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케이블 텔레비전
(대한민국의 케이블TV 방송에서 넘어옴)
대한민국의 케이블 텔레비전은 1995년 3월 1일부터 종합유선방송을 시작으로 도입된 방송으로서, 채널 선택의 다양성으로 시청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시작한 새로운 형태의 방송 시장이다.[1]
연혁편집
- 1989년 위성방송 개시
- 1991년 4월 15일 서울 일부 지역서 시험방송 개시
- 1995년 1월 5일 전국 32곳에서 시험방송 개시
- 1995년 3월 1일 본방송 개시(24개 PP, 48개 SO) 케이블TV 위성방송 채널안내
- 2004년 디지털케이블TV 시험방송 시범서비스
- 2005년 디지털케이블TV 상용 서비스 개시 /디지털케이블TV 방송 시작
- 2007년 케이블 PP.SO SD 방송채널 개시 PP.SO HD 방송채널 개시 아날로그케이블 디지털케이블SD전환/HD방송 개시
- 2014년 아날로그케이블 디지털 알뜰형 개시 디지털케이블SD/HD
- 2015년 기존 아날로그케이블TV 디지털 알뜰형 디지털케이블TV SD/HD /UHD
회원사편집
PP편집
현재 운영하는 방송 채널 현황 (2022년 기준)
SO편집
현재 운영하는 방송 채널 현황 (2022년 기준)
|
|
등이 있으며, 가상방송국들도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나오지 않는다. |
대한민국 방송법에서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라고 정의되어 있다. 전국에 시·군·구별로 위치한 99개사가 있다. 이들 케이블TV 방송국은 사업자 간 수평적 결합으로 인해 복합소유의 MSO(Multi System Operator) 들이 늘어가고 있다.[3] 강원도,제주도,울산,대전은 동일권역내에 단일케이블 사업자지역이다.
|
NO편집
각주편집
- ↑ 케이블TV 준비 제대로 했나?, KBS 뉴스 9, 1995년 3월 8일
- ↑ 방송법 제2조 제1호 라목. : 라. 방송채널사용사업 : 지상파방송사업자ㆍ종합유선방송사업자 또는 위성방송사업자와 특정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사용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
- ↑ 2007년 12월 기준,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는 티브로드, C&M, CJ헬로비전, Qrix, CMB, HCN, GS계열, 온미디어(현 CJ E&M)로 이들이 확보하고 있는 종합유선방송사는 총 80개이며, 총 매출액은 1조 7,365억원에 이른다. 2007년 8대 MSO가 종합유선방송시장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은 81.3%로 2006년의 81.1%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개별 MSO의 매출액 규모별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15개의 SO를 소유하고 있는 티브로드가 최대 MSO이며, 매출액은 4,534억원으로 점유율은 21.2%에 달하였다. 15개 SO를 확보하고 있는 씨앤앰의 매출액은 3,828억원으로 17.9%의 점유율, CJ는 14개 SO를 소유하고 있으며 총매출액은 3,858억원으로 점유율은 씨앤앰보다 높은 18.1%를 차지하였다. 뒤를 이어 HCN(7.1%), 큐릭스(5.3%), CMB(5%)가 매출액 점유율 5~7%대를 보이고 있으며, GS와 온미디어가 각각 4.1%, 2.6%를 나타내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08),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