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산화환원효소의 종류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영어: L-xylulose reductase) (EC 1.1.1.10)는 사람에서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DCXR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효소이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식별자
EC 번호1.1.1.10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구조 편집

DCXR 유전자는 크기가 대략 34 kDa이고, 2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막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단백질콩팥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세포질 막에 국한된다.[1]

기능 편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L-자일룰로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오탄당, 사탄당, 삼탄당, α-다이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을 촉매한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대사, 우론산 회로에 관여하며, 자일리톨을 생성함으로써 콩팥의 근위 세뇨관에서 수분 흡수 및 세포 삼투압 유지에 역할을 할 수 있다.[2]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EC 1.1.1.10)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촉매하는 효소이다.

자일리톨 + NADP+   L-자일룰로스 + NADPH + H+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2가지 기질자일리톨, NADP+이며, 3가지 생성물L-자일룰로스, NADPH, H+이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며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명명법 편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계통명은 자일리톨:NADP 4-산화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형성)(영어: xylitol:NADP+ 4-oxidoreductase (L-xylulose-forming))이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 자일리톨 탈수소효소(영어: xylitol dehydrogenase)

임상적 중요성 편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결핍은 오탄당뇨증과 관련이 있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활성 부족은 L-자일로스의 과도한 소변 배설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을 일으킨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과발현 및 이소성 발현은 전립선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akagawa J, Ishikura S, Asami J, Isaji T, Usami N, Hara A, Sakurai T, Tsuritani K, Oda K, Takahashi M, Yoshimoto M, Otsuka N, Kitamura K (200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mmalian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nd its localization in kidney”. 《J. Biol. Chem.》 277 (20): 17883–91. doi:10.1074/jbc.M110703200. PMID 11882650. 
  2. Zhao HT, Endo S, Ishikura S, Chung R, Hogg PJ, Hara A, El-Kabbani O (2009).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a critical disulfide bond in the active site of L-xylulose reductase”. 《Cell. Mol. Life Sci.》 66 (9): 1570–9. doi:10.1007/s00018-009-9065-y. PMID 19337691. 
  3. Cho-Vega JH, Tsavachidis S, Do KA, Nakagawa J, Medeiros LJ, McDonnell TJ (2007).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 potential biomarker identified by laser-capture microdissection-micro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6 (12): 2615–22. doi:10.1158/1055-9965.EPI-07-0684. PMID 1808676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