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봉옥속(觀峰玉屬, 학명: Fouquieria 포우퀴에리아[*])은 진달래목단형 관봉옥과(觀峰玉科, 학명: Fouquieriaceae 포우퀴에리아케아이[*])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 속명은 프랑스의 의사인 피에르 푸키에(Pierre Fouquier)의 이름에서 따왔다. 사막 식물 11종을 포함하고 있다.

관봉옥속
오코티요(F. splendens)
오코티요(F. splenden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진달래목
과: 관봉옥과
Fouquieriaceae
DC., 1828
속: 관봉옥속
Fouquieria
Kunth, 1823
모식종
F. formosa Kunth
[출처 필요]

하위 분류

편집
  • 관봉옥(F. columnaris (Kellogg) Kellogg ex Curran)
  • 오코티요(F. splendens Engelm.)
    • F. s. subsp. breviflora Henrard
    • F. s. subsp. campanulata (Nash) Henrard
  • F. burragei Rose
  • F. diguetii (Tiegh.) I.M.Johnst.
  • F. fasciculata (Willd. ex Roem. & Schult.) Nash
  • F. formosa Kunth
  • F. leonilae Miranda
  • F. macdougalii Nash
  • F. ochoterenae Miranda
  • F. purpusii Brandegee
  • F. shrevei I.M.Johnst.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진달래목의 계통 분류(2018년)이다.[3][4][5]

진달래목
기저분류군

봉선화과

테트라메리스타과

마르크그라비아과

미트라스테마과

레키티스과

꽃고비군

관봉옥과

꽃고비과

앵초군

사포테과

감나무과

앵초과

슬라데니아과

펜타필락스과

차나무과

때죽나무군

노린재나무과

암매과

때죽나무과

사라세니아군

사라세니아과

다래나무과

로리둘라과

진달래군

매화오리나무과

키릴라과

진달래과

각주

편집
  1. Candolle, Augustin Pyramus de.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3: 349. 1828.
  2. Kunth, Karl Sigismund. In: Humboldt, Friedrich Wilhelm Heinrich Alexander von. Nova Genera et Species Plantarum (folio ed.) 6: 65, pl. 527. 1823.
  3. 《Soltis, Douglas; Soltis, Pamela; Endress, Peter; Chase, Mark W.; Manchester, Steven; Judd, Walter; Majure, Lucas; Mavrodiev, Evgeny (2018).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Angiosperms (p. 26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indle Edition.》. LCCN 2016046547. 
  4. Anderberg, A. A.; Rydin, C.; Kallersjo, M. (2002).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ericales s.l.: Analyses of molecular data from five genes from the plastid and mitochondrial genom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89 (4): 677–687. doi:10.3732/ajb.89.4.677. PMID 21665668. 
  5. Anderberg, AA; KJ Sytsma; J Schönenberger (2005).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atterns of floral evolution in the Eric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urnals) 166 (2): 265–288. doi:10.1086/427198. S2CID 3546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