월 29일 (창원권)
2011년 12월 23일 (진주권)
2013년 9월 16일 (기장/정관권)
2013년 12월 23일 (양산권)
2016년 9월 23일 (거창권)
방송부문 지상파 라디오
방송언어 한국어
호출부호 HLDG-FM
외부 링크 KNN

1997년 9월 9일에 개국한 KNN 라디오는 지역민방 가운데 TBC와 함께 거의 50%의 자체편성 비율로 SBS와의 네트워크제휴를 맺은 방송사 중 전국에서 가장 높은 자체편성 비율을 실현하고 있다. 개국 당초에는 PSB Bluewave FM이라는 명칭으로 개국했고, 자체편성비율 100%였으나, IMF로 인한 경제위기로 3개월 만에 SBS와 라디오방송 네트워크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자체편성 비율은 100% 아래로 떨어졌다. 현재의 여건상으로는 얼마든지 자체편성 100%를 실현할 수 있으나, SBS의 라디오 프로그램의 청취를 선호하는 일부 청취자의 반발이 있어 불가능한 실정이다. SBS 파워FM 프로그램의 70%를 편성한다.

최근에는 인터넷 라디오 프로그램,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인 고릴라로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SBS의 모든 라디오 프로그램의 청취가 가능해진 탓에, 야구 시즌에는 KBO와 계약을 맺고 지역 연고 프로야구팀인 롯데 자이언츠의 정규리그 모든 경기와 포스트 시즌 전 경기를 라디오로 생중계방송 하고 있다.

개국 초부터 2010년 말까지는 부산과 동부경남 일부(김해시, 양산시 일부)에서만 수신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0년 12월 29일 창원 불모산 중계소, 2011년 12월 23일 진주 장군대산 중계소, 2013년 9월 16일 기장 FM보조국, 2016년 9월 23일 거창 감악산 중계소를 개국하면서 현재는 부산과 경남 대부분 지역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프로그램 편집

KNN POWER FM
프로그램명 방송시간 DJ 방송분량
[8]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KNN 러브FM 동시방송) 매일 오전 9시~10시 50분 김아라 120분
[9] KNN 웰빙라이프 (오전) 매일 오전 10시 50분~11시 각의사 10분
[10] 머니마니쇼 평일 오전 11시~12시 장원일 60분
[11] 라기오, 노승혜의 노래하나 얘기둘 (KNN 러브FM 동시방송) 매일 오후 4시~5시 50분 라기오, 노승혜 120분
[12] KNN 웰빙라이프 (오후) 매일 오후 5시 50분~저녁 6시 각의사 10분
[13] 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생중계 화~금 저녁 6시 25분~밤 10시
(금 사직 홈경기 7시~)
주말 오후 시간대
허형범, 이광길 215분
230분
[14]라디오라떼 주말 새벽 3시~ 4시 55분 조문경 120분
113분

방송 송출 시설망 편집

  • 호출부호 : HLDG-FM
KNN Power 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황령산 송신소 FM 99.9MHz 5㎾ 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정관 중계소 FM 96.3MHz 20W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기장 중계소 FM 96.3MHz 20W 부산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산41
양산타워 중계소 FM 96.3MHz 20W 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불모산 중계소 FM 102.5MHz 1㎾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장군대산 중계소 FM 105.5MHz 1㎾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4
감악산 중계소 FM 106.7MHz 500W 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수신 주파수 녹음방송 목록 편집

부산, 울산, 경남 편집

부산, 경남 편집

제공 시보 편집

정각 시보 편집

30분 시보 편집

  • 오천콜 대리운전
  • 구구콜 대리운전
  • 친구넷 대리운전
  • 육육콜 대리운전
  • 삼천콜 대리운전
  • 에어부산

지상파 DMB 방송 편집

KNN이 주사업자로, 울산방송과 함께 공동으로 부산·울산·경남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서 방송중이다.

센텀시티 신사옥 편집

2007년 6월에 착공하여 2012년 11월 12일에 준공되었다. 규모는 지상 28층, 지하 06층의 첨단 인텔레전트 빌딩으로 방송과 상업, 업무 등 다양한 용도의 미래형 복합미디어센터이다. 장소는 영화의 전당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아나운서 소개 편집

현직 편집

  • 정희정 (2009~)
  • 이해리 (2014~)
  • 정준희 (2014~)
  • 김다롬 (2019~)
  • 임혜림 (2022~)
  • 이화영 (2023~)
  • 박경익 (2023~)
  • 이상철 (2023~)

뉴스를 만드는 사람들 편집

보도국

  • 보도국장 추종탁

편집부

  • 편집부장 임택동

-뉴스제작팀-

  • 차장 강기성
  • PD 박종준
  • PD 노경민
  • 보도작가 조다영
  • 보도작가 하정민
  • 행정 박수아

-편집팀-

  • 사원 정윤주
  • 사원 전금채
  • 사원 양희진
  • 사원 김민지
  • 사원 차수진
  • 사원 김승연
  • 사원 한동민

-그래픽/CG팀-

  • 사원 최희연(CG)
  • 사원 송현주(그래픽)
  • 사원 강지연(그래픽)
  • 사원 김윤여(그래픽)
  • 사원 박정은(스크립터)
  • 사원 이아영(스크립터)

취재부

  • 취재부장 김성기

-정경팀-

  • 부장 윤혜림
  • 부장 표중규
  • 차장 주우진

-사회팀-

  • 기자 박명선
  • 기자 이태훈
  • 기자 최한솔
  • 기자 조진욱
  • 기자 이민재
  • 기자 최혁규
  • 기자 하영광

영상부

  • 영상국장 박영준
카메라 기자
  • 국장 정용수
  • 국장 육근우
  • 국장 박동명
  • 부장 박민호
  • 부장 하성창
  • 부장 신동희
  • 부장 김태용
  • 부장 오원석
  • 부장 김종명
  • 부장 국주호
  • 차장 전재현
  • 차장 최진혁
  • 차장 이원주
  • 기자 권용국
  • 기자 박은성

경남본부

  • 경남본부장 전성호
  • 보도국장 길재섭
취재팀
  • 부장 김동환
  • 차장 김건형
  • 차장 김민욱
  • 기자 황보람
  • 사원 김가현
영상팀
  • 부장 하호영
  • 차장 정성욱
  • 기자 안명환
  • 기자 정창욱

서부경남본부

  • 기자 정기형

서울지사

  • 차장 김상진
  • 기자 박언국

기상캐스터 편집

  • 조문경(2014년 ~)
  • 오희주(2022년 ~)

야구 해설위원 편집

  • 이광길(라디오 (롯데 자이언츠), 2018.03~)

리포터, DJ, 캐스터 편집

  • 라기오
  • 강영운
  • 류성현
  • 노승혜
  • 장원일
  • 정민경
  • 허형범

사옥 변천 과정 편집

연중캠페인 편집

각주 편집

  1. 민방 설립 당시에는 전자, 섬유 제조업인 (주)한창이었으나, 몇년 뒤인 계열사로 분리되었다.
  2. 개국 당시엔, 준중심 방송국이므로, 방송 권역이 부산광역시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1999년에야 창원에 경남지사가 설치되었고, 불모산과 용등에는 2000년 11월에서야 TVR이 설치되었다.
  3. 지역 민방 KNN, 3일 코스닥 신규상장, 《아이뉴스24》 2010년 11월 2일
  4. 한국의 방송산업 통계.김재철.2008.커뮤니케이션북스
  5. 정규 방송의 시작인 새벽 5시경과 더불어, 그 마무리인 새벽 시간(평일 기준 새벽 2시 즈음)에는 가사가 들어간, 즉 이전 버전이 재방송.
  6. KNN 뉴스 HD방송[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관련 공지 안내
  7. 이외 지역에서는 컴퓨터로 SBS 또는 KNN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각 방송사 앱 혹은 온에어를 통해 청취할 수가 있다.
  8. [Korea KNN Love-FM(HLDG-SFM), 진주 송신, FM 98.7 MHz]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