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생려

대한민국의 음악가

김생려(金生麗, 일본식 이름: 金山生麗가네야마 세이레이, 1912년 11월 25일 ~ 1995년 12월 18일)는 한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며 지휘자이다. 무용가 권려성의 남편이다.[1] 그는 현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창단을 하였다.

김생려
기본 정보
출생1912년 11월 25일
일제강점기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영변
사망1995년 12월 18일(1995-12-18)(83세)
미국의 기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성별남성
직업지휘자,바이올린 연주자
장르서양 고전음악

생애 편집

그는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영변에서 출생하였고 평안남도 안주함경남도 북청에서 성장하였다. 현제명, 이흥렬, 계정식 등 한국 서양음악 초창기의 인물들이 그렇듯 김생려도 개신교 집안에서 태어나 서양음악을 일찍 접할 수 있었다.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에 다니면서 세브란스병원 외국인 의사의 부인인 부츠에게서 바이올린을 배웠다. 그 뒤, 독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계정식을 만나 본격적으로 바이올린을 수학했고, 연희전문학교에 다니면서도 꾸준히 바이올린 연주를 했다. 연희전문 졸업 후 경성방송국 관현악단에서 반주하고 악장직도 맡았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국민음악' 보급을 위해 친일 연주단체인 경성후생실내악단이 만들어졌다. 김생려는 후생실내악단 창단을 주도했고 전국 순회공연으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협조했다. 총독부가 친일 음악인들을 모아 조직하게 한 조선음악협회 주최로 음악보국 음악회가 열렸을 때 참가[2] 하였으며, 1944년에는 만주국까지 진출하여 후생실내악단 단원들을 이끌고 신경교향악단에 입단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 부문에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관현악단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광복 직후인 1945년 현제명과 뜻을 같이하여 계정식을 지휘자로 한 고려교향악단을 창단했고, 고려교향악단에서 탈퇴한 뒤에는 역시 계정식과 함께 서울교향악단을 창단해 대표를 맡았다. 서울교향악단은 한국 전쟁을 거치며 와해되었다가 해군정훈음악대를 모체로 현 서울시립교향악단의 뿌리가 되었다.[3]

광복 후 우익 계열로 활동하면서 한국 전쟁 때 해군 장교 복무하여 해군 소령 예편하였고 미군정과 맺은 인연을 계기로 미국에서 초청을 받아 지휘를 공부하는 등 활동을 계속했다. 1957년에는 귀국하여 서울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를 맡고 196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으나, 1961년 단원들과의 갈등으로 서울시향에서 물러났고 이후 도미하여 라스베이거스에 정착했다가 그 곳에서 사망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춤과 그들/ 권려성 “무서운 게 없습니다, 춤 말고는””. 경향신문. 2007년 5월 3일. 
  2.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4월 1일). 〈현제명 : 일제 말 친일음악계의 대부 (노동은)〉. 《친일파 99인 3》.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3-1. 
  3. 서울시립교향악단 - 역대지휘자
전임
없음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1948-1961
후임
김만복

1961-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