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흥렬(李興烈, 1909년 7월 17일~1980년 11월 17일[1])은 한국작곡가이자 지휘자, 피아노 연주자이다. 동요작곡하고 보급하는 에 힘썼으며, 음악 교육에 이바지했다.[2] 〈봄이 오면〉, 〈섬집 아기〉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지냈다.

이흥렬
기본 정보
출생1909년 7월 17일(1909-07-17)
대한제국 함경남도 원산
사망1980년 11월 17일(1980-11-17)(71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별남성
국적대한제국대한민국
직업작곡가, 교육인
장르서양 고전음악
악기피아노
종교개신교

생애

편집

북한 함경남도 원산 출생이다. 기독교인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서양음악을 접했고, 일본유학하여 도요 음악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하였다. 귀국 후 1933년경 경성보육학교에서 홍난파와 함께 음악 교육에 정열을 쏟았다. 1934년에는 《이흥렬 작곡집》을, 1937년에는 동요집 《꽃동산》을 발표했다. 1941년 조선음악협회가 결성되었을 때 음악보국주간 음악대연주회에 참가하여 군국가요를 반주했고, 1944년에는 대화악단의 지휘자를 맡았으며, 1945년 경성후생악단에서도 활동했다. 해방 후에는 서라벌 예술대 교수숙명여대 교수를 지내며 후세 교육에 힘썼다.[2] 1957년 한국작곡가협회를 조직하고, 부위원장을 맡았고, 1963년 대통령 문화훈장수상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역임했다.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으로 재직했다.

대표작 및 평가

편집

널리 알려진 작품으로는 〈봄이 오면〉, 〈바위고개〉, 〈자장가〉 등의 가곡 50여 곡과 〈꾀꼬리의 노래〉, 〈소나무 노래〉 등의 동요 65곡이 있으며, 합창곡으로 〈배 위에서〉, 〈백로곡〉, 〈닐리리야〉와 피아노 3중주곡 〈5월의 노래〉, 교향시 〈동과 서〉 등이 있다.[2] '나실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라는 가사로 시작되는 〈어머니의 마음〉와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 가면'의 〈섬집 아기〉, 군가인 〈진짜 사나이〉 등 널리 불리는 노래를 다수 만들었다. 담백한 가곡을 많이 작곡하여 '한국슈베르트'[3]라고도 불린다.

저서

편집

저서로는 《음악의 종합 연구》, 《새로운 음악통론》 등이 있다.[2]

수상

편집

대한민국문화상, 서울시 문화상, 대한민국 훈장, 대통령상, 예술원상을 받았다.[2]

기타

편집

작곡가인 이영조가 이흥렬의 아들이다. 또한 이리고등학교교가작곡하였다.

참고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바위고개 作曲家 李興烈氏 別世” (PDF). 한국일보. 1980년 11월 18일(화요일). 7면면.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9일(토요일)에 확인함. 
  2.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의 서양음악가/작곡가/이흥렬, 《글로벌 세계 대백과》
  3. 나운영, 안기영. 현제명에서 태동된 가곡 창작시대(나운영기념사업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