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K
{\displaystyle K}
위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유한 기저 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V
{\displaystyle V}
의 유한부분집합
B
=
{
b
1
,
…
,
b
n
}
⊆
V
{\displaystyle B=\{b_{1},\ldots ,b_{n}\}\subseteq V}
이다.
(선형독립 ) 임의의
c
1
,
…
,
c
n
∈
K
{\displaystyle c_{1},\ldots ,c_{n}\in K}
에 대하여, 만약
c
1
b
1
+
⋯
+
c
n
b
n
=
0
{\displaystyle c_{1}b_{1}+\cdots +c_{n}b_{n}=0}
이면,
c
1
=
⋯
=
c
n
=
0
{\displaystyle c_{1}=\cdots =c_{n}=0}
이다.
(선형생성 ) 임의의 벡터
v
∈
V
{\displaystyle v\in V}
는, 어떤
c
1
,
…
,
c
n
∈
K
{\displaystyle c_{1},\ldots ,c_{n}\in K}
를 써서
v
=
c
1
b
1
+
⋯
+
c
n
b
n
{\displaystyle v=c_{1}b_{1}+\cdots +c_{n}b_{n}}
와 같이 표현된다.
이때 간단히
b
1
,
…
,
b
n
{\displaystyle b_{1},\ldots ,b_{n}}
을
V
{\displaystyle V}
의 기저라고도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기저 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V
{\displaystyle V}
의 부분집합
B
⊆
V
{\displaystyle B\subseteq V}
이다.
(선형독립) 임의의
c
1
,
…
,
c
n
∈
K
{\displaystyle c_{1},\ldots ,c_{n}\in K}
및
b
1
,
…
,
b
n
∈
B
{\displaystyle b_{1},\ldots ,b_{n}\in B}
에 대하여, 만약
c
1
b
1
+
⋯
+
c
n
b
n
=
0
{\displaystyle c_{1}b_{1}+\cdots +c_{n}b_{n}=0}
이면,
c
1
=
⋯
=
c
n
=
0
{\displaystyle c_{1}=\cdots =c_{n}=0}
이다.
(선형생성) 임의의 벡터
v
∈
V
{\displaystyle v\in V}
는, 어떤
c
1
,
…
,
c
n
∈
K
{\displaystyle c_{1},\ldots ,c_{n}\in K}
및
b
1
,
…
,
b
n
∈
B
{\displaystyle b_{1},\ldots ,b_{n}\in B}
를 써서
v
=
c
1
b
1
+
⋯
+
c
n
b
n
{\displaystyle v=c_{1}b_{1}+\cdots +c_{n}b_{n}}
와 같이 표현된다.
샤우데르 기저 와 구별하기 위해, 하멜 기저 (영어 : Hamel basis )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든 벡터는 기저의 선형결합 으로 유일하게 표현되며, 서로 다른 벡터는 서로 다른 표현을 갖는다. 따라서 기저는 벡터를 식별하는 좌표를 부여한다.
벡터 공간의 차원 은 기저 집합 의 원소의 개수이다.
유클리드 공간
R
2
{\displaystyle \mathbb {R} ^{2}}
의 벡터
e
1
=
(
1
,
0
)
{\displaystyle e_{1}=(1,0)}
,
e
2
=
(
0
,
1
)
{\displaystyle e_{2}=(0,1)}
은
R
2
{\displaystyle \mathbb {R} ^{2}}
의 기저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n
{\displaystyle n}
차 단위행렬 의 열벡터
e
1
,
…
,
e
n
{\displaystyle e_{1},\ldots ,e_{n}}
은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기저이며, 이를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표준기저 (標準基底, 영어 : standard basis )라고 한다.
벡터 공간의 기저는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b
1
=
(
1
,
0
)
{\displaystyle b_{1}=(1,0)}
,
b
2
=
(
1
,
1
)
{\displaystyle b_{2}=(1,1)}
역시
R
2
{\displaystyle \mathbb {R} ^{2}}
의 기저이다.
실수 다항식환
R
[
x
]
{\displaystyle \mathbb {R} [x]}
는 무한 기저
{
1
,
x
,
x
2
,
…
}
{\displaystyle \{1,x,x^{2},\ldots \}}
을 갖는다.
(
V
,
‖
⋅
‖
)
{\displaystyle (V,\|\cdot \|)}
가 순서체
K
{\displaystyle K}
위의 노름 공간 이라고 하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V
{\displaystyle V}
의 기저
B
{\displaystyle B}
를 정규기저 (영어 : normal basis )라고 한다.
모든
b
∈
B
{\displaystyle b\in B}
에 대하여,
‖
b
‖
=
1
{\displaystyle \|b\|=1}
(
V
,
⟨
⋅
,
⋅
⟩
)
{\displaystyle (V,\langle \cdot ,\cdot \rangle )}
가 순서체
K
{\displaystyle K}
위의 내적공간 이라고 하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V
{\displaystyle V}
의 기저
B
{\displaystyle B}
를 직교기저 (영어 : orthogonal basis )라고 한다.
모든
b
,
b
′
∈
B
{\displaystyle b,b'\in B}
에 대하여, 만약
b
≠
b
′
{\displaystyle b\neq b'}
이라면
⟨
b
,
b
′
⟩
=
0
{\displaystyle \langle b,b'\rangle =0}
정규기저이자 직교기저인, 내적공간 의 기저를 정규직교기저 (영어 : orthonormal basis )라고 한다.
이를테면,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표준기저는 정규직교기저이다.
유클리드 공간 에서 점과 그 좌표가 일대일 대응하는 것과 비슷하게, 일반 벡터 공간에서 주어진 기저에 따라 좌표 (座標, 영어 : coordinate )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유클리드 공간의 표준기저가 자연스런 순서를 갖춘 것처럼, 일반 벡터 공간에서도 순서를 추가한 기저 즉 순서기저 (順序基底, 영어 : ordered basis )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순서기저 는 전순서 를 갖춘,
V
{\displaystyle V}
의 기저이다. 유한차원 벡터 공간의 경우, 기저에 자연수 첨수를 주는 것으로 족하다. 유한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및 그 순서기저
B
=
{
b
1
,
…
,
b
n
}
{\displaystyle B=\{b_{1},\ldots ,b_{n}\}}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벡터
v
∈
V
{\displaystyle v\in V}
의 기저
B
{\displaystyle B}
에 대한 좌표 는
v
=
c
1
b
1
+
⋯
+
c
n
b
n
{\displaystyle v=c_{1}b_{1}+\cdots +c_{n}b_{n}}
을 만족하는 스칼라의 튜플
(
v
)
B
=
(
c
1
,
…
,
c
n
)
{\displaystyle (v)_{B}=(c_{1},\ldots ,c_{n})}
이다.
이에 따라, 벡터 공간의 순서기저가 주어졌을 때, 벡터는 그 좌표와 일대일 대응한다.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기저
B
=
{
v
1
,
…
,
v
n
}
,
B
′
=
{
v
1
′
,
…
,
v
n
′
}
{\displaystyle {\mathfrak {B}}=\{v_{1},\ldots ,v_{n}\},{\mathfrak {B'}}=\{v'_{1},\ldots ,v'_{n}\}}
가 주어질 때, 기저 변환을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
v
]
B
,
[
v
]
B
′
{\displaystyle [v]_{\mathfrak {B}},[v]_{\mathfrak {B'}}}
는 벡터 v를 각각
B
,
B
′
{\displaystyle {\mathfrak {B}},{\mathfrak {B'}}}
기저로 표시한 좌표이고,
[
I
]
B
,
B
′
{\displaystyle [I]_{{\mathfrak {B}},{\mathfrak {B'}}}}
는 기저
B
{\displaystyle {\mathfrak {B}}}
에서
B
′
{\displaystyle {\mathfrak {B'}}}
로 변환하는 행렬이다.
[
v
]
B
′
=
[
I
]
B
,
B
′
[
v
]
B
{\displaystyle [v]_{\mathfrak {B'}}=[I]_{{\mathfrak {B}},{\mathfrak {B'}}}[v]_{\mathfrak {B}}}
기존 기저
B
{\displaystyle {\mathfrak {B}}}
의 원소를 새로운 기저
B
′
{\displaystyle {\mathfrak {B'}}}
의 선형 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v
j
=
∑
k
=
1
n
a
k
,
j
v
k
′
for
j
=
1
,
⋯
,
n
{\displaystyle v_{j}=\sum _{k=1}^{n}a_{k,j}v'_{k}\qquad {\text{for }}j=1,\cdots ,n}
이 때,
[
v
j
]
B
′
=
[
a
1
,
j
⋮
a
n
,
j
]
{\displaystyle [v_{j}]_{\mathfrak {B'}}={\begin{bmatrix}a_{1,j}\\\vdots \\a_{n,j}\end{bmatrix}}}
의 꼴이 된다.
만약
E
{\displaystyle {\mathfrak {E}}}
가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표준기저이고
B
{\displaystyle {\mathfrak {B}}}
가 다른 기저라고 한다면, 기저
B
{\displaystyle {\mathfrak {B}}}
에서
E
{\displaystyle {\mathfrak {E}}}
로 변환하는 행렬
[
I
]
B
,
E
{\displaystyle [I]_{{\mathfrak {B}},{\mathfrak {E}}}}
의 열 성분은 순서기저
B
{\displaystyle {\mathfrak {B}}}
의 열벡터 성분이다.[ 1] 이 점을 이용하여
B
{\displaystyle {\mathfrak {B}}}
에서
B
′
{\displaystyle {\mathfrak {B'}}}
로의 기저 변환 행렬을 간편하게 구할 수 있다.
[
I
]
B
,
B
′
=
[
I
]
E
,
B
′
[
I
]
B
,
E
=
(
[
I
]
B
′
,
E
)
−
1
[
I
]
B
,
E
{\displaystyle [I]_{{\mathfrak {B}},{\mathfrak {B'}}}=[I]_{{\mathfrak {E}},{\mathfrak {B'}}}[I]_{{\mathfrak {B}},{\mathfrak {E}}}=([I]_{{\mathfrak {B'}},{\mathfrak {E}}})^{-1}[I]_{{\mathfrak {B}},{\mathfrak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