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동 단층
각동 스러스트 단층(覺洞 衝上斷層, Gakdong Thrust Fault, GTF) 또는 각동-상리 스러스트 단층(Gakdong-Sangri Thrust Fault)은 대한민국 옥천 습곡대 내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서 충청북도 단양군까지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대규모의 충상단층이며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및 영월층군의 분포와 영월군 및 단양군의 지질을 규제하는 중요한 지질 구조이다.
각동 단층 |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서 지방 |
도 |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
시 | 정선군, 영월군, 단양군 |
단층 특성 | |
주향 | 북동-남서 |
경사 | 북서 |
경사각 | 35°~ |
지구조 | |
판 |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
상태 | 비활성단층 |
지진 | 없음 |
성향 | 충상단층 |
이동방향 | 북서부가 남동쪽으로 충상 |
암석단위 |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대동 누층군 |
활동시기 | 고생대 이후 |
개요
편집각동 스러스트 단층 또는 각동 충상단층은 요시무라(1940)에 의해 영월군 영월읍에서 덕포리 스러스트 단층(Deokpori Thrust Faul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보고되었으며[1]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1962)에 의하면 각동 스러스트 단층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과 단양역 사이에서 시작하여 북동 30°의 주향으로 영월군 남면을 지나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 부근에서 소멸된다. 김정환 외(1994)는 각동 충상단층이 옥동 단층에 비해 저각의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 각동 단층은 최덕근(1998)에 의해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영월층군의 중요한 경계로 제시되었다. 이 단층을 경계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은 단층 북서부에, 태백층군은 단층 남동부에만 분포한다.[3] 지질도 상으로 영월읍 북부 문산리, 거운리에서 삼옥리와 영월역(덕포리), 흥월리를 지나 단양군으로 이어지는 북동-남서 주향의 스러스트 단층이다.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은 이 단층 남동부에만, 영월층군은 이 단층 북서부에만 분포하며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에서 단양군 단성면까지 대동 누층군 반송층이 이 단층을 따라 길게 분포한다.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의 자취는 단양군에서 영월군 남서부 지역까지 이어지나, 영월읍 삼옥리 부근에서 주향이 북북동-남남서 혹은 남-북으로 변한다. 이 단층에 의해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영흥층이 중생대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로 충상되어 있다.[4]
단층의 자취
편집영월군 영월읍 덕포리에서 이 단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25° 및 북서 35°이며,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조선 누층군 영흥층을 중생대 쥐라기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에 올려 놓는다.
단양군 지역에서는 남한강을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며 이 단층에 의해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영월형 조선 누층군이 중생대 쥐라기의 대동 누층군 반송층 위로 충상(衝上)되었고, 이 단층을 경계로 그 남동쪽에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과 평안 누층군이, 북서쪽에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한다. 각동 스러스트 단층은 단양군 대강면 지역에서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죽령 단층에 의해 좌수향으로 절단된다. 남한강 북서부이자 각동 단층의 상반부에 해당하는 단양군 매포읍, 어상천면 지역에는 각동 내프(Gakdong Nappe)로서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이 분포한다.[5]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은 각동 스러스트 단층과 옥동 단층 사이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북서쪽으로 경사져 있다. 태백층군 내에는 층리평행 전단구조가 보고되어 있다. 소진현 외(2023)의 연구 결과 묘봉층, 화절층, 두무골층에서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을 지시하는 층리평행 전단구조와 엽리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지층들은 두 단층에 의해 변형 분할(strain partitioning)의 양상을 보여준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吉村 一郎 (1940년). “江原道寧越附近の地質 (Geology of the Neietsu District, Kogendo, Tyosen)”. 《地質学雑誌 (Japanese Geology Society)》 47 (558): 112-122. doi:10.5575/geosoc.47.112.
- ↑ 김정환; 이제용; 남길현 (1994년 2월). “Pre-Jurassic Thrust Movement in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단양탄전 지역에서의 선쥬라기 드러스트 운동)”. 《대한지질학회》 30 (1): 35-40.
- ↑ 최덕근 (1998년 12월). “The Yongwol Group (Cambrian-Ordovician) redefined: a proposal for the stratigraphic nomenclature of the Choson Supergroup”. 《Geosciences Journal》 2 (4): 220-234. doi:10.1007/BF02910166.
- ↑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김정환; 고희재 (1992년 1월).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단양 지역의 지질 구조)”.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5 (1): 61-72.
- ↑ 소진현; 김고은; 서여은; 배상열; 최호석; 김영석 (2023년 12월). “Kinematic interpretation of layer-parallel shearing structures in Danyang a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단양지역 층리평행 전단구조의 운동학적 특성과 지체구조적 의미)”. 《대한지질학회》 59 (4): 551-567. doi:10.14770/jgsk.2023.040. ISSN 2288-7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