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은 개최국인 네덜란드를 제외한 유럽 축구 연맹에 속한 총 46개국이 UEFA 여자 유로 2017에 참가하기 위해 참가하였다.
참가국
편집참가국 순위와 계수는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과 본선 경기 결과의 20%, UEFA 여자 유로 2013 예선과 본선 경기 결과의 40%,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경기 결과의 40%를 반영하여 결정되었다.
개최국인 네덜란드(순위 8위, 계수 42,355점)를 제외한 46개국 가운데 상위 38개국은 조별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8개국은 예비 예선부터 참가한다.
조별 예선에 직행한 팀
편집
|
|
| |||||||||||||||||||||||||||||||||||||||||||||||||||||||||||||||||||||||||||||||||
|
|
예비 예선부터 참가하는 팀
편집
|
예선에 참가하지 않는 팀
편집
|
경기 일정
편집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경기 일정은 FIFA 여자 A매치 일정에 따른다.
단계 | FIFA 여자 A매치 일정 |
---|---|
예비 예선 | 2015년 4월 4일 ~ 4월 9일 |
조별 예선 | 2015년 9월 14일 ~ 9월 22일 |
2015년 10월 19일 ~ 10월 27일 | |
2015년 11월 23일 ~ 12월 1일 | |
2016년 1월 18일 ~ 1월 26일 | |
2016년 2월 29일 ~ 3월 9일 | |
2016년 4월 4일 ~ 4월 12일 | |
2016년 5월 30일 ~ 6월 7일 | |
2016년 9월 12일 ~ 9월 20일 | |
플레이오프 | 2016년 10월 17일 ~ 10월 25일 |
예비 예선
편집예비 예선 조 추첨은 2015년 1월 19일 스위스 니옹에서 실시되었다. 8개 팀을 2개 조로 나누어 진행하며 1조 경기는 몰도바에서, 2조 경기는 몰타에서 열렸다. 각 조 1위 팀은 조별 예선에 진출한다.
1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몰도바 | 3 | 2 | 0 | 1 | 5 | 1 | +4 | 6 |
라트비아 | 3 | 1 | 1 | 1 | 5 | 5 | 0 | 4 |
리투아니아 | 3 | 1 | 1 | 1 | 3 | 3 | 0 | 4 |
룩셈부르크 | 3 | 1 | 0 | 2 | 4 | 8 | -4 | 3 |
2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지아 | 3 | 2 | 0 | 1 | 10 | 2 | +8 | 6 |
페로 제도 | 3 | 2 | 0 | 1 | 12 | 4 | +8 | 6 |
몰타 | 3 | 2 | 0 | 1 | 9 | 8 | +1 | 6 |
안도라 | 3 | 0 | 0 | 3 | 3 | 20 | -17 | 0 |
- 조지아, 페로 제도, 몰타는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지아가 조 1위로 조별 예선에 진출했다.
조별 예선
편집조별 예선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한다. 각 조 2위 팀은 각 조 5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하는데 상위 6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2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시드 배정
편집조별 예선 조 추첨은 2015년 4월 20일 스위스 니옹에서 실시되었다. 시드는 참가국 순위와 계수를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예비 예선을 통과한 2개 팀은 자동으로 포트 E에 배정된다.
포트 A | 포트 B | 포트 C | 포트 D | 포트 E |
---|---|---|---|---|
1조
편집
|
|
- 아이슬란드와 스코틀랜드는 승점, 상대 전적(1승 1패)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합계 5-2로 앞선 아이슬란드가 1위, 스코틀랜드가 2위가 되었다.
- 슬로베니아와 벨라루스는 승점, 상대 전적(1승 1패)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합계 3-2로 앞선 슬로베니아가 3위, 벨라루스가 4위가 되었다.
2조
편집
|
|
- 포르투갈과 핀란드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상대 전적 1승 1무, 합계 3-2로 앞선 포르투갈이 2위, 핀란드가 3위가 되었다.
3조
편집
|
|
4조
편집
|
|
5조
편집
|
|
6조
편집
|
|
7조
편집
|
|
벨기에 | 6 – 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4 – 0 | 에스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0 – 5 | 벨기에 |
---|---|---|
세르비아 | 0 – 1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잉글랜드 | 1 – 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0 – 1 | 잉글랜드 |
---|---|---|
에스토니아 | 0 – 1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 – 4 | 세르비아 |
---|---|---|
8조
편집
|
|
각 조 2위 팀들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각 조 2위 팀들 가운데 상위 6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2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모든 조의 2위 팀들은 각 조 5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5위 팀 |
---|---|---|---|---|---|---|---|---|---|---|---|
1 | 스코틀랜드 | 6 | 5 | 0 | 1 | 16 | 6 | +10 | 15 | 본선 진출 | 마케도니아 공화국 |
4 | 덴마크 | 6 | 4 | 1 | 1 | 13 | 1 | +12 | 13 | 본선 진출 | 몰도바 |
6 | 이탈리아 | 6 | 4 | 0 | 2 | 13 | 7 | +6 | 12 | 본선 진출 | 조지아 |
7 | 벨기에 | 6 | 3 | 2 | 1 | 16 | 5 | +11 | 11 | 본선 진출 | 에스토니아 |
8 | 오스트리아 | 6 | 3 | 2 | 1 | 13 | 4 | +9 | 11 | 본선 진출 | 이스라엘 |
5 | 러시아 | 6 | 3 | 1 | 2 | 12 | 9 | +3 | 10 | 본선 진출 | 튀르키예 |
3 | 루마니아 | 6 | 3 | 1 | 2 | 11 | 8 | +3 | 10 | 플레이오프 | 알바니아 |
2 | 포르투갈 | 6 | 2 | 1 | 3 | 6 | 10 | -4 | 7 | 플레이오프 | 몬테네그로 |
플레이오프
편집플레이오프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은 본선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추첨은 2016년 9월 23일 스위스 니옹에서 실시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포르투갈 | 1 - 1 (a) | 루마니아 | 0 - 0 | 1 - 1 (연장) |
포르투갈이 합계 1-1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본선 진출.
각주
편집- ↑ 북아일랜드와 체코의 경기는 2016년 4월 8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고속도로에서 일어난 교통 사고로 인해 선수단이 경기장에 도착할 수 없게 되면서 연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