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진좌파연합
급진좌파연합(急進左派聯合, 그리스어: Συνασπισμός Ριζοσπαστικής Αριστεράς 시나스피스모스 리조스파스티키스 아리스테라스[*])은 약칭으로는 시리자(그리스어: ΣΥΡΙΖΑ)는 그리스의 정당이며, 반자본주의, 사회주의, 세속주의를 표방한다. 2004년 그리스의 좌파, 급진좌파 정당의 연합체로 시작했으며, 2015년 1월 총선에서 승리해 집권당이 됐다. 시리자의 당수 알렉시스 치프라스는 총선 승리 이후 그리스의 총리에 취임했다.
급진좌파연합
그리스어: Συνασπισμός Ριζοσπαστικής Αριστεράς | |
![]() | |
약칭 | 시리자(SYRIZA, ΣΥΡΙΖΑ) |
---|---|
표어 | Ανοίγουμε δρόμο στην ελπίδα Anígume drómo stin elpída (우리는 희망의 길을 연다) |
상징색 | 빨강 녹색 보라 |
이념 | 민주사회주의[1] 좌익대중주의[2][3] 대안세계화[4] 세속주의[5] 그리스 내셔널리즘[6] 친유럽주의[7][8][9] 역사적: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10] 유럽회의주의[11] |
스펙트럼 | 현재: 중도좌파[12] ~ 좌익[13][14] 과거 ( ~ 2015) 좌익[15] ~ 극좌[16] |
당직자
| |
당수 | 알렉시스 치프라스 |
역사
| |
창당 | 2004년 (정당 연합) 2012년 5월 2일 (정당) |
예하 부문
| |
중앙당사 | 그리스 아테네 시 39 Valtetsiou, 106 81 |
청년조직 | 청년 시리자 |
국제 부문
| |
유럽의회 교섭단체 | 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
의석
| |
유럽 의회 | 6 / 21
|
그리스 의회 | 86 / 300
|
행정 구역 | 0 / 13
|
애초 시리자는 13개의 다양한 정파들과 무소속 정치인들의 연합체였다.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좌파 민족주의, 여성주의, 녹색 좌파, 마오쩌둥주의, 트로츠키주의, 유럽공산주의, 심지어 유럽회의주의 세력까지 포괄했다. 특이하게도 시리자는 좌파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신자인 당원이 많았다. 이들은 국가의 지원을 받는 그리스 정교회의 특권에 반대했다.
2013년 시리자는 연합체가 아니라 단일한 '정당'이 되었으며, 대신 당명에 '연합사회주의전선'(United Social Front)을 추가했다. 영어로는 'SYRIZA-USF'로 표기된다.
한동안 시리자는 '반체제 정당'이란 이미지를 갖고 있었으며, 시리자의 성공이 곧 유럽연합 전체에 충격파가 될 것이란 전망이 있었다. 하지만 시리자는 정치적 성공을 거두기 시작하면서 강성좌파적인 시작보다는 보다 포퓰리즘적 성향을 드러냈다. 집권 이후 시리자는 여러차례 유럽연합과 유로존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그리스가 유로를 포기할 것이라는 그렉시트(Grexit)적인 전망과도 분명한 선을 그었고 거리를 두었다. 치프라스 본인이 직접 유럽회의주의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발언했다. 그리고 현 유럽의 정책 중 하나인 긴축정책에 반대하고 있는 정당이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그리스 의회편집
그리스 의회 | |||||||
---|---|---|---|---|---|---|---|
선거 연도 | 득표 수 | 득표율 | 의석 수 | 의석 수 변동 | 순위 | 집권 여부 | 당수 |
2004 | 241,539 | 3.3% | 6 / 300
|
±0 | 4 | 야당 | 니코스 콘스탄토풀로스 |
2007 | 361,211 | 5.0% | 14 / 300
|
8 | 4 | 야당 | 알레코스 알라바노스 |
2009 | 315,627 | 4.6% | 13 / 300
|
1 | 5 | 야당 | 알렉시스 치프라스 |
05/2012 | 1,061,265 | 16.8% | 52 / 300
|
39 | 2 | 야당 | 알렉시스 치프라스 |
06/2012 | 1,655,022 | 26.9% | 71 / 300
|
19 | 2 | 야당 | 알렉시스 치프라스 |
01/2015 | 2,245,978 | 36.3% | 149 / 300
|
78 | 1 | 연립정부 급진좌파연합-독립 그리스인 |
알렉시스 치프라스 |
09/2015 | 1,925,904 | 35.5% | 145 / 300
|
4 | 1 | 연립정부 급진좌파연합-독립 그리스인 |
알렉시스 치프라스 |
07/2019 | 1,780,704 | 31.53% | 86 / 300
|
59 | 1 | 야당 | 알렉시스 치프라스 |
유럽 의회편집
유럽 의회 | |||||||
---|---|---|---|---|---|---|---|
선거 연도 | 득표 수 | 득표율 | 의석 수 | 의석 수 변동 | 순위 | 당수 | |
2009 | 240,898 | 4.7% | 1 / 22
|
±0 | 5 | 알렉시스 치프라스 | |
2014 | 1,518,608 | 26.6% | 6 / 21
|
5 | 1 | 알렉시스 치프라스 |
각주편집
- ↑ http://parties-and-elections.eu/greece.html
- ↑ Cas Mudde (2017). SYRIZA: The Failure of the Populist Promise. Palgrave Macmillan. pp. 11, 15.
- ↑ https://www.academia.edu/5812717/Left-wing_Populism_in_the_European_Periphery_The_Case_of_SYRIZA
- ↑ Sheehan, Helena (2016). Syriza Wave: Surging and Crashing with the Greek Left. Monthly Review Press. p. 22.
- ↑ https://thehumanist.com/commentary/tsipras-and-the-atheists-the-role-of-secularism-in-greeces-financial-crisis
- ↑ http://hangthebankers.com/syrizas-40-point-plan-for-greece/
- ↑ “Party Encyclopedia & Polling Averages:Greece”. 《Europe Elects》.
- ↑ Sarantis Michalopoulos (2017년 4월 10일). “Syriza: Europeanism without federalism is‘meaningless'”. 《EURACTIV》.
- ↑ Filippa Chatzistavrou (2019년 5월 17일). “THE 2019 EP ELECTION FROM A GREEK PERSPECTIVE”. 《Netherland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 ↑ Wellbrook, Christopher (2013), 《Libertarian Socialism: Politics in Black and Red》, Palgrave Publishers, 67쪽
- ↑ http://theconversation.com/what-britain-should-learn-from-syriza-and-greek-eurosceptics-40653
- ↑
- “Tsipras rules out SYRIZA shift to the center-left”. 《Independent Balkan News Agency》. 2019년 5월 3일.
- John Milios (December 2016). “SYRIZA: From ‘Subversion’ to Centre-Left Pragmatism” (PDF).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of Athens》.
- “Tsipras signals centre-left shift in limited cabinet reshuffle”. 《in.gr》. 2019년 2월 15일.
- ↑ Katsourides, Yiannos (2016). Radical Left Parties in Government: The Cases of SYRIZA and AKEL. Palgrave Macmillan. p. 58.
- ↑ Turkan İpek, Işıl Zeynep (2017). Gökçe Bayındır Goularas; Hakan Sezgin Erkan, eds. The Impact of SYRIZA Politics on Turkish-Greek Relations. Lexington Books. p. 43.
- ↑ Thompson, Wayne C. Western Europe (2014). Rowman and Littlefield. p. 2882.
- ↑ Callinicos, Alex (2012), 《The second coming of the radical left》, International Socialist jou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