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고속
거창고속(居昌高速)은 경상남도 거창군의 시외·농어촌버스 운행 업체이다. 본사는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 236에 있다.
1980년 설립했으며,[1] 설립 당시의 사명은 거창여객이었고, 2000년 11월 부도 이후[2] 아림고속으로 바뀌었다가 2007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운행 노선편집
시외버스편집
- 시외버스
2017년 12월 기준이다.[3]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면허 대수 | ||||||||
---|---|---|---|---|---|---|---|---|---|---|
노선 합계 | 직행 | 일반 | 고속 | 대수 합계 | 직행 | 일반 | 고속 | 우등 | 예비 | |
거창고속 | 40 | 40 | - | - | 80 | 65 | 10 | - | - | 5 |
- 거창 출발 노선
- 거창 (↔안의) ↔ 남서울(경원고속과 공동 배차)
- 거창 ↔ 동서울
- 거창 ↔ (→ 안의 →) 함양 ↔ 수원 ↔ 안산 ↔ 인천[4]
- (거창 ↔) 가조 ↔ 고령 ↔ 대구
- 거창 ↔ 봉산 ↔ 권빈 ↔ 묘산 ↔ 분기 ↔ 쌍림(귀원) ↔ 고령 ↔ 대구 (완행)[5]
- 거창 ↔ 야로 ↔ 가야 ↔ 해인사[6]
- 거창 ↔ 웅양 ↔ 적하 ↔ 지레 ↔ 대덕 ↔ 김천
- 거창 ↔ (안의 ↔ 수동 ↔) 함양 ↔ 대전
- 거창 ↔ (안의 ↔ 수동 ↔) 함양 ↔ 진주 (직통과 완행으로 나뉨)
- (진주 ↔) 거창 ↔ (고속도로직통) ↔ 김천구미역 (KTX, SRT)
- 거창 ↔ 함양 ↔ 인천 ↔ 인천국제공항
- 함양 출발 노선
- 함양 ↔ 수동 ↔ 생초 ↔ (양촌 ↔) 산청 ↔ 원지 ↔ 진주[7]
- 함양 ↔ (수동 ↔ 안의 ↔) 거창 ↔ 김천
- 함양 ↔ 거창 ↔ 대구
- 함양 ↔ 수원 ↔ 안산 ↔ 인천
- 함양 ↔ 대전
- 함양 ↔ 거창 ↔ 남서울
- 진주 출발 노선
- 진주 ↔ 마산
- 진주 ↔ 마산 ↔ 창원(진해)
- 진주 ↔ 원지 ↔ 산청 ↔ 생초 ↔ 수동 ↔ 함양[7] ↔ 안의[8] ↔ 거창
- 진주 ↔ 원지 ↔ 단계 ↔ 가회 ↔ 대병
- 진주 ↔ 사천 ↔ 상리 ↔ 고성
- 진주 ↔ 개양 ↔ 문산 ↔ 금곡 ↔ 개천 ↔ 마암 ↔ 배둔 ↔ 고성
- 진주 ↔ 개양 ↔ 문산 ↔ 금곡 ↔ 개천 ↔ 봉치
- 진주 ↔ 거창 ↔ 김천구미역 (KTX, SRT)
- 김천 출발 노선
- 김천 ↔ 거창 ↔ 함양 ↔ 진주
- 김천 ↔ 거창 ↔ 진주
- 김천 ↔ 추풍령 ↔ 황간 ↔ 금강 ↔ 대전
- 김천 ↔ 대전복합 ↔ 남서울
- 대구 출발 노선
- 대구 ↔ 거창 ↔ 함양[9]
- 대구 ↔ 고령 ↔ 가조 (↔[10] 거창)
- 대구 ↔ 고령[11] ↔ 분기 ↔ 야로 ↔ 가야 ↔ 해인사
- 대구 ↔ 고령[12] ↔ 쌍림(귀원) ↔ 분기 ↔ 묘산 ↔ 권빈 ↔ 봉산 ↔(신원 ↔)거창
- 대구 ↔ 고령[11] ↔ 쌍림(귀원) ↔ 안림 ↔ 쌍책 ↔ 초계
- 대전 출발 노선
- 대전 ↔ 함양 ↔ (안의 ↔) 거창
- 대전 ↔ 금강 ↔ 황간 ↔ 추풍령 ↔ 김천 ↔ 지례 ↔ 대덕 ↔ 적하 ↔ 웅양 ↔ 거창
- 대전 ↔ 남서울
- 대전 ↔ 금강 ↔ 황간 ↔ 추풍령 ↔ 김천 ↔ 봉곡동 ↔ 진주
- 기타 출발 노선
시내버스편집
- 76번 : 사천터미널 ↔ 중항리(흥사리,가화리)
보유차량편집
운영에 대한 오해편집
거창고속이 거창군 가조면과 위천면을 경유하는 것에 대해 거창군의 농어촌버스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기점이나 종점으로 향할 때 일부 경유하는 경우는 있으나 거창군 내에서 농어촌버스로 운영되고 있지는 않다. 거창고속이 거창군 내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거창 ↔ 가조 ↔ 대구
- 대구 ↔ 거창 ↔ 수승대(위천)
각주편집
- ↑ “거창고속 연혁”. 2004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거창여객 부도로 일부 운행 중단, 연합뉴스, 2000년 11월 27일자
- ↑ 시외버스 면허대수 현황, 경상남도청 교통물류과, 2018년 5월 14일 작성.
- ↑ 거창 출발 노선만 안의를 경유하며, 수원 출발 노선은 안의를 경유하지 않는다.
- ↑ 옛날에는 이 노선이 고령,논공,화원,상인동을 거쳐서 갔으나 지금은 고령부터 대구까지는 고속도로로 운행한다.
- ↑ 본 노선은 거창ic부터 해인사ic까지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묘산,분기 보다 요금이 저렴하다.
- ↑ 가 나 일부 시간대에는 함양까지만 운행한 후 함양에서 진주행으로 바꿔 출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
- ↑ 거창 직통의 경우 고속도로 직통으로 운행하며 직행의 경우 일부 시간대는 함양까지만 국도 운행하며 안의는 경유하지 않는다
- ↑ 일부 시간대는 코스 표에 의거해 거창터미널에서 진주 행이나 대전 행 등으로 바꿔 운행한다.
- ↑ 고속도로 운행은 같으나 각TG에 내려서 고령터미널과 가조정류장을 경유한다.(단 고령은 성산TG에서 내려서 고령터미널 경유 후 다시 고령TG로 올라감)
- ↑ 가 나 대구부터 고령까지는 고속도로로 운행한다.
- ↑ 옛날에는 이 노선이 상인동,화원,논공등 을 거쳐서 갔으나 지금은 대구부터 고령까지는 고속도로로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