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저 봉와직염
구강저 봉와직염 또는 루드비히 안자이나(Ludwig's angina, 라틴어: Angina ludovici)는 입의 바닥(구강저)에 발생하는 심각한 봉와직염(연조직염)의 한 종류이다.[2] 종종 세균 감염이 원인이 된다.[1] 감염 초기에는 입의 바닥이 부으면서 점차 위로 올라와 침을 삼키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결과적으로 말하거나 침을 흘리는 데에도 문제가 생긴다.[3] 상태가 나빠지면 기도가 손상되며 혀 양쪽의 공간이 딱딱하게 굳어버릴 수 있다.[4] 전반적으로 수 시간 내외로 빠르게 발병한다.
구강저 봉와직염 | |
---|---|
다른 이름 | 루드비히 안자이나 |
구강저 봉와직염 환자의 아래턱이 부은 모습. | |
진료과 | 이비인후과, 구강외과 |
증상 | 발열, 통증, 혀가 올라감, 삼킴장애, 목의 부종[1] |
합병증 | 기도 손상[1] |
통상적 발병 시기 | 급성[1] |
위험 인자 | 치아 감염[1] |
진단 방식 | 증상과 신체검사, CT 스캔을 기반으로 진단[1] |
치료 | 항생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기관내삽관, 기관절개술[1] |
주된 원인은 치아 감염이다.[3] 다른 원인에는 인두주위농양, 아래턱뼈 골절, 입 안쪽의 관통상이나 베인 상처, 아래턱의 타석증 등이 있다.[5] 감염은 구강저의 결합조직을 통해 전파되며 주로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등이 원인이 된다.[6]
치아 감염을 제때 치료하는 등 적절한 치과적 관리를 통해 구강저 봉와직염을 예방한다. 초기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광범위 항생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이용한다.[1] 더 진행된 병의 경우 기관내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1]
1940년대 항생제, 입과 치아의 위생, 더 적극적인 여러 수술적 접근이 발전하며 구강저 봉와직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급격히 감소했다. '루드비히 안자이나'라는 이름은 1836년 이 질환을 처음 기술한 독일의 의사인 빌헬름 프레더릭 폰 루드비히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7]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Gottlieb, M; Long, B; Koyfman, A (May 2018). “Clinical Mimics: An Emergency Medicine-Focused Review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Mimics.”.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54 (5): 619–629. doi:10.1016/j.jemermed.2018.01.031. PMID 29523424.
- ↑ Candamourty R, Venkatachalam S, Babu MR, Kumar GS (July 2012). “Ludwig's Angina - An emergency: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atural Science, Biology, and Medicine》 3 (2): 206–8. doi:10.4103/0976-9668.101932. PMC 3510922. PMID 23225990.
- ↑ 가 나 Coulthard, Paul; Horner, Keith; Sloan, Philip; Theaker, Elizabeth D. (2013년 5월 17일). 《Master dentistry.》 3판. Edinburgh: Elsevier. ISBN 978-0-7020-4600-1. OCLC 786161764.
- ↑ Kremer MJ, Blair T (December 2006). “Ludwig angina: forewarned is forearmed”. 《AANA Journal》 74 (6): 445–51. PMID 17236391.
- ↑ Saifeldeen K, Evans R (March 2004). “Ludwig's angina”. 《Emergency Medicine Journal》 21 (2): 242–3. doi:10.1136/emj.2003.012336. PMC 1726306. PMID 14988363.
- ↑ 《The atlas of emergency medicine》. Kevin J. Knoop, Lawrence B Stack, Alan B Storrow, R. Jason Thurman Fif판. New York. 2021. ISBN 978-1-260-13495-7. OCLC 1145903874.
- ↑ Murphy SC (October 1996). “The person behind the eponym: Wilhelm Frederick von Ludwig (1790-1865)”. 《Journal of Oral Pathology & Medicine》 25 (9): 513–5. doi:10.1111/j.1600-0714.1996.tb00307.x. PMID 8959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