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 대공세

(구정대공세에서 넘어옴)

구정 대공세(Sự kiện Tết Mậu Thân)는 베트남 전쟁 당시 벌어졌던 대규모 군사 공세 중 하나로 북베트남 인민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남 공화국, 미국과 그 동맹국 군대에 맞서 1968년 1월 30일 개시한 작전이다.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이 작전을 공식적으로 무신년 원단절(뗏 마우 탄=1968년 구정) 일반공세 및 봉기라고 부른다. 이 작전은 남베트남 전역에서 벌어진 군 사령부 및 민간 통제에 대한 기습 공격들이었다.[5] 공세의 명칭은 베트남의 새해였던 휴일에서 유래한 것인데, 첫 공격이 뗏 시기에 발생했기 때문이었다.[6]

구정 대공세
베트남 전쟁의 일부
Tet-Offensive-Map.jpg
북베트남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동시에 공격한 지역
날짜1968년 1월 30일 ~ 1968년 9월 23일
장소
결과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음[1][2]
남베트남 및 미군의 전략적 승리[3]
북베트남의 정치적, 전술적, 선전 승리[4]

미국 내 베트남 반전운동 확대
교전국

베트남 공화국의 기 베트남 공화국
미국의 기 미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태국의 기 태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기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지휘관

베트남 공화국 응우옌반티에우
베트남 공화국 응우옌까오끼
미국 린든 존슨
미국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

대한민국 채명신

베트남 민주 공화국 레득토
베트남 민주 공화국 레주언
베트남 민주 공화국 반티엔둥
베트남 민주 공화국 보응우옌잡
FNL Flag.svg 호앙반타이

FNL Flag.svg 쩐반짜
병력
약 130만명 이상 30만명 ~ 50만명
피해 규모

베트남 공화국
약 14,200 명 전사
15,917 명 부상

미국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4,124 명 전사
19,295 명 부상
베트남 민주 공화국FNL Flag.svg
45,267 명 전사
61,267 명 부상

북베트남군은 1월 20일 남베트남 제1군단 및 제2군단의 야간에 일련의 공격을 개시했다. 이러한 초기 공격은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방어 수단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북베트남 주요 작전이 다음 날 아침에 개시되었을 때, 공세는 남베트남 전체로 확산되었고 상호 유기적이었다. 결과적으로 80,000명 이상의 북베트남군 및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군대가 100개 이상의 도시와 마을을 공격하였고, 이 중에는 남베트남 33개의 성도와 6개의 자치 시,75개의 특별구와 수도 사이공도 포함되어 있었다.[7] 이 공세는 1968년 작전 개시 당시 양측이 수행한 군사 작전 중 가장 큰 것이었다.

초기에 미군과 남베트남군이 기습 공격으로 말미암아 체계가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몇몇 도시 통제권을 일시적으로 잃었음에도, 연합군은 즉각 전열을 가다듬어 반격하기 시작해 북베트남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구정 대공세 주요 전투 중 하나인 후에 전투에서 격렬한 싸움이 한 달 간 이어졌고, 도시는 완전히 파괴되고 말았다. 점령 기간 동안 북베트남군은 수천 명 사람을 처형했다. 미국 전투 기지인 케산에서도 전투가 2달 간 벌어졌다. 미국은 이 공세를 북베트남의 군사적 패배로 받아들였으나, 웨스트모얼랜드 장군은 베트콩의 패배를 결정하려면 200,000명 병사를 비롯해 예비군 운용, 그리고 전쟁에서의 전략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8] 오히려 구정 대공세는 북베트남인들이 대규모 군사작전을 개시할 능력이 없고 지고 있다고 믿던 미국 정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미국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다. 미국 대중은 전쟁 지지를 철회하기 시작했고, 미국 정부는 종전을 위해 협상을 추구하기로 했다.

한편 북베트남은 공세가 인민의 우호적인 봉기를 촉발했다는 잘못된 신념을 품게 되었다. 북베트남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처음으로 전쟁에서 대규모 군대를 투입해 후에에서 메콩강 삼각주까지 일련의 공격을 펼쳤다. 그러나 남베트남 공화국군과 미군이 20,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데 비해, 북베트남군의 피해는 이보다 훨씬 컸다.

구정 대공세라는 용어는 1968년 1월부터 2월까지 공세를 언급하는 것이지만, 같은 해 5월부터 8월까지 이어진 "미니-뗏"이라 불리는 5월 공세 또한 이 공세에 포함하기도 한다.

개요편집

웨스트모어랜드의 미군이 꽝찌 성에서 케산 전투를 벌이느라 베트남 중부 내륙으로 이동한 사이[9], 1968년 1월 30일 새벽 베트남 인민군이 베트남 국군이 구정이라는 이유로 방심한 사이를 틈 타 남베트남 전역에 공격을 퍼부었다. 베트남 인민군은 남베트남을 전면에서 공격하는 한편, 베트콩은 주요 도시들을 습격하여,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미국을 포함한 반공 지원국의 군사 기지를 점령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중 한 곳인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이 베트콩에게 점령당하자 미군은 패닉 상태에 빠지게되었다. 미국 대사관을 습격한 베트콩 부대는 결사의 각오로 작전에 임하였고 그들의 군사적 사기는 매우 높았다. 또한, 베트남 인민군은 남베트남 대통령궁을 습격했지만, 남베트남 국군 측의 방어가 성공하면서 실패한다.

테트 공세에 대해 처음은 베트남 인민공화국(북베트남) 군사령부에서 반대를 했지만, 북베트남 공산당 수뇌부 측에서는 남베트남에 종속하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역할을 강조할 것을 두고, 테트 공세와 같은 전략을 구사하게 된다. 이 작전에서 북베트남은 주요 습격 부대를 베트콩으로 정하고, 베트남 인민군의 임무는 그들을 보호하고, 군사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이었다. 북베트남에서는 이 공세로 인해 수많은 남베트남 민간인이 사망할 것을 예고하여, 인구 밀집이 적은 곳을 주요 타격 지역으로 잡았지만, 작전 실행 도중 한계를 직면하면서, 주요 시설이 밀집한 대도시를 주요 공습지로 정하게 되었다.

전개편집

구정 대공세 초기 미군과 남베트남군은 고전을 면치 못하였고 상당 수의 지역에서 퇴각하여야 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막강한 화력으로 응전하여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공격을 막아내었고, 이 과정에서 특히 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전투원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응우웬 왕조 시절의 수도였던 후에는 한 때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베트남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나 미군은 도시 전체의 80%가 폐허로 변하는 포격을 퍼부으며 전투를 벌여 후에를 탈환하였다.[10] 후에 전투 중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 측이 후에에 살고 있던 비전투원을 학살하는 일이 벌어졌다. 후에 대학살에서 희생된 민간인의 수는 약 오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전쟁 후 북베트남은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한 민간인 살해를 인정하였다.

북베트남과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구정 대공세를 통해 잠시나마 남베트남의 주요 도시들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결국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다. 그러나, 구정 대공세는 그 동안 전쟁 승리를 낙관하였던 미국내 여론에 큰 충격을 주었다.

주베트남 미군을 총괄하던 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의 사령관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표상이었다. 그는 《타임》지가 선정한 1965년 올해의 인물이었고[11], 《타임》은 그를 “미국 전사의 늠름한 화신 …… 역사에서 바로 뛰쳐나온 듯 전투 계획을 수립하고 …… 병사들에게 그가 지닌 미국의 목표와 책임을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라고 평했다.[11] 1967년 11월 웨스트모어랜드는 린든 B. 존슨 정부와 함께 승리를 낙관하고 있었다.[12] 그는 네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베트남 전쟁이 “끝이 보이는 단계”에 와 있다고 공언하였다.[13] 구정 대공세로 웨스트모어랜드의 단언이 허풍일 뿐이란 것이 드러나자 미국의 미디어들은 미군이 막대한 병력을 투입한 존슨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인지 의문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존슨 정부는 군사적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결국 존슨은 재선에 실패하게 되었다. 구정 대공세를 펼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정치적 승리를 거둔 것이다.

구정 대공세로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변환점을 맞을 수 밖에 없었다. 그 동안 미국 정보 당국이 평가하고 있던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전력이 과소 평가되어 있었다는 것이 드러나자[14] 언론인 피터 아네트벤쩨에서 근무 중인 익명의 장교가[15] “마을을 탈환하려면 파괴할 필요가 있다”는 명령을 받았다고 폭로하였다.[16] 또 다른 정보원은 제9 보병 사단의 부리스 소령이 이러한 명령을 하였다고 지목하였다.[17]

영향편집

구정 대공세 일련의 모습은 언론을 통해 세계에 보도되었다. 미군과 남베트남 국군은 최종적으로, 이 싸움에서 전술적으로 승리했지만, 전략적으로는 패배에 직면했다. 그 이유는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이 베트콩에게 점령당하고, 남베트남 대통령군이 북베트남 정규군인 베트남 인민군에 의해 습격을 받으면서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 측의 승리를 확신했던 전 세계 국민 여론이 뒤바뀌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반전 운동이 급격히 확산하면서 린든 존슨 대통령은 선거 출마 중단을 선언하였고, 그에 더해 한 베트콩 장교가 남베트남의 경찰청장에 의해 즉결 총살되는 사진이 급격히 확산되면서 더욱더 심각해졌다.

각주편집

  1. Macmillan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Chris Cook. Palgrave Macmillan UK. ISBN 978-1-349-10084-2. P. 316
  2. Nationalism and Imperialism in South and Southeast Asia: Essays Presented to Damodar R. SarDesai. Arnold P. Kaminsky, Roger D. Long. Routledge; 1 edition (September 7, 2016). ISBN 1138234834. P. 49
  3. Smedberg, p. 188
  4. “Tet Offensive”. 《History. 2014년 12월 22일에 확인함. 
  5. Ang, p. 351. Two interpretations of North Vietnamese goals have continued to dominate Western historical debate. The first maintained that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winter-spring offensive were an intended rather than an unintended consequence. This view was supported by William Westmoreland and his friend Jamie Salt in A Soldier Reports, Garden City NY: Doubleday, 1976, p. 322; Harry G. Summers in On Strategy, Novato CA: Presidio Press, 1982, p. 133; Leslie Gelb and Richard Betts, The Irony of Vietnam,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79, pp. 333–334; and Schmitz p. 90. This thesis appeared logical in hindsight, but it "fails to account for any realistic North Vietnamese military objectives, the logical prerequisite for an effort to influence American opinion." James J. Wirtz in The Tet Offensive,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p. 18. The second thesis (which was also supported by the majority of contemporary captured Vietcong documents) was that the goal of the offensive was the immediate toppling of the Saigon government or, at the very least, the destruction of the government apparatus, the installation of a coalition government, or the occupation of large tracts of South Vietnamese territory. Historians supporting this view are Stanley Karnow in Vietnam, New York: Viking, 1983, p. 537; U.S. Grant Sharp in Strategy for Defeat, San Rafael CA: Presidio Press, 1978, p. 214; Patrick McGarvey in Visions of Victory,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and Wirtz, p. 60.
  6. “U.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The Tet Offensive, 196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8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29일에 확인함. 
  7. Dougan and Weiss, p. 8.
  8. http://www.u-s-history.com/pages/h1862.html
  9. 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363–365.
  10. Anatomy of a War by Gabriel Kolko ISBN 1-56584-218-9pp. 308–309.
  11. "The Guardians at the Gate", Time 7 January 1966, vol. 87, no.1.
  12. Witz The Tet Offensive: Intelligence Failure in War pp. 1–2.
  13. Larry Berman. Lyndon Johnson's War. New York, W.W. Norton, 1991, p. 116.
  14. Harold P. Ford. CIA and the Vietnam Policymakers pp. 104–123.
  15. Survivors Hunt Dead of Bentre, Turned to Rubble in Allied Raids nytimes.com.
  16. "Peter Arnett: Whose Man in Baghdad?", Mona Charen, Jewish World Review, 1 April 2003.
  17. Saving Ben Tre Archived 2018년 2월 10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