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계시
(강계에서 넘어옴)

강계시(江界市)는 자강도의 도청 소재지(자강도 소재 도 인민위원회, 로동당 소속 자강도당)이고, 지형 때문에 가장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이기도 하며, 인민위원장은 박필증, 당 책임비서는 리영남이다.
강계시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면적 | 263.667 km2 |
총인구 | 251,971[1] 명 (2008) |
동 | 34개 |
리 | 2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적 요충지로 꼽히는데,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계시를 임시 수도로 결정하고 김일성이 숨어있었다. 당시엔 강계특별시로 정정되기도 하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의 개입으로 인해 다시 강계시로 수정되었다.
지리
편집강계시는 4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장자강이 흐른다. 동쪽으로 장강군, 서쪽으로 시중군, 남쪽으로 성간군과 인접한다.
역사
편집- 1946년 - 강계읍,만포읍을 면으로 강등하였다.
- 1949년 1월 - 자강도를 설치하고 자강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 10월 - 강계면을 강계시로 승격하고 나머지 지역을 장강군으로 고쳤다.
- 1950년 - 한국전쟁 때에 조선인민군이 평양에서 후퇴하여 강계를 임시 수도로 삼았다.
- 1952년 - 룡림군을 설치했다.
- 1967년 - 만포군이 만포시로 승격했다.
한국 전쟁
편집행정 구역
편집현재 강계시는 34동, 2리로 구성되어 있다.
|
|
기후
편집강계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4.9 (23.2) |
0.2 (32.4) |
7.5 (45.5) |
16.4 (61.5) |
23.2 (73.8) |
27.5 (81.5) |
29.4 (84.9) |
28.7 (83.7) |
24.1 (75.4) |
16.5 (61.7) |
5.8 (42.4) |
−3.2 (26.2) |
14.3 (57.7) |
일일 평균 기온 °C (°F) | −12.6 (9.3) |
−7.4 (18.7) |
0.8 (33.4) |
9.2 (48.6) |
15.9 (60.6) |
20.5 (68.9) |
23.7 (74.7) |
22.8 (73.0) |
16.8 (62.2) |
8.8 (47.8) |
−0.2 (31.6) |
−9.5 (14.9) |
7.4 (45.3)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8.4 (−1.1) |
−13.8 (7.2) |
−4.9 (23.2) |
2.7 (36.9) |
9.4 (48.9) |
15.1 (59.2) |
19.4 (66.9) |
18.5 (65.3) |
11.3 (52.3) |
2.9 (37.2) |
−4.9 (23.2) |
−14.8 (5.4) |
1.9 (35.4)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0.1 (0.40) |
11.9 (0.47) |
21.1 (0.83) |
41.8 (1.65) |
74.4 (2.93) |
113.3 (4.46) |
206.9 (8.15) |
168.1 (6.62) |
73.0 (2.87) |
44.5 (1.75) |
31.8 (1.25) |
15.6 (0.61) |
812.5 (31.99)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4.8 | 4.3 | 5.8 | 7.6 | 10.2 | 12.6 | 14.1 | 12.2 | 6.9 | 6.9 | 7.0 | 6.5 | 98.9 |
평균 강설일수 | 7.8 | 6.5 | 6.7 | 1.7 | 0.0 | 0.0 | 0.0 | 0.0 | 0.0 | 0.6 | 5.9 | 9.7 | 38.9 |
평균 상대 습도 (%) | 78.3 | 73.6 | 68.6 | 65.3 | 68.4 | 74.7 | 79.2 | 80.3 | 77.3 | 73.8 | 77.0 | 78.6 | 74.6 |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2] |
교통
편집강계시는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다른 도시와는 철도와 도로, 항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강계선과 만포선이 합류되는 지점에 있다. 반면에, 고속도로는 평양과 다른 곳에 연결되어 있다.
문화
편집강계교육대학이 이 도시에 위치해 있다.
교육
편집대학교
편집산업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 보관됨 2010-03-31 - 웨이백 머신,2009년.
- ↑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PDF). 대한민국 기상청. 2022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31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Dormels, Rainer. North Korea's Cities: Industrial facilities, internal structures and typification. Jimoondang, 2014. ISBN 978-89-6297-1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